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 가톨릭 교회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예법(↓) | 모교회(→) | 정교회 | |||
비잔티움 예법 | 그리스 비잔티움 가톨릭 | 러시아 그리스 가톨릭 |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 루테니아 그리스 가톨릭 | 리투아니아 그리스 가톨릭 | 마케도니아 그리스 가톨릭 |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 불가리아 그리스 가톨릭 | 슬로바키아 그리스 가톨릭 | 알바니아 그리스 가톨릭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조지아 비잔티움 전례 가톨릭 |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그리스 가톨릭 | 폴란드 그리스 가톨릭 | 헝가리 그리스 가톨릭 | |||||
(모교회 없음) | ||||||
이탈리아-알바니아 가톨릭 | ||||||
예법(↓) | 모교회(→) | 콥트 정교회 | ||||
알렉산드리아 예법 | 콥트 가톨릭 | 에티오피아 가톨릭 | 에리트레아 가톨릭 | |||||
예법(↓) | 모교회(→)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
아르메니아 예법 | 아르메니아 가톨릭 | |||||
예법(↓) | 모교회(→) | (모교회 없음) | 시리아 정교회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 ||
안티오키아 예법 | 마론파 | 시리아 가톨릭 | 시로말랑카라 가톨릭 | |||
예법(↓) | 모교회(→) | 아시리아 동방교회 | 칼데아 시리아 정교회 | |||
칼데아 예법 | 칼데아 가톨릭 |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 ||||
같이 보기: 기독교의 종파 | }}}}}}}}} |
1. 개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서 유래되어, 에티오피아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 교회의 일원. 정확히 말하자면 알렉산드리아 전례 중에서 그으즈 전례(Ge'ez Rite)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 교회라고 하겠다. 1846년부로 공식적으로 분리되었다.2. 역사
에티오피아 고원 일대는 고대 이래 그리스도교를 믿던 지역이다. 이슬람의 발흥 이후 에티오피아 고원 지대의 그리스도인들은 무슬림들에게 포위되는 상황에 처했는데 이 과정에서 에티오피아 토속 신앙과 고대 그리스도교가 결합된 형태의 독특한 그리스도교 문화가 이어지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문서 참조.서기 15세기부터 포르투갈인들이 동아프리카 해안에 나타나면서 에티오피아와 가톨릭 교회와의 교류가 시작되었고 16세기 에티오피아-아달 전쟁에서 에티오피아 측이 포르투갈 제국의 도움으로 아달 술탄국 군대를 격퇴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포르투갈 측에서 에티오피아 주민들을 강제로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는 작업에 착수하자 상당한 반발을 겪었다.
1622년에는 에티오피아 황제 수시니오스 1세(Susenyos I)가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국교로 지정하고 포르투갈 선교사가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명한 테와히도 정교회 성직자들의 무덤이 훼손되어 부관참시당하고 테와히도 정교회 성직자들 상당수가 박해를 당하였으며 포르투갈의 가톨릭 선교는 에티오피아 민중들의 반발로 실패했다. 수시니오스 1세가 죽은 뒤 1636년에는 에티오피아에서 포르투갈인 총대주교를 포함한 가톨릭 선교사들을 추방하면서 관계가 단절되었다.
1839년에야 다시 선교사들의 입국이 허용되면서 가톨릭을 선교받은 신자들을 중심으로 다시 교회 조직이 형성되었다. 에티오피아 전례가 아닌 라틴 전례의 가톨릭은 이탈리아 왕국 치하에서 본격적으로 유입되었지만 에티오피아와 이탈리아의 역사적 악연 때문에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및 에티오피아 가톨릭 교회(에티오피아 전례)에 비해 세가 약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