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1 09:06:49

서울극장

합동영화 주식회사
HapDong Limited.
파일:seoulcinema.png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설립일 1954년 5월 2일
폐업 2021년 8월 31일
창업주 곽정환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13 (관수동)
대표 곽승남
업종명 극장 운영,영화 수출입/사무실 임대업
기업 규모 중소기업
상장 여부비상장기업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3. 대중매체에서

1. 개요

서울 종로에 있던 극장으로, 운영사는 합동영화.

2. 역사

파일:서울극장 - 1987년.jpg
단관시절 서울극장 모습(1987년)
1958년에 세기상사(대한극장)의 창업주인 국쾌남(1922~2007)이 '메트로극장'으로 창업하여 1960년에 '세기극장'으로 바꾸어 같은 세기상사 계열인 대한극장과 동시상영을 해왔으나 1979년부터 곽정환(1930~2013)이 이끄는 합동영화사에 넘겨지면서 '서울극장'이란 이름이 되었다. 그러다가 1989년부터 서울씨네마타운으로 사명을 바꾼 뒤 '베니스', '아카데미', '칸느' 3개관으로 증축하여 국내 최초로 멀티플렉스화를 시도하였으며 몇 개월 뒤에는 베니스 등 3개관 명칭을 '서울극장'으로 일원화하고, 1997년에 극장명까지 본래 명칭으로 회귀하였다.
파일:서울극장 - 2002년.jpg
2002년, 서울극장의 모습
파일:서울극장 - 2004녀.jpg
2004년, 11개관으로 리모델링된 서울극장

2003년 말 다시 한번 11개관으로 리모델링되었고, 이 후 2018년 리모델링을 할 때까지 14년 동안 이 상태를 유지했다.
파일:서울극장 시사회 - 이중간첩.jpg
영화 <이중간첩>(2002) 시사회

1990년대~ 2000년대 후반까지, 서울극장은 한국 영화계에서 상징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이 시기까지 개봉한 대부분의 한국 영화 시사회는 서울극장이나 대한극장에서 열렸다. 특히 CGV 같은 대형 멀티플렉스가 등장한 뒤에도 한동안 이러한 풍토는 계속 이어졌다.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도 재임 시절 서울극장에서 영화 관람 행사를 열었을 정도로 이 영화관이 가지고 있던 위상이 막강했다는 얘기. 그러나 2000년대 후반부터 대형 멀티플렉스의 급속한 성장으로 조금씩 입지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2010년대에는 적자위기에 내몰린 옛 영화관 중 하나로 전락하고 말았다.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의 서브 역할을 하는 대한극장과 달리, 서울극장은 이전의 위상에 비하면 확실히 초라해 보일 정도로 위치가 떨어졌다. 후기에는 서울아트시네마인디스페이스, 페인터스가 입주해 있었다.

2020년에 접어들어 코로나19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고, 결국 2021년 8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하였다. 세들어 있던 인디스페이스와 서울아트시네마도 각각 2021년 12월 30일 및 12월 31일까지 각각 영업하고 2022년 3월에 이전하였고, 합동영화 측은 관수PFV[1]에 극장 부지를 매각했으며 2023년까지 PFV 측이 상당수 부지를 매입, 건물은 철거 진행 상태이다. 2024년 들어 이 부지가 '관수동구역 제3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에 포함되어 2025년 서울시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에 의결, 추후 이 부지에 26층짜리 업무용 빌딩이 들어설 계획이며 옛 서울극장 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을 세우고 옛 극장 간판도 재현, 미디어 스크린 방식으로 옛날 영화를 상영하는 야외광장 '미러 폰드'도 설치할 계획이다.#

극장 폐업 이후인 2021년 10월 15일엔 곽정환 회장의 아들인 곽승남 대표가 2년간 췌장암으로 투병하다 향년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합동영화는 대구 중앙시네마(야인시대로 유명한 서울 중앙시네마랑 관련없다.), 대전 MCV 아카데미극장, 부산 대영시네마[2]을 운영하기도 하였으나 대구 중앙시네마는 2010년, 대전 MCV 아카데미극장은 2016년, 대영시네마는 2024년 각각 사라졌다. 그 회사는 최근 자사가 제작/배급했던 영화들의 저작권 관리를 맡고 있다.

3. 대중매체에서

  • 2022년 개봉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에 등장한다. 2019년 촬영작이라 로켓맨, 기생충, 우리집 포스터가 걸려 있다. 코로나19 때문에 개봉시기가 밀리면서 정작 영화 개봉은 서울극장이 사라진 뒤였다.
  • 2024년 영화 <미망>의 무대 중 하나로 나온다.

[1] 캡스톤투자운용의 사모펀드 캡스톤일반사모부동산투자펀드1호가 지분 100% 소유.#[2] 영화 국제시장에 나온 극장이 이 극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