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9:48:30

쌍촌역

쌍촌역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역명 표기
1호선 쌍촌
Ssangchon
双村 / [ruby(双村, ruby=サンチョン)]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983 (내방동 843)
운영 기관
1호선 광주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2004년 4월 28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연계 교통5. 일평균 이용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쌍촌역.jpg
쌍촌역 대합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11번.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983 (내방동)[1]에 위치해 있다.

2. 역 정보

2012년 7월에 발표된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계획에 1지선 환승역으로 계획되었다. 기사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1지선 노선이 시청역(가칭)~광주역이 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스크린도어가 없는 역이었지만, 2016년 6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가동 중이다.

2.1. 승강장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765_000_3%2F20170330092225803_JMUXQSEUF.jpg%2F8290264.png
승강장
파일:attachment/쌍촌역/ssangcheon.jpg
역 안내도
이 역과 운천역, 화정역은 지상으로 가는 엘리베이터가 운임구역을 넘나드는 구조이다. 1층[2]에서 지하 1층으로 내려오면 운임구역 안으로 들어오게 되어있고, 지하 2층으로 내려오면 소태방면 개찰구가 나온다.[3] 지하 1층을 운임구역 밖으로 설계했어야 했으나 미처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4] 이 때문에 지하 1층 개찰구에서 카드를 찍고 다시 뒤를 돌아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는 양심있는 시민들의 불편이 따라온다. 사실 이는 지하 2층 개찰구를 없애고 1층 엘리베이터 입구에 개찰구를 만들면 모든 것이 해결 가능하다.많은 데가 이미 이렇게 하고 있는데... 거기에 위급 시에만 이용해야하는 비상 개찰구가 상시 개방되어 있어, 그대로 나가거나 들어가는 사람들도 종종 볼 수 있다.[5]
화정
운천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농성·금남로4가·남광주·녹동 방면
상무·김대중컨벤션센터·광주송정역·평동 방면

3. 역 주변 정보

과거 이 부근에 광주가톨릭대학교와 국군광주병원이 있었다. 현재 광주가톨릭대학교는 나주시 남평읍으로 이전하였으나 현재는 평생교육원천주교 광주대교구의 교구청으로 쓰이고 있어 광주/전남지역 천주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국군광주병원은 함평군 해보면으로 이전한 상태이며, 현재는 국군함평병원이 되었다.

그 외에는 맥도날드[6]를 포함한 일부 상업시설과 단독주택 위주의 주거지역[7][8]이 있으며, 광주여자고등학교, 광주화정초등학교, 화정근린공원과 멀게는 페퍼스타디움, 광주월드컵경기장이 있어 이 역 1번출구에서 내려 40분을 직선으로 걷든지 2번 출구에서 매월16번으로 환승해 쉽게 갈 수 있다.

4. 연계 교통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쌍촌역(2070)
한국농어촌공사 방면, 3번 출구 앞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간선
지선
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
나주 간선
함평 농어촌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쌍촌역(2086)
잿등 방면, 2번 출구 앞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간선
전라남도 시내/농어촌버스
나주 간선
함평 농어촌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9088><bgcolor=#009088> 연도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bgcolor=#009088> 비고 ||
2004년
~
2015년
자료없음
2016년 4,828명
2017년 4,704명
2018년 4,713명
2019년 4,921명
2020년 3,633명
2021년 3,871명
2022년 4,180명
2023년 4,384명
2024년 4,486명
출처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위로는 상무1동 동편 및 대부분의 화정1동, 아래로는 상무2동 동편 및 화정3,4동을 역세권으로 삼는다. 옆에 있는 화정역 보다는 역세권이 제법 넓은 편.
  • 특히 역세권 위 쪽 지역이 끼고 있는 내방로 일대는 1호선 주요행선지에서 상무지구를 제외하면 송정역과 금남로로 바로 가는 버스가 없고, 지하철 접근성이 나쁘지 않아 이용률이 다소 높은 편.


[1] 내방동 843[2] 2번 출구[3] 평동방면 지하 1층~지하 2층을 운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외. 이 방법을 이용해 무임승차를 하는 경우가 잦아서 공사 측에서 집중 단속 중이다. 방법은 들어올 때 기준으로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1층으로 내려와 소태방면은 계단 이용, 평동방면은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 이용을 하고 나갈 때는 그 반대로 하면 된다. 지하 1층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게 핵심.차피 다른 데 가면 찍고 나가야하는데[4] 이 때문에 계단을 이용해 지하 1층으로 내려와서 이미 개찰구를 찍고 들어온 경우에는 지하 2층에서 개찰구를 통과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혼동이 잦은 것을 우려했는지 지하 2층 엘리베이터 앞에 직원을 불러달라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5] 사용 목적이 쓰여있음에도[6] 운천역과 더 가깝다.[7] 원룸이 많아 외국인들도 쉽게 볼 수 있다.[8] 특이하게 한국아델리움이 지은 아파트 단지가 역 인근에 2군데 위치한다.

6. 둘러보기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