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12:57:49

사바나왕도마뱀


왕도마뱀속 현존 생물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왕도마뱀속엠파구시아아속<colbgcolor=#fff,#1c1d1f> 벵골왕도마뱀 · 듀메릴왕도마뱀 · 황금왕도마뱀 · 구름왕도마뱀 · 검은거친목왕도마뱀
에우프레피오사우루스아속베네트긴꼬리왕도마뱀 · 터키옥왕도마뱀 · 세람맹그로브왕도마뱀 · 케이섬왕도마뱀 · 푸른꼬리왕도마뱀 · 뉴아일랜드왕도마뱀 · 핀슈왕도마뱀 · 맹그로브왕도마뱀 · 칼슈미트왕도마뱀 · 렌넬왕도마뱀 · 리룽왕도마뱀 · 퀸스왕도마뱀 · 사고왕도마뱀 · 귄터맹그로브왕도마뱀 · 머싸우푸른꼬리왕도마뱀 · 타님바왕도마뱀 · 마리아나왕도마뱀 · 검은등맹그로브왕도마뱀 · 은색왕도마뱀
왕도마뱀아속코모도왕도마뱀 · 페런티왕도마뱀 · 굴드왕도마뱀 · 머튼스왕도마뱀 · 알거스왕도마뱀 · 로젠버그왕도마뱀 · 스펜서왕도마뱀 · 레이스왕도마뱀
작은왕도마뱀아속가시꼬리왕도마뱀 · 공작왕도마뱀· 짧은꼬리난쟁이왕도마뱀 · 필바라줄무늬꼬리왕도마뱀 · 줄무늬꼬리왕도마뱀 · 걸프산등성이꼬리왕도마뱀 · 붉은사막왕도마뱀 · 꼬마뮬가왕도마뱀 · 킴벌리바위왕도마뱀 · 검은손바닥바위왕도마뱀 · 해머슬리산맥바위왕도마뱀 · 그루트에이랜트왕도마뱀 · 킹스바위왕도마뱀 · 미셸물왕도마뱀 · 필바라바위왕도마뱀 · 북방넓은가시왕도마뱀 · 띠나무왕도마뱀 · 붉은왕도마뱀 · 시밀리스왕도마뱀 · 댐피어반도왕도마뱀 · 스토르왕도마뱀 · 티모르왕도마뱀 · 검은머리왕도마뱀
나무왕도마뱀아속검은나무왕도마뱀 · 금색점무늬나무왕도마뱀 · 보거트왕도마뱀 · 푸른코나무왕도마뱀 · 비악나무왕도마뱀 · 푸른나무왕도마뱀 · 에메랄드나무왕도마뱀 · 노랑나무왕도마뱀 · 미스터리나무왕도마뱀
소테로사우루스아속반곤왕도마뱀 · 노란머리물왕도마뱀 · 엔텡왕도마뱀 · 대리석물왕도마뱀 · 큰비늘물왕도마뱀 · 팔라완물왕도마뱀 · 라스무센물왕도마뱀 · 물왕도마뱀 · 사마르물왕도마뱀 · 토기안물왕도마뱀
폴리다이달루스아속바위왕도마뱀 · 사바나왕도마뱀 · 나일왕도마뱀 · 서아프리카나일왕도마뱀 · 오네이트왕도마뱀 · 예멘왕도마뱀
필리핀왕도마뱀아속북부시에라마드르숲왕도마뱀 · 파나이왕도마뱀 · 그레이왕도마뱀
사막왕도마뱀아속사막왕도마뱀 · 네스테로브사막왕도마뱀
솔로몬제도가시왕도마뱀아속솔로몬제도가시왕도마뱀
악어왕도마뱀아속악어왕도마뱀}}}
}}}
사바나왕도마뱀(사바나모니터)
Savannah monitor, Bosc's monitor
파일:savannah_monitor.jpg
학명 Varanus exanthematicus
Bosc, 1792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파충강 Reptilia
뱀목 Squamata
왕도마뱀과 Varanidae
왕도마뱀속 Varanus
아속 폴리다이달루스아속 Polydaedalus
사바나왕도마뱀 V. exanthematic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사바나_굴.jpg
굴에 숨어있는 사바나왕도마뱀.

1. 개요2. 특징
2.1. 서식지2.2. 먹이
3. 사육4. 여담

1. 개요

왕도마뱀의 일종. 파충류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영어 명칭인 '사바나모니터'로 유명하며 유럽에서는 명명자인 루이 보스크의 이름을 딴 '보스크모니터(Bosc's Monitor)'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비슷한 특징을 지닌 바위왕도마뱀과 함께 묶여 '박스헤드모니터'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1]

2. 특징

다른 왕도마뱀과 비교했을 때 매우 짜리몽땅한 팔다리와 굵직한 두상, 눈 바로 앞에 위치한 콧구멍을 지니고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뒤통수에는 마치 쌀알같은 둥글둥글한 비늘이 오밀조밀 모여있는데 사바나왕도마뱀의 종명 역시 이것이 마치 피부 발진을 연상시킨다하여 그리스어로 발진을 의미하는 '엑산시마(εξάνθημα)[2]'에서 유래됐다.

입문자들의 동경을 유발하기 위한 수많은 샵주들의 사탕발림 때문에 '아프리카 최상위 포식자' 같은 미사여구로 그 위용이 뻥튀기되곤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 자란 사바나왕도마뱀은 커봐야 1m 내외, 2~3kg 정도로, 액키같이 지나치게 비싼 몸값 탓에 접근하기 어려운 몇몇 초소형종을 제외하면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왕도마뱀 중에선 사실상 가장 작은 종이며[3] 식단표를 봐도 절대다수가 무척추동물이고 서식지가 일부 겹치는 나일왕도마뱀만 하더라도 사방이 천적인 마당에 사바나왕도마뱀이 최상위 포식자라는 주장은 상당히 무리가 큰 허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4]

피부색은 배부가 어두운 갈색, 복부로 갈 수록 하얘지며[5] 전신에 흰 반점이 있고 꼬리에 줄무늬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파충류가 으레 그렇듯 출신지에 따라 흰색, 연두색, 주황색, 검은색, 금색 등 다양한 모프가 존재한다(#). 하지만 다양한 모프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표범도마뱀붙이볏도마뱀붙이와는 달리 이쪽은 국내에서 모프 별 거래 물량 건수는 흔하지 않다. 동공은 어릴 적에는 매우 짙은 고동색이나 성장할 수록 영롱한 호박색으로 변해간다.

2.1. 서식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수단 공화국에서 가로로 세네갈까지 이르는 수많은 국가에 걸쳐 서식한다. 애완용 개체들은 주로 경제 사정이 좋지 않은 가나토고같은 서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수출한다.

2.2. 먹이

달팽이, 게, 전갈, 메뚜기, 지네, 노래기, 딱정벌레 및 기타 무척추동물들과 개구리를 먹고 산다. 유충이나 귀뚜라미 역시 가리지 않고 잘 먹기 때문에 유체는 사육 상태에서 관리가 매우 쉽다.

다만 이렇게 벌레만 먹일 경우 성체로 자라나는데 시간이 2~3년 정도로 짧지 않게 걸리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육고기를 무리하게 먹여가며 키워 덩치를 빨리 불리는 대신 개체가 단명하는 계기를 초래하는 오너들이 매우 흔하다.

본디 척추동물을 주식으로 삼으며 진화한 생물이 아니기에[6] 쥐를 먹였을 경우 부작용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데, 사바나모니터를 기른 한 파충류 애호가의 증언에 의하면 끝끝내 쥐의 털을 소화하지 못해 개체가 무지개 다리를 건넌 사례 또한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바나왕도마뱀의 충식 붙임

허나 그럼에도 수많은 오너들이 성체에게만큼은 척추동물 고기를 먹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봉착하게되는데, 그 이유는 일단 왕도마뱀 전용 사료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벌레만으로는 이들의 허기를 채우는 데 현실적으로 무리가 크기 때문이다.[7]

먹이비용 절감과 개체의 비만을 방지하기 위해 닭가슴살같은 저지방 육류를 먹이는 것이 추천된다.[8]

3. 사육

붉은귀거북, 나일왕도마뱀과 같이 악덕상술에 희생되는 동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사이테스 2급종으로 서류를 발급받아야 합법적인 사육이 가능하지만, 악덕상술에 희생되는 동물이다 보니 무서류 분양이 판친다. 저렴한 분양가[9]와 어린이들의 호기심, 동경심을 유발하는 공룡같은 외모로 인해 잘 팔리기 때문.

대한민국을 벗어나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미국에서도 분양 후 파양되거나, 좁은 사육장에서 과도한 먹이를 먹어서 비만을 비롯한 온갖 질병으로 단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술했듯 하루 빨리 성체를 키우고 싶어 무리하게 육고기를 파워 피딩함으로 개체의 단명을 촉구하는 사례가 흔하다.

1미터 안팎으로 자라는 만큼 최소 4자에 달하는 사육장을 마련하거나 아니면 아예 방 하나를 내줘야 한다. 성격이 온순하지만 언제까지나 다른 종의 왕도마뱀들과 비교했을때 온순한 것이기에 맹수로 돌변하면 통제가 어렵다. 이들의 이상적인 주식은 곤충이나 병아리 같은 저지방 단백질이지만, 대부분 상황에서는 쥐나 비계같은 고지방 먹이를 먹여서 지방간을 비롯한 합병증으로 요절한다. 굳이 입양하고 싶다면 긴 사전연구를 하고, 사육 하에 번식된 개체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여담

  • 정시아가 키우는 애완동물이다.
  • 헌터퐝이 키우는 애완도마뱀의 종류 중 하나다.이름은 붐바야.
  • 2023년 7월 경북 영주에서 주인에게 버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사바나왕도마뱀이 포획되었다. 현재 국립생태원으로 옮겨져 보호받고 있다.
  • 한때 아버지가 중학생 아들의 도마뱀 집을 부순 사연이 올라와 논란이 되었었는데, 그 사연 속 등장하는 도마뱀이 바로 이 도마뱀이다. #

[1] 둘다 폴리다이달루스아속에 속한다. 하지만 이와 대조되는 '스네이크헤드모니터'라는 업계 용어는 학술적인 용어는 아닌데 후자에 포함되는 나일왕도마뱀 역시 사바나왕도마뱀과 같은 폴리다이달루스아속이기 때문이다.[2] 고전 그리스어로는 '엑산테마'[3] 대충 어림잡아서 말티즈요크셔 테리어같은 소형견들과 덩치가 비슷해서 소형견 전용 옷을 입혀주면 대개 딱맞는다.[4] 물론 성체 기준으로 덩치가 마냥 작은 편은 아니고 길고 두꺼운 꼬리는 사람같이 체급이 제법 되는 생물에게도 타격을 입힐 수 있기에 웬만한 중소형 포유류나 어중간한 크기의 맹금류 정도는 충분히 물리칠 역량은 지니고 있다.[5] 어린 시절에는 누리끼리한 색감이지만 성장할 수록 흰색에 가까워진다.[6] 실제로 사바나왕도마뱀의 두상과 구강구조는 달팽이 껍데기를 보다 쉽게 섭취하기 위한 진화의 산물이라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7] 위 영상에서도 나타나듯 사방팔방 도망다니는 유충을 개체가 다 잡아내리라는 보장도 없고 성체의 끼니를 채우려면 한번에 수십마리는 먹여야 하는데 고기 한 두 점 먹이는 것에 비해 가성비가 크게 떨어진다. 선호하는 먹이인 비싸디 비싼 노래기 역시 매 끼니마다 일일이 구해다 먹일 수도 없잖은가.[8] 물론 능력이 된다면 밀웜처럼 밀리패드나 달팽이를 양식해서 줘도 되긴 한다. 밀리패드는 정보가 적을 뿐이지 막상 해보면 그리 어렵지는 않고 달팽이의 경우는 사실 딱히 성체에게 알을 받아낼 필요도 없이 카페에서 처치곤란해진 새끼들을 대량으로 대려올수도 있다.[9] 검지손가락만한 베이비 기준으로 마리당 8만원밖에 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