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3:04:08

아Q정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Q정전
阿Q正傳 | The True Story of Ah Q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eStoryofAQreprint.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 장르 소설
작가 루쉰
발매일 1921년

1. 개요2. 줄거리3. 의의4. 여담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중국어 번체 <colbgcolor=white,black> 阿Q正傳 (Ā Q Zhèngzhuàn)
중국어 간체 阿Q正传 (Ā Q Zhèngzhuàn)
영어 The True Story of Ah Q

파일:아큐정전 삽화.jpg

중국 작가 루쉰(魯迅)이 1921년에 쓴 근대 소설로 중국 근현대 소설로서는 최초로 유럽이나 여러 나라로 번역, 수출되면서 중국 문학을 알린 작품이기도 하다.

중국에서 영화나 드라마는 물론이고 1947년에 화가 펑쯔카이(丰子恺,1898~1975)가 만화책으로 그린 것을 비롯하여 여러 판본이 발매되어 나왔다.

2.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Q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퀘이, 줄여서 아Q라는 인물의 인생을 그린 단편소설로 그는 성 밖의 낡은 절간에서 얹혀 살면서 마을에서 날품팔이를 하고 번 돈을 술과 도박에 탕진하는 인물이다. 툭하면 깡패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잡부 아Q가 신해혁명에 꼽사리 끼면서 인생역전을 할 뻔하다가 나중에는 하지도 않은 강도짓을 서명으로 거짓 자백하면서 사형당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처형당하는 그 순간까지도 자기합리화를 하는 것은 덤.

3. 의의

청나라/중화민국판 하류인생. 주인공 아Q는 당시 중국인의 패배 근성, 노예 근성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아큐정전은 루쉰이 중국 인민들을 계몽하기 위해 쓴 작품인데 청조 말에 서구 열강에게 쥐어터지면서도 천조라는 타이틀을 고집하며 근대화를 거부하고 중체서용이니 동도서기니 하는 허구성을 비판하는 작품이다.

아Q는 깡패에게 얻어맞아도 "나는 아들에게 맞은 거나 진배없다. 아들뻘 되는 것들과 싸워 무엇하나?"라고 하면서 육체적으로는 졌지만 정신적으로는 저들이 나보다 수준이 떨어지므로 내가 정신적으로는 저들을 이겼다고 생각하는 정신승리법을 구사하며 그 정신승리법이 깨질 때마다 새로운 정신승리법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인간의 뇌에는 한계가 있는 법. 아무리 거짓말을 거짓말로 숨기려고 해 봤자 결국 거짓말도 극단에 다다르면 '그래봤자 다 내가 꾸며낸 거짓말일 뿐이구나.'라는 당연한 진리에 도달하며 나중에 정신승리법으로 자기만족을 느낀다는 걸 알게 된 깡패들은 전보다 더 심하게 무시하고 조롱한다.

인터넷에서 쓰이곤 하는 정신승리란 표현은 이 작품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런 아Q는 여승이나 어린아이 같은 "사회적 약자"에게는 강한 척하며 폭력을 휘둘러 그들을 괴롭힌다. 일본, 서구 열강에 시달리면서도 조선, 베트남 같은 전통적 조공국에 대해서는 호되게 간섭하고 심지어 식민지로 삼으려 했던 청나라의 이중잣대가 연상되는 부분. 원래 청나라에게 있어 조선은 형식적으로 군신 관계를 맺어서 국왕을 책봉하고 세폐를 받는 정도였지 식민지로 삼으려 할 대상은 아니었지만 서양 열강의 침탈을 받은 후 진짜로 조선을 식민지로 삼으려 하게 된다. 허나 이 타이밍에 마찬가지로 조선을 식민지로 눈독 들이고 있던 일본 제국이 선수를 쳐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은 자주 독립국이다'라고 못 박아 청나라의 개입을 배제시켰고 곧이어 청일전쟁까지 일본이 이긴 후에는 청에 대한 조선의 조공 관계까지 폐지시켜 청나라는 조선에 완전히 손을 떼야 했다. 물론 그 이후는 알다시피 조선은 일본에의 종속이 가속화되어 경술국치, 즉 청나라 대신 일본의 식민지가 된다.

게다가 아Q는 피해의식도 엄청 강했는데 특히 자신의 대머리, 부스럼(나두창)에 대해 엄청난 컴플렉스를 갖고 있었다. 처음에는 직접적으로 관련된 말을 할 때만 발끈하다가 점점 피해의식이 심해져 나중에는 '빛나다', '밝다' 등등의 말까지 자신의 흉터를 욕한다고 생각하여 그 말을 하는 사람에게 불같이 화를 냈다. 이러한 설정은 실제 역사 속에서 명태조 주원장이 자신이 과거에 대머리 승려였다는 점을 글자로 들춰내는 사람들을 무자비하게 처형한 문자의 옥에서 따 온 듯하다.

아Q정전에서 루쉰은 아Q나 소D(샤오돈) 등의 인물상을 통해 당시 중국인의 우매하고 꽉 막힌 성향을 풍자한다. 미장 마을의 하층민은 당시의 저열하고 원초적인 중국 인민을 상징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소D로, 아Q가 조씨 댁에서 식모를 건드리다가 쫒겨난 후 아Q 몫의 날품팔이를 하는 인물인데 '아Q에서 정신승리만 뺀' 인물로 그 역시 아Q처럼 왜소하고 별 볼 일 없는 하층민이며 아Q처럼 피해 의식과 노예 근성, 비생산적인 습관에 사로잡힌 자였다. 아Q는 중국인이 스스로를 비판 혹은 비하할 때 즐겨 사용하는 말이기도 하다.

비판 대상은 하층민만이 아니다. 하층민을 억압하는 조씨 일가, 자기도 중국인이면서 서양인 행세를 하는 일명 '가짜 양놈' 전씨는 당시의 관료와 외세의 억압과 그들의 자국 발전에 관한 무관심을 상징한다. 그리고 아큐에게 시비를 걸고 구타하는 자들, 아큐의 성희롱을 보고도 낄낄거리는 저열한 군중도 당대 중국인을 상징한다. 소설의 마지막에서도 미장(未莊) 마을에서는 아Q가 처형된 것에 대해서 "사형당할 만하니까 사형당했겠지." 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사형을 직접 관람한 성내 사람들은 한술 더 떠서 그런데 총살은 참수만큼 재미없더라, 그렇게 오랫동안 거리를 조리돌림을 당하면서 노래 한 곡도 못 부르다니 저게 뭐냐 등의 반응을 보이며 아쉬워하고 입맛을 다시며 불만스러워했다. 저자 루쉰의 일본 유학 시절에 일본군에게 중국인이 처형당하고는 했다. 이러한 장면을 같은 중국인이 보면서도 전혀 슬퍼하거나 분노하기는커녕 시큰둥하고 무덤덤하게 바라보는 것에 더욱 환멸감이 들어 그가 유학을 그만두고 문학으로 전업했다는 일화를 생각하면 이러한 결말은 의미심장하다.

루쉰이 워낙 중국에서 대접받는 작가인지라 근대 중국인의 부정적인 모습을 그린 이 소설도 중국의 정규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고 한다. 극복해야 할 인간상, 반면교사의 의미로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교육되는 듯하다.

한문이 아니라 백화문(북경어 백화문)으로 쓰였다는 것도 이 소설의 의의 중 하나다. 루쉰은 한문을 몰아내고 좀 더 쉬운 백화문으로 글을 써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렇지만 중화민국 시대의 작품인 만큼 현대 표준 중국어 화자가 보기에는 다소 의고체이다. 한문의 영향을 받은 문어 어휘가 많다든지, 伊를 여성용 3인칭 대명사로 쓴다든지.

아무튼 근대 중국을 크게 상징하고 근대 중문학의 시발점이 되는 등 굉장히 중요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펄 벅(Pearl S. Buck)의 대지와 함께 근대 중국을 대표하는 소설로 비교되지만 이 책은 중국인 작가가 썼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4. 여담

이처럼 같은 중국인을 그야말로 가루가 되도록 두들겨 패고 깠던 루쉰은 국공내전 이후 중국 내에서 최고의 작가로 추앙받았지만, 오히려 중국인의 삶에 대해 애정을 담은 필체로 담담하게 묘사한 대지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던 펄 벅은 그녀가 단지 미국인이라는 이유로 중국에서 수십 년간 입국을 금지할 만큼 거부 반응이 심했다. 자세한 내용은 펄 벅 문서로.

<아Q정전>의 1981년판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는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아Q는 자손이 있었던 데다가 자손이 번창하여 지금까지 대(代)가 끊기지 않고 있다."는 씁쓸한 문장이 나온다.

프랑스의 작가로 1915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로맹 롤랑(1866~1944)은[1] 이 작품을 엄청나게 호평했는데 "가련한 아Q를 생각하면 눈물이 났다. 흔히들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상대도 못하는 중국인을 다루었다고 하지만, 그러나 그것이 어디 중국인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일까? 아Q라는 모습은 현대인, 많은 사람의 또 다른 모습이기도 하다."고 평했다.

왕가위의 영화 아비정전의 제목은 바로 이 소설에서 착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 포레스트 검프의 중국어판 제목인 阿甘正传(아감정전)은 이것을 차용한 듯하다. 실제로 작중 포레스트 검프의 행적은 아Q와 비슷한 점이 몇몇 있기 때문에 거기서 착안하여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아감정전의 감(甘)은 주인공 포레스트 검프의 성(姓)인 검프를 중국어로 음차한 것이다. 다만 포레스트 검프는 아Q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주변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가 정신승리가 아니라 그저 선천적으로 두뇌가 발달하지 못한 것이며 그럼에도 그는 아Q처럼 세상이 자신에게 맞춰주지 못한다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며 비굴하게 살고 비굴하게 죽은 것이 아닌 영웅이자 선지자로서 세상의 긍정적인 모습을 깨우치면서 살아간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5. 같이 보기



[1] '장 크리스토프'가 바로 그의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