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료 ~ade
1.1. 과즙 음료
원래 탄산을 떠나 제조에 물이 섞여 들어가는 과즙 주스를 의미하지만 한국 한정으로 카페 문화의 영향으로 탄산을 섞은 시원한 과즙 음료를 의미하는 접미사이다.[1] 특유의 새콤하고 톡 쏘는 맛이 특징이다. 사이다와 비슷하다. 대표적인 메뉴는 레모네이드(lemonade)이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직접 만들며 과즙에 탄산수가 아닌 맹물을 섞어 만드는 것을 에이드라고 한다.
영국에서 lemonade라고 부르는 것은 가정이나 카페에서 제조하기보다는 공장에서 대량 생산한 제품인 경우가 많다. 때문에 lemonade라고 하면 오히려 칠성사이다나 스프라이트 같은 투명한 레몬라임향 공장제 탄산음료 제품군을 떠올리게 된다. 물론 lemonade라고 했을때 위의 lemonade를 떠올리기도 하지만, 이는 real/fresh lemonade 같이 뭔가 다른 방식으로 집에서 제조한 lemonade를 떠올리는 수식어를 붙여줘야 한다.
카페나 음식점 같은 곳에선 왜인지 커피보다 비싸다. 아메리카노가 2000원이면 에이드는 3000원 이상인 경우가 부지기수. 집에서는 커피보다 쉽게 만들 수 있다. 과일청이나 과일시럽을 마트에서 흔하게 판다. 어차피 카페에서도 이렇게 만들어서 비싸게 판다. 그냥 집에서 만드는게 가성비가 훨씬 낫다.
유사한 음료들이 많은데 차이점을 따지면 다음과 같다.
- 주스: 주스는 일반적으로 100% 순수한 과즙을 의미한다. 하지만 농축 환원방식의 주스는 과즙 농축액에 물과 첨가당이 들어가기도 한다.
- 스무디: 우유나 요거트 등과 갈아서 걸쭉한 음료를 말한다. 식사 대용으로 많이 쓰이며 한국에서는 얼음을 갈아넣어서 차가운 것을 주로 말한다.
따뜻한 스무디가 사실은 가능하다 - 과일차: 과일을 설탕에 절여 청으로 만들고 뜨거운 물에 우려낸다.
- 밀크셰이크: 우유와 설탕을 넣고 간다.
- 에톡(etoc): 과육을 갈아서 과일의 섬유소 성분까지 섞여있어서 씹으면서 마신다. 갈아만든 배가 대표적이다.
1.1.1. 목록
- 영미권
- 레모네이드(Lemonade): 단, 지역별로 위와 같은 차이가 있다.
- 블루 레몬에이드: 큐라소 시럽을 섞은 레모네이드.
- 라임에이드(Limeade): 미국에서는 레모네이드의 라임 버전, 영국에선 거의 없음.
- 오렌지에이드(Orangeade): 시판 탄산음료. 미국에서는 실제 오렌지로 만들기도 함.
- 체리에이드(Cherryade): 시판 탄산음료.
- 라즈베리에이드(Raspberryade): 시판 탄산음료.
- 생각보다 종류가 적으며 지역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 한국
1.2. 에너지 드링크, 이온음료
게토레이 (gatorade)[2], 파워에이드(powerade) 등 이온음료도 종종 에이드라고 부른다. 물론 영미권에서도 위의 'ade'류보단 스포츠 음료(sports drink)로 분류된다.2. 구급, 구조, 의료 Aid
구급상자를 퍼스트 에이드 킷(First Aid Kit)이라고 부른다. 군사 용어인 IFAK도 Improved First Aid Kit 혹은 Individual First Aid Kit의 약자다.3. 걸그룹 DIA의 공식 팬덤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I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I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유튜버 에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드 AI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드 AI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출신 코치 고재윤 (Ai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재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재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이지환 (Ad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지환(2004)#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지환(2004)#|]]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