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00:26:29

안드리고


1 황재윤 · 2 이용 [[주장|
C
]] · 4 김태한 · 5 이현용 · 6 최규백 [[부주장|
VC
]] · 7 이재원 [[부주장|
VC
]] · 8 노경호 · 9 싸박 · 11 이준석 · 13 황인택
14 윤빛가람 [[부주장|
VC
]] · 15 안드리고 · 16 조준현 · 17 박용희 · 18 한찬희 · 19 정승배 · 20 이지솔 · 21 서재민 · 22 장영우
23 안준수 · 25 권도영 · 26 김대현 · 27 강민성 · 28 김재성 · 29 권기현 · 30 최치웅 · 31 백승민 · 32 김은겸 · 33 이택근
34 장윤호 · 35 한상규 · 36 이요셉 · 37 신일연 · 38 이윤건 · 39 이대광 · 40 김도윤 · 41 주호연 · 42 김원형 · 43 이시명
44 윌리안 · 45 염도현 · 46 양우진 · 47 최산 · 48 백경 · 51 문정우 · 72 이시영 · 79 김경민 · 94 안현범 · 97 루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중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동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호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거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봉주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수원fc 안드리고.jpg
수원 FC No. 15
안드리고
Andrigo
<colbgcolor=#00396f><colcolor=#fff> 본명 안드리구 올리베이라 지아라우주
Andrigo Oliveira de Araújo
K리그 등록명 안드리고
출생 1995년 2월 27일 ([age(1995-02-27)]세)
히우그란지두술주 이스트렐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3cm / 70kg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구단 SC 인테르나시오나우 (2014~2019)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2017 / 임대)
세아라 SC (2018 / 임대)
스포르트 헤시피 (2018 / 임대)
EC 비토리아 (2019 / 임대)
피게이렌시 FC (2019 / 임대)
CS 알라고아누 (2020~2021)
과라니 FC (2021)
FC 안양 (2022~2023)
청두 룽청 (2023~2025)
전북 현대 모터스 (2024~2025 / 임대)
수원 FC (2025~)
국가대표 6경기 (브라질 U-17 / 2011)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브라질 국적의 수원 FC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K리그 이전

브라질 명문 SC 인테르나시오나우에서 클럽 경력을 시작했다. 2014년부터 1군 선수단에 소집되기 시작해 2015년 인테르나시오나우 소속으로 세리 A 무대에서 데뷔전을 가졌다. 이후 전국 리그와 주 리그를 오가며 경력을 쌓았다.

그러다가 2016년 시즌에서 인테르나시오나우가 창단 이래 첫 세리 B 강등을 당하면서 안드리구가 이적 시장에 나오게 되었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지겨운 임대생활을 지속해야 했다. 전부 6개월간의 단기 임대였지만, 그래도 안드리구는 가는 팀마다 꽤나 출전 기회를 보장받는 주전급으로 대우받았고, 2017~2019년 동안 모두 연간 30경기 이상 출전을 기록했다.

2020년 그는 세리 B로 강등된 CS 알라고아누에 완전이적하며 임대 생활에 마침표를 찍었다. 알라고아누에서도 확고한 주전으로 1년간 활동하면서 세리 B 29경기 2골을 기록했고, 2021년 같은 세리 B의 과라니 FC로 이적했다. 과라니에선 전국리그 34경기 1골, 주리그 11경기 4골로 커리어에서 손꼽히는 활약을 펼쳤다.

이후 2021년 말부터 안드리구의 한국행이 브라질 현지에서 거론되었고, 행선지는 K리그2FC 안양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추가 보도에 따르면, 안드리구는 안양 이적이 확정되었으며, 2월 3일 자가격리 해제 후 팀 훈련에 합류할 예정이다. #

2.2. FC 안양

2022년 2월 16일 K리그2FC 안양은 안드리고 영입을 공식발표했다. 2019시즌 좋은 모습으로 팀을 이끌었던 알렉스 그 이상의 활약을 해주길 FC 안양의 팬들은 기대하고 있다.

2.2.1. 2022년

등번호 8번을 달았다.

24라운드 안산 그리너스 FC 원정경기에서 멀티골을 넣으면서 팀의 4 : 1 승리에 기여했다.

33라운드 부천 FC 1995 홈경기에서 안양 구단 최초로 해트트릭을 성공하면서 팀의 4 : 2 승리에 기여했다.

2022시즌 안양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승격 플레이오프를 합쳐 30경기 7득점 4도움.

2.2.2. 2023년

2023년 1월 6일, 안양은 안드리고와의 재계약을 공식 발표했다.

아코스티가 떠나자 등번호를 10번으로 옮겼다. 시즌 초반 주전 중앙 미드필더로 출전하고 있다.

6라운드 부천 FC 1995 경기에서 헤딩골을 기록하였다. 윙, 공미, 중미 등 여러 포지션에서 엄청난 활약을 하며 안양에 핵심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7월 2일 경남 FC 홈경기에서 코너킥으로 박재용의 득점을 어시스트하며 리그 도움 단독 선두로 올라섰다. 7월 15일, 바이아웃을 지불한 중국 슈퍼 리그청두 룽청으로 이적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충남 아산 FC와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고 팬들과 작별인사를 했다. 두 시즌간 안양에서 51경기 13골 12도움을 기록했다.

2.3. 청두 룽청

파일:9785601bfafb4a5785ef23d166fbda47_360103884_18378479146014807_1697515955184682517_n.jpg

부상으로 시즌 아웃된 호물로의 대체자로 빠르게 영입됐다. 등번호 18번.

2023 시즌 후반기 13경기 3골 4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리그 4위 등극에 힘썼다.

2024 시즌 개막전 결승골 등 초반에 주전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리그 8라운드에서 전반 19분 만에 부상으로 교체 아웃됐다. 이후 부상 복귀한 호물로가 주전 자리를 꿰차며 주전 자리에서 밀려났다.

2024 시즌 여름 이적 시장에서 K리그로의 복귀설이 들리고 있다. 6월 29일 K리그1 대전 하나 시티즌으로의 단독 이적설이 터지며 포항이 아닌 대전을 통한 한국 복귀가 유력해 보인다.# 그러나 7월에 들면서 대전이 아닌 같은 K리그1의 포항 스틸러스로 임대 이적한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다.

전북이 완전 이적으로 하이재킹을 한다는 소문도 있었으나 청두가 완전 이적이 아닌 임대만 고집하면서 전북은 발을 뺐고 포항도 전북 참전 소식에 그냥 함께 후퇴한 상태라 중국을 벗어나긴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7월 15일 결국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로 6개월 임대 이적 한다는 단독 보도가 나왔다. 설에 따르면 청두 룽청 구단 고위 관계자들이 안드리고를 보내 주기가 어지간히 싫었는지 임대 이적 서류에 찍으려고 했던 도장을 훔치고 도망가서 (...) 서류 작업부터 지연이 있었다고 한다.

2.3.1. 전북 현대 모터스 (임대)

2024년 7월 19일,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는 안드리고의 6개월 임대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안양 시절 동료였던 정민기, 박재용, 그리고 청두 시절 수석코치였던 김두현 감독과 재회했다. 등번호는 30번.
2.3.1.1. 2024 시즌
영입 바로 다음날 열린 24라운드 울산 HD FC 현대가 더비 홈경기에서 선발이 아닌 61분에 교체로 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1골 1도움을 기록하며 팀을 부진에서 구해내고 2:0 승리를 얻어내는 데 크게 기여했다.

27라운드 포항 스틸러스 홈경기에서 전반 43분 득점을 기록했다. 전북은 98분 권창훈의 역전골로 2:1 승리하였다.

30라운드 수원 FC 원정 경기에서 후반전에 교체로 출전했다. 69분 역습 상황에서 이승우의 컷백을 그대로 골로 만들어 내는 등 1골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6:0 대승에 기여했다. 올 시즌 전북의 첫 번째 라운드 MVP에 선정됐다.
파일:2024 K리그1 30라운드 MVP.jpg

2024 시즌 전북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코리아컵 승강 PO을 합쳐 15경기 3득점 2도움.
2.3.1.2. 2025 시즌
지난 시즌 후반기 준수한 활약으로 전북으로 자유계약 이적했다.

24시즌에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올해도 꾸준히 경기에 나설것이라 예상하였지만 거스 포옛 감독 체제에서 단 2경기 밖에 출전하지 못하면서 입지가 불안했던 가운데,

24시즌 후반기의 활약으로 팬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은 안드리고는 전북에서 통산 16경기 3골 3도움으로 짧았지만 강렬했던 전북과의 동행을 마무리했다.

2.4. 수원 FC

7월 10일 수원 FC로 이적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조만간 공식발표예정이다. #

7월 11일 수원 FC 구단은 안드리고 영입을 공식발표했다.

2.4.1. 2025 시즌

22라운드 광주 FC 경기에서 후반 82분 교체 출전하며 수원 FC 데뷔전을 가졌고, 1대1로 팽팽하던 후반 89분 패스한 공이 상대 골키퍼를 맞고 들어가 자책골을 유도해냈고 팀의 2대1 역전승에 크게 기여했다.

23라운드 포항 스틸러스 경기에서 전반 37분 싸박의 득점을 어시스트했다.

순연경기 20라운드 울산 HD FC 원정경기에서 후반 66분 나갈것으로 예상됐던 볼에 적극적으로 달려들어 싸박에게 크로스를 올려줬고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31라운드 제주 SK FC와의 원정경기에서 전반 2분 박스 안에서 헤딩 패스로 싸박의 바이시클킥을 어시스트하였고 팀도 대환장 난타전 끝에 4대3 승리.

3. 국가대표 경력

2011년 브라질 17세 이하 청소년 대표팀에 소집되어 17세 이하 남미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그리고 6경기를 출전하며 팀의 우승에 한몫했다. 그러나 이후엔 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했다.

4. 플레이 스타일

공격형 미드필더와 사이드 윙어가 가능하며 정확한 패스와 킥을 구사하는 공격 자원이다. 프로 데뷔 이후 매 시즌 30경기 이상 활약했을 정도로 꾸준한 경기력을 보였다. 또한 준수한 전진 패스 능력과 템포 조절이 가능한 선수다.

5. 여담

  • 팬 서비스가 상당히 좋아서 안양, 전북 시절 팬들이 매우 좋아했다. 한국말도 매우 유창하게 하는 건 덤.
  • 금전에 상당히 예민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업인 축구 말고도 주식, 채권, 부동산, 암호화폐 등 여러 분야에 투자하고 있어서 경제 흐름은 물론이고 각 국가 세법도 잘 꿰고 있다.

6. 둘러보기

파일:수원 FC 로고.svg
수원 FC 20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비고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황재윤 Hwang Jae-Yun 2003년 3월 18일 187cm, 83kg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용 Lee Yong 1986년 12월 24일 180cm, 74kg 주장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태한 Kim Tae-Han 1996년 2월 24일 184cm, 76kg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현용 Lee Hyun-Yong 2003년 12월 29일 188cm, 80kg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최규백 Choi Kyu-Baek 1994년 1월 23일 188cm, 80kg 부주장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재원 Lee Jae-Won 1997년 2월 21일 173cm, 66kg 부주장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노경호 Roh Kyung-Ho 2000년 7월 5일 172cm, 70kg
9 파일:시리아 국기.svg FW 싸박 Pablo Sabbag 1997년 6월 11일 190cm, 88kg [1]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준석 Lee Joon-Suk 2000년 4월 7일 180cm, 75kg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황인택 Hwang In-Taek 2003년 4월 1일 183cm, 74kg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윤빛가람 Yoon Bit-Garam 1990년 5월 7일 178cm, 75kg 부주장
15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안드리고 Andrigo 1995년 2월 27일 173cm, 70kg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조준현 Jo Joon-Hyeon 2004년 2월 4일 184cm, 79kg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박용희 Pack Yong-Hui 2002년 3월 29일 180cm, 73kg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한찬희 Han Chan-Hee 1997년 3월 17일 181cm, 78kg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정승배 Jeong Seung-Bae 2003년 11월 9일 172cm, 70kg
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지솔 Lee Ji-Sol 1999년 7월 9일 185cm, 80kg
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서재민 Seo Jae-Min 1997년 12월 4일 171cm, 67kg
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장영우 Jang Yeong-Woo 2002년 8월 21일 179cm, 74kg
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안준수 Ahn Joon-Soo 1998년 1월 28일 187cm, 75kg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권도영 Gwon Do-Yeong 2003년 3월 5일 183cm, 78kg
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대현 Kim Dae-Hyeon 2002년 6월 1일 186cm, 84kg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강민성 Kang Min-Sung 2005년 3월 22일 180cm, 73kg
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재성 Kim Jae-Sung 1999년 7월 15일 180cm, 76kg
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권기현 Gwon Gi-Hyeon 2004년 5월 14일 171cm, 65kg
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최치웅 Choi Chi-Ung 2001년 7월 24일 192cm, 81kg
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백승민 Baek Seung-Min 2003년 4월 15일 186cm, 79kg
3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은겸 Kim Eun-Gyeom 2004년 4월 14일 176cm, 70kg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택근 Lee Taek-Geun 2001년 12월 15일 176cm, 67kg
3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장윤호 Jang Yun-Ho 1996년 8월 25일 178cm, 68kg
3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한상규 Han Sang-Gyu 2005년 8월 5일 190cm, 85kg
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요셉 Lee Yo-Seb 2000년 3월 28일 176cm, 69kg
3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신일연 Sin Il-Yeon 2005년 7월 17일 175cm, 67kg
3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윤건 Lee Yun-Geon 2005년 2월 27일 177cm, 72kg
3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대광 Lee Dae-Gwang 2003년 2월 23일 182cm, 80kg
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도윤 Kim Do-Yun 2005년 5월 18일 174cm, 67kg
4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주호연 Joo Ho-Yeon 2003년 1월 23일 188cm, 78kg
4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원형 Kim Won-Hyeong 2005년 3월 21일 170cm, 64kg
4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시명 Lee Si-Myeong 2006년 6월 21일 185cm, 83kg
44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윌리안 Willyan da Silva Barbosa 1994년 2월 17일 170cm, 69kg
4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염도현 Yeom Do-Hyeon 2006년 5월 8일 178cm, 73kg
4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양우진 Yang Woo-jin 2006년 11월 29일 176cm, 69kg
4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최산 Choi San 2006년 5월 15일 183cm, 75kg
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백경 Baek Kyeong 2007년 4월 12일 183cm, 73kg
5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문정우 Moon Jung-Woo 2007년 3월 3일 193cm, 82kg
7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시영 Lee Si-Young 1997년 4월 21일 172cm, 70kg
7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경민 Kim Kyung-Min 1997년 1월 22일 186cm, 81kg
9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안현범 Ahn Hyun-beom 1994년 12월 21일 178cm, 72kg [2]
97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루안 Luan Dias 1997년 7월 31일 177cm, 64kg
<colbgcolor=#00396f> 구단 정보
단장: 최순호 / 감독: 김은중 / 홈구장: 수원종합운동장
출처: 수원 FC 웹사이트

}}}}}}}}}}}} ||
파일:FC 안양 10주년 엠블럼(홈).svg
FC 안양 10주년 베스트 XI
FW
조나탄
FW
조규성
MF
아코스티
MF
맹성웅
MF
안드리고
MF
팔라시오스
DF
주현우
DF
김형진
DF
백동규
DF
구대영
GK
정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