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2 22:02:28

스타루힌 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지방구장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리그(Central League)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리그(Pacific League)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오릭스 버팔로즈 치바 롯데 마린즈
교세라 돔 오사카
머스캣 스타디움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로고.svg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원형 엠블럼.sv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 알펜 스타디움
이시카와현립 야구장
야마료 스타디움 야마가타
아즈마 구장
나가라가와 구장
교세라 돔 오사카
키타큐슈 시민구장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
헤이와리스 구장
도쿄 돔
교세라 돔 오사카
도쿄 돔
코마치 스타디움
이와테 모리오카 볼파크
하루카유메 구장
야마가타 야구장
요크 카이세이잔 스타디움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주니치 드래곤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토요하시 시민구장
나가라가와 구장
오미야공원 야구장
시키시마 구장
오키나와 셀룰러 스타디움 나하
도쿄 돔
-
1군 홈구장 목록 · 2군 홈구장 목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699><tablebgcolor=#006699>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유색배경).svg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반 문서
<colbgcolor=#006699><colcolor=#fff> 모기업 관련 정보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06699,#ffffff>파일:닛폰햄 로고.svg 닛폰햄
일본시리즈 우승
★★★
1962 · 2006 · 2016
리그 우승
(7회)
1962 · 1981 · 2006 · 2007 · 2009 · 2012 · 2016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2회)
1981후기 · 1982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7 · 2008 · 2009 · 2011 · 2012 · 2014 · 2015 · 2016 · 2018 · 2024
시즌별 요약 2023 · 2024
현역 선수 경력 키요미야 코타로/선수 경력
경기장 1군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2군 카마가야 파이터즈 스타디움
과거 고라쿠엔 구장 · 메이지진구 야구장 · 도쿄 돔 · 삿포로돔
지방 구장 스타루힌 구장(아사히카와) · 오비히로노모리 야구장(오비히로) · 쿠시로 시민구장(쿠시로)
오션 스타디움(하코다테)
홈 중계 채널 파일:가오라스포츠 로고.png
주요 인물 구단주 이카와 노부히사 · 단장 키다 마사오 · 감독 신조 츠요시 · 선수회장 마츠모토 고 · 주장 공석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파일:Starffin_Stadium.jpg
스타루힌 구장
スタルヒン球場
개장 1984년 4월 1일
소재지 홋카이도 카미카와 종합진흥국 아사히카와시
소유자 아사히카와시공원녹지협회
홈구단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04~)
크기 좌우 95m, 중앙 120m
잔디 천연잔디
좌석규모 25,000석
1. 개요2. 명칭3. 경기 내역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홋카이도 카미카와 종합진흥국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고교야구, 아마야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프로야구 경기가 개최되고 있으며 2013년에 조명탑이 설치되었다.

2. 명칭

정식 명칭은 하나사키 스포츠공원 경식 야구장으로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초의 외국인 선수(러시아 출신의 무국적인)이며 통산 300승 투수인 빅토르 스타루힌의 이름을 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3. 경기 내역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가 지방구장시합으로 연간 1경기 혹은 2경기를 개최하며 조명탑이 달려있어 야간경기를 치르고 있다.

2020년도에는 2경기 개최를 하려 했으나 코로나로 전면 취소. 이후 2021, 2022년은 정상적으로 1군 경기를 치렀으나 2023년에는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의 개장으로 인해 아예 1군 경기가 미편성되었다. 대신에 2군 경기가 1경기 잡혔다.

2024년에는 2군 경기도 미편성되었고 2025년에는 다시 2군 경기가 1경기 편성되었다. 이 경기는 시간당 2mm의 비가 경기 내내 왔으나 모종의 이유에서[1] 심판진은 경기를 강행했고 딱 5회까지만 하고 강우콜드로 경기를 끝냈다. 결과는 원정팀 롯데의 5:1 승리.

4. 기타

  • 프로야구 경기는 2023년 이후로는 2년에 1회 꼴, 그나마 2군밖에 없지만 노선버스가 여럿 다니기 때문에 고교야구 경기나 어쩌다 한 번 열리는 닛폰햄의 경기를 보러 가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2] 다만 아사히카와는 JR조차도 PASMO나 스이카를 쓸 수 없을 정도로 교통카드가 갈라파고스화되어 아사히카와 전용 교통카드만 쓸 수 있다. 따라서 아사히카와 거주자거나 교통카드 수집가가 아니라면 현금 혹은 버스 패스로 승차해야 한다.
  • 지방구장답게 매점은 전부 간이매점이지만 경기가 열릴 때마다 임시로 생기는 소바가게의 소바가 나름 명물이라는 듯하다.
  • 내야에 지붕이 전혀 없으니 비가 오는 날이나 햇빛이 매우 강한 날의 경기가 잡히면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의자에는 등받이가 전혀 없고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외야는 전부 잔디석이다.

5. 관련 문서


[1] 대부분의 팬들은 2년만에 편성된 아사히카와 경기인데다 1군 경기처럼 시구 이벤트는 물론 온갖 특별 이벤트를 다 마련했기 때문에 아까워서 강행한 것으로 추측한다.[2] 구장 바로 앞에 서는 버스도 여럿이며, 구장에서 걸어서 7~10분 정도 걸리는 모 신사에 정차하는 버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