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21:27:01

씨월드고속훼리

씨월드고속훼리
Seaworld Express Ferry
파일:씨월드고속훼리 로고.svg
<colbgcolor=#02107b><colcolor=#fff> 기업명 씨월드고속훼리
Seaworld Express Ferry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 연도 1998년 9월 30일 ([age(1998-09-30)]주년)
업종명 해상여객운송업
주요 사업분야 내항 정기여객 운송사업
해상 운송 부대사업
부동산 임대 및 매매사업
자본금 14억 7,580만원 (2022년)
매출액 1,165억 7,387만 1,588원 (2022년)
영업이익 -12억 8,490만 5,000원 (2022년)
당기순이익 60억 1,371만 2,509원 (2022년)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 148번길
(해안동1가)[1]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지배 구조4. 노선
4.1. 운항 중4.2. 폐지
5. 보유 선박
5.1. 현재 보유 중5.2. 퇴역
5.2.1. 씨스타크루즈호5.2.2. 산타루치노호5.2.3. 퀸메리호(1대)5.2.4. 퀸메리호(2대)5.2.5. 퀸메리2호(3대)5.2.6. 씨월드마린호
5.3. 기타
5.3.1. 퀸스타2호
6. 사건 및 사고7. 여담

1. 개요

씨월드고속훼리 홍보영상
대한민국의 여객선 선사. 1998년 창립하였으며 전라남도 목포시에 본사가 있다.

2. 연혁

  • 1998 씨월드고속훼리(주) 설립
  • 1998 씨월드고속훼리호 취항
  • 2002 카훼리레인보우(주) 설립
  • 2002 카훼리레인보우 취항
  • 2003 씨월드고속훼리호 퇴역
  • 2003 뉴씨월드고속훼리 도입 및 취항
  • 2007 초쾌속선 핑크돌핀호 취항
  • 2008 뉴씨월드고속훼리 퇴역
  • 2008 퀸메리호 취항[2]
  • 2009 낙도보조항로 우수관리2척 추가 위탁 운영
  • 2011 퀸메리호 퇴역
  • 2011 국내 최초 24,000톤급 씨스타크루즈호 취항
  • 2012 카훼리레인보우 퇴역
  • 2012 카훼리레인보우 흡수합병
  • 2012 3,000톤급 초쾌속선 로얄스타 취항
  • 2012 6,000톤급 초쾌속선 퀸스타호 취항
  • 2013 초쾌속선 핑크돌핀호 퇴역
  • 2013 해남 우수영 제주간 로얄스타호 취항
  • 2014 로얄스타호 퇴역
  • 2015 명품 크루즈 산타루치노 취항
  • 2015 유럽형 초쾌속선 퀸스타2호 취항
  • 2018 유럽형 크루즈 퀸메리호 취항
  • 2018 전천후 RO-RO 화물선 씨월드마린 취항
  • 2018 씨스타크루즈호 퇴역
  • 2020 산타루치노 퇴역
  • 2020 대형 카페리 퀸제누비아 취항
  • 2022 쾌속카페리 산타모니카 진도 - 추자 - 제주 취항
  • 2022 퀸메리호 퇴역
  • 2022 크루즈 카페리 퀸메리2호 취항[3]
  • 2024 퀸메리2호 퇴역
  • 2024 대형 카페리 퀸제누비아2호 제주-목포 취항

3. 지배 구조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연자 43.3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혁영 25.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에스엘 19.16%
* 2022년 기준

4. 노선

4.1. 운항 중

4.2. 폐지

5. 보유 선박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씨월드고속훼리/선박 현황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5.1. 현재 보유 중

5.1.1. 퀸제누비아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퀸제누비아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퀸제누비아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퀸제누비아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20년 9월 30일 취항. 이 배는 국내 연안여객선의 정점으로 규모가 굉장히 크고, 선내 역시 굉장히 호화롭다. 이에 따라 직원들 역시 꽤나 자부심을 갖는다는듯.
  • 목포 → 제주는 매주 화, 수, 목, 금, 토요일에 01:00분에 출항한다. 운항시간은 약 5시간.[4][5]
  • 제주 → 목포는 매주 일, 화, 수, 목, 금요일에 13:40분에 출항하고 운항시간은 약 4시간 반.
  • 매달 첫째, 셋째 주 월요일에 퀸메리호를 대체하여 운행한다. 목포 → 제주는 09:00에, 제주 → 목포는 17:00에 출항한다. 운항시간은 약 4시간 30분.
파일:퀸제누비아.jpg

5.1.2. 퀸제누비아2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퀸제누비아2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퀸제누비아2#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퀸제누비아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퀸제누비아2.jpg

5.1.3. 산타모니카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산타모니카(씨월드고속훼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타모니카(씨월드고속훼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타모니카(씨월드고속훼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3300t급 쾌속선으로 퀸스타2호에 비해 규모가 훨씬 큰 덕에 차량선적이 가능하며 진도 - 제주를 빠르게 이어준다. 진도 출항 오전편, 제주발 오후편은 추자도에 입항하기에 제주에서 타고 올 경우에는 퀸스타2호와 연계가 가능하다.
<rowcolor=#fff> 산타모니카호 운항스케줄
구분 진도출항 추자도착 추자출발 제주입항 비고
진도출항 시간 08:00 08:45 09:10 10:00 첫번째, 세번째주 수요일 휴항
13:30 15:00
구분 제주출항 추자출발 추자도착 진도입항
제주출항 시간 11:00 12:30
16:20 17:10 17:35 18:20
파일:산타모니카호.png

5.2. 퇴역

<rowcolor=#fff> 선박명 퇴역연월
퀸메리호(1대) 2011년 2월
씨스타크루즈호 2018년 3월
산타루치노호 2020년 9월
퀸메리호(2대) 2022년 8월
퀸메리2호(3대) 2024년 2월

5.2.1. 씨스타크루즈호

  • 목포 - 제주 항로의 2011년 정규운항에 투입, 2018년 3월 6일에 퇴역, 해외에 매각된 크루즈선이다. 15,089톤의 규모로, 여객 1,935명과 승용차 기준 500대를 동시에 수송이 가능했다.

5.2.2. 산타루치노호

파일:santalu.jpg
  • 2015년 10월 취항하였다. 이 배는 일본에서 1995년 건조되어 한큐페리(阪九フェリー) 소속의 페리 스오(フェリーすおう)로 운용되던 여객선을 중고로 도입한 것이다.[6] 15,180톤 규모이다. # ##
  • 1인실이 존재했다. 평일기준 운임은 58,700원으로 밤에 편히 잘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보면 크게 비싸지 않은 편.
  • 2020년 9월 선령 만기로 퇴역하였다. 대체선박은 국내의 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한 새로운 카페리선인 '퀸제누비아'.

5.2.3. 퀸메리호(1대)

  • 뉴씨월드고속훼리를 대체할 목적으로 2008년에 투입된 선박으로, 2011년 전술한 씨스타크루즈호로 대체되면서 퇴역하였다. 후술한 2018년 취항하여 2022년까지 운항했던 퀸메리호와는 이름만 같다.

5.2.4. 퀸메리호(2대)

파일:mael.jpg
  • 2011년 2월 취항하였던 씨스타크루즈호를 대체해 2018년 3월부터 투입되었다. 13,665톤 규모. 1998년 일본에서 건조되었으며 썬플라워 삿포로라는 이름으로 운행한 적이 있다.[7] 다만 한국은 규정상 선령 25년까지이기 때문에[8][9] 5년간 땜빵할 용도로 들여온 것. #
  • 2022년 8월 7일 퇴역하였다. 대체선박은 ‘퀸메리2’

5.2.5. 퀸메리2호(3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퀸메리2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퀸메리2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퀸메리2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퀸메리2.jpg

5.2.6. 씨월드마린호

  • 2018년 3월에 도입한 차량적선 전용 화물선이다. 12,727톤 규모. 객실의 경우 위험물관리자와 특수화물관리자만 승선이 가능하다.
  • 목포 → 제주는 매주 화, 수, 목, 금, 토, 일요일에 01:30분에 출항하며, 소요시간은 약 4시간 30분.
  • 제주 → 목포는 매주 월, 화, 수, 목, 금, 토요일에 17:30분에 출항하며, 소요시간은 약 4시간 30분.
파일:SEAWORLDHA.jpg
  • 2025년 대체 선박인 씨월드마린2를 도입하였다.

5.3. 기타

5.3.1. 퀸스타2호

<rowcolor=#fff> 퀸스타 2호 운항스케줄(과거)
구분 제주출발 추자도착 추자출발 우수영 도착
제주출발 시간 09:30 10:30 11:00 12:30
구분 우수영 추자도착 추자출발 제주도착
우수영출발 시간 14:30 16:00 16:30 17:30
파일:퀸스타 2호.png
  • 둘째, 넷째 주 수요일 운휴하며, 우수영 → 제주간은 14:30에, 제주 → 목포간은 09:30에 출항했었다. 운항시간은 약 3시간.
  • 퀸스타 2호(364톤)는 여객정원 444명이며, 시간당 33노트의 속도로 3시간이면 제주에서 우수영까지 갈 수 있었다.
  • 카페리가 아니어서 차량을 탑재할 수 없다.[10]
  • 제주에서 올 경우에는 같은 선사의 산타모니카와 연계된다.
  • 퀸스타2호는 파도가 2m만 일어도 운항에 차질을 빚고 있다.[11]
  • 2024년 4월 7일부로 경영 악화 등을 이유로 운항이 중지되었다.# 그러나 다음해 4월, 울릉크루즈의 울릉 사동항-독도 노선에 투입되었다. 양도나 매각 등으로 소유권이 정식으로 이관된 것인지, 아니면 단순 용선으로 빌려온 건지 불확실하여 기타로 분류하였다.[12]

6. 사건 및 사고

2019년 12월 30일 오후 11시 30분 기상악화로 인해 예정보다 1시간 일찍 목포항을 출발했던 산타루치노호가 오전 2시경 진도 인근에서 풍랑으로 인한 해경의 회항 지시로 목포로 돌아왔다. 이후 승객들을 그대로 태운 채 목포항에서 대기하다 12월 31일 오후 12시 30분경 운항 허가가 나와 퀸메리호와 함께 출항해 당일 오후 5시경 무려 11시간 지연된 상태로 제주항에 입항하는 사건이 있었다. 당시 산타루치노호 승객들은 자그마치 20시간을 배 안에서 보내야 하는 불편함을 겪었다.

7. 여담

코레일관광개발과 제휴하여, 배 시간과 연계되는, 용산 - 목포 간 KTX, ITX-새마을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 여객선과 열차 요금 모두 30%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열차는 중간역 승차도 가능하다.[13]

현재 목포-제주노선을 운행하는 선박은 모두 현대미포조선에서 제작되었다.
[1] 목포항국제여객선터미널 안에 위치해 있다.[2] 이는 초대 퀸메리호로, 2018년 취항하여 2022년까지 운항했던 퀸메리호와는 이름만 같다.[3] 다만 앞 내용에서 볼 수 있듯 이미 퀸메리라는 이름을 두 번이나 쓴 적이 있기에 이 선박은 이름과는 다르게 3대 퀸메리호인 셈이다.[4] 이때 목포에서 출항하는 요일 기준은 12시를 기준으로 날짜를 넘겨서 산정한다. 기존에는 목포에서 00시 30분에 출항하였으나 날짜를 혼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항시간을 새벽 1시정각으로 늦췄다.[5] 본래 4시간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지만, 새벽에 너무 일찍 도착하지 않도록 일부러 운항 속력을 느리게 잡아 30분 더 소요된다.[6] 똑같이 한큐페리에서 운용하던 페리 셋츠(フェリーせっつ)라는 이름의 자매선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이 배 역시 한국에 매선되어 한일고속의 여수~제주항로에서 운용되다가 비슷한 시기에 퇴역하였다.[7] 그래서 화장실에 설치된 전자식 물품을 보면 일본어로 쓰여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8] 이것도 줄어든 것으로, 원래 20년이었다가 이명박 정부 들어 30년으로 늘려준 것을 세월호가 터지고 나서 20년으로 줄이되, 검사를 통과하면 최대 5년 더 운행이 가능하다.[9] 참고로 일본은 여객선에 선령제한이 없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연식이 오래되지 않은 선박을 매각하는 이유는 이용객 수요가 많고 신조선 금융이 잘 되어있기 때문. 또한 한국과 달리 여객선사들이 대기업의 계열사이거나 대기업에서 지분을 가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10] 부산광역시~대마도간 여객선 니나호와 동형선이다. 이 역시 2025년부로 퇴역.[11] 동형선이었던 니나호 역시 승선감에서 악평을 받았으며 결국 이는 선박 수송능력이 수요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과 맞물려 노바호로 조기에 교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12] 울릉크루즈가 같이 운항하고 있는 뉴씨다오펄 역시 석도국제훼리의 선박을 용선 형식으로 빌려온 것이다.[13] 현재는 제주발 17:00 퀸메리호를 제외하고 이용가능하다. 과거에는 제주에서 출발한 배가 목포항에 밤 9시 ~ 조류에 따라 밤 9시 40분에 도착하면 목포에서 밤 11시에 용산으로 출발하는 호남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었으나 호남선 야간 열차가 폐지되었다. 제주행은 주로 용산역에서 저녁에 출발하는 KTX열차와 목포항에서 밤 1시 정각에 출항하는 배편과 연계해서 다음날 아침 5시 ~ 6시 사이에 제주항에 도착해서 아침 일찍 여행을 시작하는 여정이 인기있으며 퀸제누비아호의 스탠다드 또는 이코노미석이 적용대상이다. 아침 일찍 도착하면 당일치기 한라산 정상 등반 일정 또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