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7:28:27

신당(경혈)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text-align:center;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정명 찬죽 미충 곡차 오처
승광 통천 낙각 옥침 천주
대저 풍문 폐수 궐음수 심수
독수 격수 간수 담수 비수
위수 삼초수 신수 기해수 대장수
관원수 소장수 방광수 중려수 백환수
상료 차료 중료 하료 회양
승부 은문 부극 위양 위중
부분 백호 고황 신당 의희
격관 혼문 양강 의사 위창
황문 지실 포황 질변 합양
승근 승산 비양 부양 곤륜
복삼 신맥 금문 경골 속골
족통곡 지음
}}}}}}}}}}}} ||
神堂

1. 개요2. 특징

1. 개요

신당(神堂)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 속하는 경혈 중 하나로 번호는 44번이다. 등과 심장 부위의 질환을 다스리는 데 사용된다. 위치는 등 부위, 제5흉추 극돌기 아래에서 가쪽으로 3촌 떨어진 지점에 있다. 한의학에서 신(神)은 심장이 주관하는 정신 활동을 의미하고, 당(堂)은 집이나 마루를 뜻한다. 이름 그대로 심장과 관련된 정신 활동이 모이는 중요한 혈자리이다.

2. 특징

신당 혈자리 부위에는 심장과 관련된 신경 및 혈관이 분포하고 있어, 자극 시 심장 기능과 정신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특히 가슴 답답함, 가슴 두근거림, 불안감, 불면증 등 심장과 관련된 정신적, 신체적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등과 어깨 부위의 근육 긴장을 풀어주어 등 통증, 어깨 결림 등에도 도움을 준다.

임상에서 신당은 주로 심장병, 신경쇠약, 불면증, 불안증과 같은 심혈관 및 신경 정신 질환에 쓰인다. 또한, 만성적인 등 통증이나 어깨 결림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도 자주 사용된다. 자침 방법은 일반적으로 0.5~0.8촌 깊이로 자입하며, 등 부위에 위치한 혈자리인 만큼 폐와 늑막 손상을 피하기 위해 숙련된 한의사의 정확한 시술이 필수적이다. 깊게 자입할 경우 내부 장기 손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