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7:08:30

쇼와 아이돌

쇼와돌에서 넘어옴

昭和アイドル

1. 개요2. 역사
2.1. 1970년대2.2. 1980년대 초중반2.3. 1980년대 후반 ~ 이후
3. 인물4. 영상보기

1. 개요

쇼와 시대, 특히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중후반까지 데뷔한 일본 아이돌을 일컫는다. 보통 남성 그룹ㆍ가수들 보단 여성 가수들을 칭할 때 주로 이 표현을 쓰며, 대표적 인물로는 마츠다 세이코[1], 나카모리 아키나, 야마구치 모모에, 나카야마 미호[2], 쿠도 시즈카 등이 있다.

2. 역사

2.1. 1970년대

1970년대는 쇼와 아이돌을 넘어 일본 아이돌 자체의 태동기라 할 수 있다. 아이돌 이라는 말이 붙은 거의 첫 인물인 여성 듀오 핑크 레이디나 1인 가수 야마구치 모모에 등이 이 시기 대표적 쇼와 아이돌이다. 그리고 이들의 음악적, 대중적 성과와 엄청난 성공[3]은 후대 여성 아이돌들의 탄생과 그 활동 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2.2. 1980년대 초중반

1980년대는 본격적인 쇼와 아이돌의 확장기이자 전성기로, 일본 가요계에서 대단히 큰 지분을 차지했다. 1980년도에 데뷔해 몇십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아이돌로 불리우는 쇼와 아이돌의 상징적 존재인 마츠다 세이코도 이 시기 활동을 시작했으며, 세이코의 유일한 대항마이자 세이코에 뒤지지 않는 커리어를 소유하며 역시나 인기가 높았던 2년 후배 나카모리 아키나도 이 시기 데뷔했다. 세이코는 푸른 산호초(연간 22위), SWEET MEMORIES(연간 7위), Rock'n Rouge(연간 3위) 등의 명곡을 냈고 아키나는 세컨드 러브(연간 8위), 장식이 아니야 눈물은(연간 6위), DESIRE -情熱-(연간 2위, 일본 레코드 대상 대상) 등의 명곡을 냈다. 두 사람 모두 2천만 장이 넘는 총합 판매량을 기록하며 아이돌의 범주를 뛰어넘어 80년대 초중반 일본 연예계의 큰 이슈거리 자체가 이 두 사람의 라이벌 구도였을 정도로 대성공했다. 이외에도 세이코와 같은 해 데뷔하고 스마일 포 미(연간 59위), デビュー ~Fly Me To Love~(주간 1위, 레코드 대상 금상)등의 명곡이 있는 카와이 나오코Woman "Wの悲劇"より으로 유명한 야쿠시마루 히로코, 코이즈미 쿄코, 하야미 유, 마츠모토 이요 등의 아이돌들도 대중에게 사랑받았다.

특히 1982년에 데뷔한 아이돌들이 모두 성공하자, 82년에 데뷔한 이들을 한데 묶어 '꽃의 82년조'라 칭하기도 했다.

2.3. 1980년대 후반 ~ 이후

1980년대 후반은 나카야마 미호, 쿠도 시즈카wink 등이 데뷔하며 世界中の誰よりきっと(세상 누구보다 분명)[4], 무언・응・・・요염해, 사랑이 멈추지 않아 〜Turn It Into Love〜 등의 명곡들을 배출해 세이코ㆍ아키나의 위상을 이어갔다. 나카야마 미호, 쿠도 시즈카, 아사카 유이, 미나미노 요코 이 네 사람이 80년대 후반 최전성기를 지나던 세이코ㆍ아키나의 뒤를 이어 아이돌 사대천왕이라 불리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체커즈, 엑스재팬 등 남성 그룹들이 계속해 인기를 끌고 90년대는 가요계의 기조가 바뀌며 점차 우리에게 익숙한 현대식 아이돌 '그룹'들의 효시가 되는 모닝구 무스메가 데뷔하는 등 80년대 솔로(내지 듀오) 아이돌들의 시대가 그렇게 쇼와 시대와 함께 저물어 갔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나카모리 아키나, 나카야마 미호 등 일부 아이돌 출신 가수들이 드라마ㆍ영화 배우로도 활발히 활동하며 새로운 활동 분야를 개척하기도 했다. 아키나는 솔직한 그대로라는 드라마에 주연으로 출연해 평균 시청률 31.9%를 기록하며 가수로의 입지가 줄어든 90년대에 배우로써 성공했으며 미호는 쇼와 아이돌들 가운데 가장 활발히 배우로 활동하며 한국에서 흥행한 일본 실사 영화 1위인 러브레터로 성공했다.

3. 인물

4. 영상보기


[1] 팜하니가 부른 푸른 산호초의 원곡자다.[2] "오겡끼 데스까~"대사로 한국에서도 유명한 영화 러브레터의 주인공 배우이다.[3] 핑크 레이디는 밀리언 셀러 작품도 여럿 있을 정도로 인기있었고, 야마구치 모모에는 단 7년 동안의 활동만에 1500만 장이 넘는 음반 판매량을 기록했을 정도로 70년대 가요계의 스타였다.[4] 더 넛츠사랑의 바보 원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