최근 수정 시각 : 2025-07-05 13:05:15

온누리자전거


대한민국의 공유 자전거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lack,#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민간업체 운영 공유 자전거 서비스
그리고⚡️킥 디어⚡️킥 메리바이크⚡️ 발켄M⚡️ ⚡️킥
스윙⚡️킥 쏘카일레클⚡️ 씽씽⚡️킥 알바이크⚡️ 알파카⚡️킥 [A]
에브리바이크 지쿠⚡️킥 체리⚡️ 카카오 T 바이크⚡️ 킥고잉⚡️킥
티맵바이크⚡️킥
}}}
||<rowbgcolor=#ddd><-2><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지자체 운영 공유 자전거 서비스 ||
수도권
따릉이서울 · 광명이광명
강원·제주권
e바퀴로⚡️원주 · e-타봄⚡️춘천 · 제주공공자전거⚡️제주·그리고 위탁
충청권
백제씽씽⚡️공주·부여 · 어울링세종 · 타슈대전 · 달려보령보령
경상권
그린씽거창 · 누비자창원 · 양산시 공공자전거양산 · 타고가야⚡️김해·SWING 위탁
타반나 부산 기장 · 타실라경주 · 아라씽씽⚡️함안 · 하모타고진주
전라권
꽃싱이⚡️전주 · 무안질주무안 · 여수랑여수
온누리자전거, 이킥⚡️순천 · 타랑께광주 · 군산시 공영자전거군산
||<-5><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ddd> 운영을 중단한 서비스 ||
쓩-백원바이크⚡️킥 에스바이크 오포 제트⚡️ 타조
투어지⚡️ 휙고⚡️킥 반디클수원 쿠키인천 페달로안산
피프틴고양 별타고영천
*한글 서비스명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렬 / *전기자전거 운영 서비스는 ⚡️ 표시 / *공유 킥보드도 같이 운영할 경우 표시 / *지자체 공공(공영)서비스는 지역명 표시
[A] 알파카의 이전 운영사인 매스아시아는 과거 에스바이크를 운영했었음.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모빌리티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서비스명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렬 / 서비스나 운영주체 문서 또는 문단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기재 / 종료된 서비스는 취소선으로 표시
승객 운송
택시
직영혼합 스윙택시(스윙) · 카카오 T 택시(카카오T) · 타다 · 파파 · i.M택시
가맹 온다택시(티머니GO) · Uber Taxi(Uber)
중개 대구로 택시(대구로) · 리본택시 · 반반택시 · 티머니GO
라이드헤일링 카카오 T 셔틀(카카오T) · 카카오 T 카풀(카카오T) · 타다 Basic(타다)
대리 카카오 T 대리(카카오T) · TMAP 대리(TMAP)
차량 공유
자동차(렌터카) 쏘카 · 찜카 · 타운카 · 투루카 · 티머니GO 렌터카(티머니GO) · G카 · TMAP 렌터카(TMAP)
스쿠터 스윙
킥보드 다트 · 디어 · · 스윙 · 쏘카일레클 · 씽씽 · 알파카 · 지쿠 · 킥고잉 · 킥스 · 타고가 · 터틀 · 플라워로드
자전거
기업 메리바이크 · 발켄M · · 스윙 · 쏘카일레클 · 씽씽 · 알바이크 · 에브리바이크 · 지쿠 · 체리 · 카카오 T 바이크(카카오T) · 킥고잉 · 티맵바이크(TMAP)
공공 그린씽 · 꽃싱이 · 누비자 · 달려보령 · 따릉이 · 백제씽씽 · 양산시 공공자전거 · 어울링 · 여수랑 · 온누리자전거 · 이킥 · 타고가야 · 타랑께 · 타슈
교통 정보
내비게이션 구글 지도 · 네이버 지도 · 아이나비에어 · 아틀란 · 카카오내비 · 카카오맵 · Apple 지도 · TMAP · Waze
예약 네이버 지도 · 쏘카 · 카카오 T 시외버스(카카오T) · 코레일톡 · 토스 · 티머니GO · SRT
주차/발렛 모두의주차장 · 카카오 T 주차(카카오T) · 투루파킹 · TMAP 주차(TMAP)
대중교통 네이버 지도 · 카카오맵 · 티머니GO · TMAP 대중교통(TMAP)
주유/충전소 카카오내비 · TMAP
화물 운송
퀵/배달 카카오 T 퀵(카카오T) · HOMEPICK(티머니GO) · TMAP 화물(TMAP)
차량 관리
수리/세차 네이버페이 MY CAR(네이버페이) · 카카오내비 · 카카오 T 마이카(카카오T)
중고차 기아 인증중고차 · 엔카 · 케이카 · 헤이딜러 · 현대 인증중고차 · KB차차차 · 롯데렌탈 T car
진단 인포카
}}}}}}}}} ||


파일:sc_bicycle.jpg

홈페이지

1. 개요2. 이용방법 및 요금3. 대여소 목록4. 참고사항

1. 개요

온누리자전거는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2009년부터 운영중인 무인 대여 공공 자전거이다. 2023년 기준 대여 터미널은 총 53곳이며[1], 순천만에 위치한 터미널 1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내권에 위치해있다. 운영중인 자전거는 총 280여대 정도다. 순천시내 지형이 대체적으로 경사가 심하지 않고, 터미널이 곳곳에 깔려있어 시민들은 물론이고, 관광객들의 이용률도 높은 편이다. 동천변 자전거도로에서 재미삼아 타는 사람들이 꽤 된다. 시내버스의 막차가 끊기는 오후 11시 이후에는 온누리자전거로 귀가하는 사람들도 많다. 2024년 8월까지 일일 이용권 1천원, 일주 이용권 2천원, 한달 이용권 3천원, 1년 이용권은 2만원으로 요금이 매우 저렴하게 운영하다가 동년 10월부터 시스템 개편을 통해 QR코드를 통해 대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면서 현재 3시간 무료, 이후 30분에 500원씩 추가요금이 붙는 식으로 운영중이다.

2. 이용방법 및 요금

  • 2024년 8월까지
    회원권으로 주회원, 월회원, 연회원이 있고 일회용 1일 이용권이 있다. 회원권은 홈페이지나 전용 앱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권 결제를 한 뒤 대여소 키오스크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된다. 1일 이용권의 경우 대여소 키오스크에서 휴대폰 소액결제, 교통카드[2]로 이용 가능하다. 1일권은 24시간 이용이 가능하지만 연속 3시간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다. 3시간이 되기 전 반납하고 다시 재대여하면 계속 사용 가능하다. 재대여 시에는 대여소 키오스크 재대여 메뉴를 선택한 뒤 대여할 때 휴대폰 문자메세지로 받은 1회용 이용권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요금은 다음과 같다.
종류요금
회원권 주회원 2,000원
월회원 3,000원
연회원 20,000원
1일권 1,000원
  • 2024년 10월부터
    전용 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진행한 후, 앱을 통해 대여할 자전거 뒷바퀴 브레이크 인근의 잠금장치에 붙어있는 QR코드를 찍으면 잠시 후 잠금장치가 풀리면서 탑승하면 된다.
    180분(3시간)동안은 무료로 탈 수 있으며 이후 30분마다 500원씩 추가요금이 붙는다.

3. 대여소 목록

4. 참고사항

  • 대여할 때 자전거 오른쪽에 ┘ 모양의 잠금장치가 있는데, 탑승시에는 이 잠금장치를 위로 올릴 수 있다. 반납할 때는 다시 내려서 대여 기계에 꽂으면 된다.
  • 자전거는 기본적으로 7단 변속기가 달려있지만 5단에서 6,7단으로 올려도 기어가 바뀌지 않는 등 자전거마다 제각각이다(...)
  • 자전거에는 야간 안전을 위해 바퀴가 굴러가면 불이 켜지는 자가발전식 라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 2018년 자전거 안전모 의무화 이후 자전거 앞바구니에 안전모를 비치해두었으나 현재는 분실된게 많다.
  • 자전거 대여와 반납시 대여/반납 장소를 휴대폰 문자메세지로 알려준다.
  • 시에서 주기적으로 새 자전거로 교체를 하고 있지만, 공공자전거 특성상 여기저기 망가진 자전거가 종종 있다. 어디다 자빠뜨렸는지 앞바구니가 심하게 찌그러져 있다 알 수 없는 삐그덕거리는 소리는 기본이고, 체인이 빠져있거나 안장 높이가 고정이 안 되는 등 정상 이용이 불가능한 자전거도 있다.
  • 초창기에는 핸들 중앙에 주행거리 등이 표시되는 단말기가 장착되어 있었으나 유지보수 문제로 지금은 남아있는게 없다.
  • 2022년 5월 22일부터 교통카드를 이용한 결제서비스를 종료했다. 교통카드 태그하는 기계가 고장난 곳이 종종 있어 휴대폰 소액결제로 이용하는게 나았을 정도.
  • 2023년 초, 기존에 사용되던 자전거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자전거를 도입했다.# 2022년 대전광역시에서 도입한 신형 타슈 시즌2 자전거와 동일한 모델로 추정된다.
  • 무료화 이후로 자전거 상태가 급격히 나빠졌으며, 반납/대여과정에서 오류도 많으므로 반드시 자전거 상태확인을 할 것.

[1] 2022년 6월에 터미널 1곳이 추가 설치되었다.[2] 2022년 5월 22일부로 해당 방법으로 결제할 수 없다. 자세한 내용은 참고사항 문단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