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7:22:59

양동(광주 서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c499c>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8f3d> 양동, 양3동 양동
농성1, 2동
구청
농성동
광천동 광천동
유덕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내방동 덕흥동 쌍촌동 유촌동 치평동 }}}
치평동
시청
치평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상무1, 2동
화정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내방동
}}} 화정동
화정2~4동
서창동 마륵동 매월동 벽진동 서창동 세하동 용두동
금호1, 2동 금호동
풍암동 풍암동
동천동 동천동 }}}}}}}}}
서구법정동
양동
良洞 | Yang-dong
<colbgcolor=#0c499c><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서구
행정표준코드 2914010400
관할 행정동 양동, 양3동
면적 0.83㎢
인구 6,969명[A]
인구밀도 8,396.38명/㎢

1. 개요2. 관할 행정동
2.1. 양동2.2. 양3동
3. 주요 시설
3.1. 기관3.2. 시장
4. 주거
4.1. 아파트
5. 교통
5.1. 도시철도5.2. 버스
5.2.1. 간선5.2.2. 지선5.2.3. 농어촌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

서구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하여 광주천을 경계로 동구, 북구와 맞닿아 있고, 구성로를 경계로 남구와 맞닿아 있어서 광주의 동서남북구가 모두 만나는 유일한 지점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 때문에 구한말 때부터 이 곳에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일제시대를 거치며 완전히 자리를 잡게 되면서 현재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호남 최대의 시장인 양동시장이 되었다.

1973년에는 시장 앞에 광주천 위로 복개상가까지 지어지면서 양동은 단순 식료품을 넘어 의류, 침구류, 가구류 등까지 취급하는 대단위 상업구역이 되었다.

그리고 광주의 도심 확장의 교두보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일제가 설립힌 제사공장이 광주천 건너 양동에 자리잡아 가동을 시작하였고 광주천 건너편 임동에도 대형 방직공장이 들어서면서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양동에 판자촌을 형성하고 모여 살기 시작하였으며 1970년대에는 제사공장이 문을 닫고 그 자리에는 대단지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광주에도 아파트가 대세로 자리잡는데에 큰 기여를 하기도 하였다.

광주시민들에게는 양동시장과 그 안에 위치한 ‘양동통닭’ 때문에 많이 알려져 있다. 시장 초입에 있는 오래된 통닭집인데, 건너편에 ‘수일통닭’과 경쟁관계를 유지하며 영업 중이다.

한때 이 곳에 광주 최고층 빌딩이 있었는데 양동시장 바로 옆에 위치한 KDB생명빌딩이다. 원래는 금호생명의 사옥으로 2010년까지는 ‘금호생명빌딩’으로 불렸다.[2] 1997년에 완공되었는데 광주 최초로 30층 높이로 지어져서 존재감이 상당했다. 특히 나즈막한 시장 바로 옆이라 더더욱 크게 느껴졌고 한편으로는 이렇게 큰 건물이 광주의 금융가인 금남로가 아니라 시장 옆에 들어섰다는게 뜬금없다 반응도 적지 않았다.[3] 지금은 광주에도 초고층 주상복합들이 많이 지어져서 가장 높은 건물 자리는 내어주게 되었다.

2. 관할 행정동

2.1. 양동

서구행정동
양동
良洞 | Yang-dong
<colbgcolor=#0c499c><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서구
행정표준코드 3600033
관할 법정동
[ 펼치기 · 접기 ]
양동
하위 행정구역 25통 70반
면적 0.54㎢
인구 2,842명[A]
인구 밀도 5,262.96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서구 갑

파일:zsdkl3gasdg.svg
조인철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명진 (초선)
서구의원 | 나 선거구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김태진 (3선)

파일:zsdkl3gasdg.svg
오광록 (재선)

파일:zsdkl3gasdg.svg
임성화 (초선) }}}}}}}}}
행정복지센터 천변좌로222번길 3-2 (양동 307-36)
양동 행정복지센터
원래 양1동, 양2동으로 분동되어있었으나, 도심공동화로 인한 인구감소 문제로 1999년에 다시 합쳐졌다.

2.2. 양3동

서구행정동
양3동
良三洞 | Yang 3(sam)-dong
<colbgcolor=#0c499c><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서구
행정표준코드 3600033
관할 법정동
[ 펼치기 · 접기 ]
양동
하위 행정구역 25통 70반
면적 0.29㎢
인구 4,127명[A]
인구 밀도 14,231.03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서구 갑

파일:zsdkl3gasdg.svg
조인철 (초선)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명진 (초선)
서구의원 | 나 선거구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김태진 (3선)

파일:zsdkl3gasdg.svg
오광록 (재선)

파일:zsdkl3gasdg.svg
임성화 (초선) }}}}}}}}}
행정복지센터 상무대로1223번길 16 (양동 461)
양3동 행정복지센터

3. 주요 시설

3.1. 기관

3.2. 시장

4. 주거

4.1. 아파트

<rowcolor=#fff> 건설사 아파트명 입주시기 규모 난방방식/연료
우진건설 우진아파트 1977.12 4개동 총 280세대 개별난방/도시가스
삼익주택 삼익맨션 1978.05 3개동 총 216세대
금호건설 금호1차아파트 1983.05 2개동 총 164세대
금호2차아파트 1985.11 3개동 총 330세대
수복건설 초원파크맨션 1992.02 1개동 총 77세대
동산건설 동산아파트 1994.03 1개동 총 144세대
모아건설 그린파크 1996.07 2개동 총 261세대
남양건설 양동 센트럴 뷰 2010.09 8개동 총 716세대
포스코이앤씨 더샵 루미트리에[6] - 13개동 총 1,218세대

5. 교통

광주의 교통중심지 중의 하나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이유는 양동시장 때문인데, 각 구마다 큰 시장을 한 두개씩 두고 있음에도 양동시장까지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덕분에 지하철터미널은 안가도 양동시장은 지나가고, 많은 버스노선들이 양동을 경유하거나 회차지점으로 두고 있다.

5.1. 도시철도

5.2. 버스

5.2.1. 간선

5.2.2. 지선

5.2.3. 농어촌


[A]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2] 15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그렇게 부르는 사람들이 꽤 있다.[3] 그 이유는 이 땅이 예전부터 금호그룹에서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따로 부지매입 비용이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양동시장역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은 편이다.[A] [A] [6] 양동3구역 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