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6 18:31:11

빌헬름(언라이트)


언라이트등장 캐릭터 일람
ID 1~100 에바리스트 · 아이자크 · 그룬왈드 · 아벨 · 레온
크레니히 · 제드 · 아치볼드 · 맥스 · 브레이즈
ID 101~200 쉐리 · 아인 · 베른하드 · 프리드리히 · 마르그리드
도니타 · 스프라우트 · 벨린다 · 로쏘 · 에이다
ID 201~300 메렌 · 살가드 · 레드그레이브 · 리즈 · 미리안
워켄 · 플로렌스 · 파르모 · 아수라 · 브라우닝
ID 301~400 마르세우스 · 루드 · 루카 · 스테이시아 · 볼랜드
C.C. · · 이블린 · 브라우 · 카렌베르크
ID 401~500 네넴 · 콘라드 · 비르기트 · · 샬롯
타이렐 · 루디아 · 빌헬름 · 메리 · 구스타브
ID 501~600 유레카 · 리니어스 · 나딘 · 디노 · 오우란(갈색)
오우란(흑백) · 노이크롬 · 이데리하 · 실러리 · 클로비스
ID 601~700 아리스테리아 · 휴고 · 아리안느 · 그레고르 · 레타
엡실론 · 폴레트 · 유하니 · 노엘라 · 라울
ID 701~800 제이미 · 세르바스 · 베로니카 · 리카르도 · 마리넬라
모건 · 주디스
부활
ID 2001~2100 에바리스트 · 아이자크 · 그룬왈드 · 아벨 · 레온
크레니히 · 제드 · 아치볼드 · 맥스 · 브레이즈
ID 2101~2200 쉐리 · 아인 · 베른하드 · 프리드리히 · 마르그리드
도니타 · 스프라우트 · 벨린다 · 로쏘 · 에이다
ID 2201~2300 메렌 · 살가드 · 레드그레이브 · 리즈 · 미리안
워켄 · 플로렌스 · 파르모 · 아수라 · 브라우닝


네이버 소셜 게임 TCG 언라이트의 캐릭터.

1. 개요2. 대사3. 소개4. 능력치 변화
4.1. 노멀
4.1.1. HP/ATK/DEF/스킬4.1.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4.2. 레어
4.2.1. HP/ATK/DEF/스킬4.2.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5. 스킬6. 전용 무기7. 언라이트: 스키조크로니클에서
7.1. 대사7.2. 액션카드

1. 개요

파일:attachment/WilhelmP.jpg
파일:attachment/빌헬름(언라이트)/Wilhelm1.jpg파일:attachment/빌헬름(언라이트)/Wilhelm2.jpg파일:attachment/빌헬름(언라이트)/Wilhelm3.jpg파일:attachment/빌헬름(언라이트)/Wilhelm4.jpg파일:attachment/빌헬름(언라이트)/Wilhelm5.jpg
파일:ll86GfG.png파일:dBUmf71.png파일:빌헬름R3.png파일:빌헬름 R4.png파일:빌헬름 R5.png
이름 빌헬름 능력치 HP 8
영문명 Wilhelm 공격력 7
일문명 ヴィルヘルム 방어력 7
중문명 威廉[1] 합계 22
별명 Deadman[2] 코스트 10
생일 비의 달 29일[3] 혈액형 A형
출신지 론즈브라우 왕국 취미 약초 재배
178cm 몸무게 64Kg
페어 캐릭터 메리
프로필
불사의 힘을 가진 전 론즈브라우 군인. 자신의 태생을 알기 위해 계속 방랑한다.

2. 대사

  • "내 정체를 알고싶나? 나도 알고 싶어."
  • "좀 봐줘. 나는 싸우기 위해 여기 있는게 아냐."
  • "싸우는 건 이제 지겨워, 빨리 사라져라!"
  • "너도 이 힘의 제물이 되고 싶어 온 건가?"
  • "나는 그저 조용히 살고싶어. 그런데 왜……!"
  • "전하……무사하셨군요……"(vs 그룬왈드 Lv.5 이상)
  • "네 놈의 그 힘은 대체 뭐냐…!" (vs 벨린다 Lv.5 이상)
  • "장갑병… 이런 식으로 대치하게 될 줄은…." (vs 에이다/플로렌스 각각 Lv.5 이상)
  • "너의 그 힘, 설마 나 때문에…" (vs 메리 Lv.4 이상)
  • "네가 생각하는 만큼 불사의 힘은 간단한 게 아니다." (vs 구스타브 Lv.3 이상)
  • "저 귀마개만 어떻게 한다면, 승기를 잡을수 있겠어." (vs 타이렐 Lv.3 이상)
  • "무슨 말을 하든 간에, 난 너희를 따를 생각은 없다." (vs 클로비스 Lv.3 이상)
  • "땅파는 것도 무기의 일종인가. 방심할 수 없겠어." (vs 스프라우트 Lv.3 이상)

3. 소개

기념비적인 론즈브라우국 출신에 병약 속성 남캐. 일인칭은 오레(俺). 풀네임은 빌헬름 크로토(Wilhelm Kroto)이지만, 테크웨이의 제멋대로 표기 때문에 한국판에선 "크루트"로 번역되었다. 일본 원판에서 그룬왈드가 빌헬름을 부르는 명칭이 쿠루토 소령(クルト少佐)이라 한국판에선 '크루트'라 번역한 것이지만 영문판에서는 'Kroto'라 표기되어서 이도저도 아닌 게 되어버렸다. 그나마 생각할 수 있는 건 '크루토'(kruto)라 표기할 것을 Kroto라 오타내서 영판에 표기한 게 아닐까 싶지만 진실은 저 너머에...

구캐와의 접점을 늘려가고 있는 당시 신캐답게 구캐들에게 상호 대사를 건네는데 특히 그룬왈드에게는 벨린다 이후에 약 2년 만에 생긴 접점이라 태자를 최애캐 삼는 사람들에게는 경사와 같았다.

여태까지 나온 캐릭터 중 능력치 총합이 가장 높지만 스킬 특성이랑 겹치면 공격력 방어력은 큰 의미가 없다. 오히려 낮아야 좋은 캐릭터. 그래서인지 이블린에 이어서 "능력저하" 상태이상을 들고 나왔으며 전용장비도 "근공-2/원방-3"이라는 감소치가 달려 있었으나 밸런스 패치로 원거리 방어는 증가치로 바뀌어서 방어 스킬을 쓸 수 없는 중거리에서의 생존력이 올라갔다. 봉인이나 스턴 등으로 인해 스킬을 제대로 발동하지 못하면 능력저하의 디메리트와 겹쳐 다른 캐릭터보다 크게 약해지니 주의. 이런 이유로 레어에서의 스탯 상승치가 벨린다를 제치고 역대 최하위권이며 R4에서는 오히려 공격력이 1 줄어든다.

스킬 포즈가 매우 구부정한 게 특징이며 스킬들 자체도 굉장히 난해하다. 사전 정보 없이 듀얼에서 빌헬름을 처음 만난다면 영문도 모른 채 탈탈 털리는 멘붕을 맛볼 수 있으니 주의. 빌헬름을 사용하는 유저들도 빌헬름이 방어나 공격 스킬을 성공시키면 '어 왜 성공했지?'라는 반응을 보일 정도이다.

4레벨 이하의 빌헬름을 상대로는 '사주하는 자'를 쓰기 애매한 20~25개 정도의 주사위를 굴리거나 중거리 극딜로 보내버리면 되지만 '애절의 잔광'을 쓸 수 있게 되는 5레벨 부터는 대처방법이 까다로워진다. 극딜을 무시하는 2스킬이나 불사를 거는 4스킬 때문에 고정 대미지가 없는 캐릭터는 5레벨 이상의 빌헬름을 쓰러트리기가 매우 어렵다. 고정 대미지 외의 대처법은 불사를 봉쇄하거나 역으로 이용하는 캐릭터[4]를 내놓는 방법이 있다. 패 소모가 많은 캐릭터이기 때문에 파괴 카드나 갈취 스킬에도 특히 약하다. 고수치 카드가 깨지지 않으면 스킬을 발동할 수도 있는 타 캐릭터들과 달리 스킬 발동이 카드 갯수와 연관되어 있는터라 다른 캐릭터보다 더 치명적인 편.

2014년 2월 5일자로 일본 서버에 마르그리드와 함께 인형이 나왔는데 이스터 에그로 이따금씩 입에서 피를 토한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17일자로 일본 서버에 레어가 업데이트 되었다.

한국 언라이트가 퍼블리셔에 의해 운영되던 시절 한국판만의 전용 콘텐츠인 "무한의 탑"에서 두 배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최저 코스트로 플레이할 수 있는 유일한 캐릭터였다. 상대가 강하면 강할수록, 특히 피통이 크면 클수록 빛을 발하는 스킬 특성상 고층에서도 패운만 따라주면 무리없이 클리어 가능한 구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

여담으로 레어 스토리가 웬만한 고어물 뺨칠 정도로 시종일관 잔인하다. 12금 컨텐츠라고는 생각하기 힘들 정도. 묘사 자체는 매우 담담하지만 고어물에 약한 지시자라면 읽기 전 마음의 준비를 해 두도록 하자.

4. 능력치 변화

4.1. 노멀

4.1.1. HP/ATK/DEF/스킬

레벨 HP ATK DEF 소유 스킬
1레벨 8 7 7 세포 변이
2레벨 9 7 8 세포 변이, 사주하는 자
3레벨 10 8 8 세포 변이, 사주하는 자, 혼백의 제물
4레벨 11 8 8 세포 변이, 사주하는 자, 혼백의 제물
5레벨 12 8 8 세포 변이, 사주하는 자, 혼백의 제물, 애절의 잔광

4.1.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레벨 코스트 이벤트 카드 슬롯
1레벨 10 파괴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2레벨 12 특수 파괴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3레벨 16 특수 파괴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4레벨 16 특수 파괴 파괴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5레벨 23 특수 파괴 파괴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 속성이 없는 이벤트 카드는 여섯 슬롯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다.
  • 일본 언라이트 2014년 1월 8일, 한국 언라이트 동년 2월 11일자로 코스트가 감소하였다.
  • 한국 언라이트 4월 20일 밸런스 패치로 5렙의 코스트가 1 증가했다.(기존 5렙 코스트 23)

4.2. 레어

4.2.1. HP/ATK/DEF/스킬

레벨 HP ATK DEF 소유 스킬
R1레벨 11 8 8 세포 변이, 사주하는 자, 혼백의 제물, 애절의 잔광
R2레벨 12 8 8 Ex세포 변이, 사주하는 자, 혼백의 제물, 애절의 잔광
R3레벨 13 8 8 Ex세포 변이, Ex사주하는 자, 혼백의 제물, 애절의 잔광
R4레벨 14 7 8 Ex세포 변이, Ex사주하는 자, Ex혼백의 제물, 애절의 잔광
R5레벨 15 7 8 Ex세포 변이, Ex사주하는 자, Ex혼백의 제물, Ex애절의 잔광

4.2.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레벨 코스트 이벤트 카드 슬롯
R1레벨 23 특수 특수 파괴 파괴 무속성 무속성
R2레벨 24 특수 특수 파괴 파괴 무속성 무속성
R3레벨 25 특수 특수 파괴 파괴 파괴 무속성
R4레벨 26 특수 특수 파괴 파괴 파괴 무속성
R5레벨 27 특수 특수 파괴 파괴 파괴 파괴
  • 한국 언라이트 4월 20일 밸런스 패치로 코스트가 증가했다.(기존 R1 코스트 22, R2와 R3 코스트 23)
  • 한국 언라이트 자체 밸런스 패치로 R4의 코스트가 1 증가했다.

5. 스킬

파일:attachment/WilhelmL1S.jpg
1레벨 스킬 세포 변이
발동 거리 전거리 발동 페이즈 이동 페이즈
필요 카드 검1↑, 방어1↑
효과 (Lv1~2)이동력+1 → (Lv3~)이동력+2, 능력저하+1~2.
설명 자신의 세포를 활성화한다.
레어 2레벨 스킬 Ex세포 변이
발동 거리 전거리 발동 페이즈 이동 페이즈
필요 카드 검1↑, 방어1↑
효과 이동력+2, 능력저하+2.
설명 자신의 세포를 활성화한다.

기지 겸 버프기. 이동력의 경우 스킬 발동 순간에만 적용되는 효과이다. 이블린처럼 최대 9까지 누적되는 디버프인 "능력저하"를 자신에게 거는데, 이블린과는 달리 주사위를 안 굴릴수록 강해지는 빌헬름의 특성상 실제로는 버프이다.

고수치 카드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 빌헬름으로는 검6 / 방5를 이동 페이즈에 써버리는 기행을 펼칠 수도 있다.

파일:attachment/WilhelmL2S.jpg
2레벨 스킬 사주하는 자[5]
발동 거리 근/원거리 발동 페이즈 방어 페이즈
필요 카드 아무거나 1=, 아무거나 1=
효과 받을 데미지 양을 (자신의 최대HP - 상대의 공격 주사위 수)로 바꾼다. 상대의 공격력이 0일 경우 자신의 HP는 0이하가 되지 않는다. 불사상태일 때 받은 데미지의 절반(버림)을 상대에게 준다.
설명 불사의 힘은 상대를 미치게 한다.
레어 3레벨 스킬 Ex사주하는 자
발동 거리 근/원거리 발동 페이즈 방어 페이즈
필요 카드 아무거나 1=, 아무거나 1=
효과 받을 데미지 양을 (자신의 최대HP - 상대의 공격 주사위 수)로 바꾼다. 상대의 공격력이 0일 경우 자신의 HP는 0이하가 되지 않는다. 불사상태일 때 받은 데미지의 절반(올림)을 상대에게 준다.
설명 불사의 힘은 상대를 미치게 한다.

극딜 저항용 방어스킬. 상대방 주사위가 흥하면 좋고, 상대가 파업하면 안 좋다. 받는 대미지는 고댐이 아니니 주의. 이로 인해 상대의 공격 성공시의 효과를 받을 수 있고, 공포나 광분이 걸려있으면 스킬로 결정된 대미지를 반감하거나 2배로 한다. 또한 상대의 최종 공격력이 0인 상태에서 이 스킬을 쓰면 1 남고 다 까인다. 그러나 만약 상대나 자신이 광분 상태이상에 걸려 있다면 그 대미지를 두 배로 받게 되어 빌헬름이 죽는다.

4레벨까지는 짤짤이 대미지에 오히려 취약한 방어기지만 4스킬과 동시 발동시 이 스킬이 뒤에 발동되므로 4스킬과 연계할 경우 단점을 보완할수 있다. 게다가 상대의 공격력이 낮다면 괜찮은 반사댐까지. 이 점 때문에 상대는 불사 상태에서도 카드를 써 가며 딜링을 할 수밖에 없다. 4스킬과 연계될 경우 공격을 하지 않는다면 빌헬름의 피 절반인 6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참고로 반사댐을 계산할 때는 내림으로 처리한다.

주사위가 굴러가는 순간 반사 대미지가 들어가기 때문에 고댐을 맞고 상대방이 죽어도 주사위가 굴러가는 베른하드의 '해방검', 메리의 '레브의 요람'같은 스킬의 고정 대미지로 빌헬름이 죽더라도 반사 대미지는 들어간다.

상대가 주사위를 여러 번 던지는 스킬과의 판정은 '받을 대미지 양을 (자신의 최대HP - 상대의 공격 주사위 수의 합산)'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5렙 빌헬름과 5렙 프리드리히가 '백섬'을 사용해서 1회에는 7, 2회에는 3이 나왔다고 가정한다면 빌헬름이 사주하는 자를 쓸 때 받을 대미지는 {12-(7+3)}=2다. 다만 제드의 '인과의 환상'은 2번 돌리더라도 더 좋은 쪽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합산하지 않고 그쪽으로 계산된다.

혼백의 제물과 동시 발동시, 선공일때는 혼백의 제물이 우선시 되며 후공일때는 사주하는 자가 우선시 된다.

2014년 10월 30일자 패치로 상대의 유효 주사위에서 상대의 공격 주사위로 바뀌었다. 자신의 방어력을 따지지 않게 되었고 결과적으론 생존력은 올라갔지만 반사 대미지의 양은 감소했다.

2016년 6월 15일 R3의 업데이트로 Ex사주하는 자로 강화되었는데 얼핏보면 노멀과 전혀 달라진 점이 없는 것 같아보이지만 불사 상태일 시의 반사 대미지가 올림 대미지로 바뀌었다! 거기다 R3 빌헬름의 전체 HP가 13이기 때문에 반사 대미지가 최대 7뎀으로 늘어났다.

나름대로 역사상 의의가 있다면, 언라이트 최초의 근, 원거리 방어기이다.

파일:attachment/WilhelmL3S.jpg
3레벨 스킬 혼백의 제물
발동 거리 근/중거리 발동 페이즈 공격 페이즈
필요 카드 검3↑, 총3↑, 특수2↑
효과 (Lv3~4)ATK+5 → (Lv5)ATK+4.
상대의 방어력을 무시한다. (상대의 최대HP-자신의 유효 주사위x2)의 데미지를 준다. 능력저하 수x10%의 확률로 상대에게 능력저하를 옮긴다. 불사 상태가 아닐 경우 HP를 2 회복한다.
설명 의도치 않게 연명한다.
레어 4레벨 스킬 Ex혼백의 제물
발동 거리 근/중거리 발동 페이즈 공격 페이즈
필요 카드 검3↑, 총3↑, 특수2↑
효과 상대의 방어력을 무시한다. (상대의 최대HP-자신의 유효 주사위x2)의 데미지를 준다. 능력저하 수x10%의 확률로 상대에게 능력저하를 옮긴다. 불사 상태가 아닐 경우 HP를 2 회복한다.
설명 의도치 않게 연명한다.

자신의 공격력이 낮아야 빛을 발하는 스킬. 공증치는 오히려 페널티. 그래서 레벨이 오를 수록 공증치가 낮아진다. 2스킬 처럼 자신이 주사위를 잘 굴린다면 효과가 떨어진다. 대놓고 피통 넘치는 보스몹과 쿤을 저격하는 스킬.[6] 최대 체력이 극히 적은 캐릭터의 경우엔 그냥 평타를 쓰는게 더 낫다.

이 스킬을 통해 들어가는 대미지는 고정 대미지였으나 패치로 주사위 대미지로 수정되었다. 에바리스트의 '가시나무 숲'이나 그룬왈드의 '피의 축복'은 발동이 되기는 하나 빌헬름이 에바리스트나 그룬왈드의 HP의 반수 이상의 주사위를 굴려 공격이 무효화되었을 경우에만 발동이 된다. 이 경우 가시나무 숲으로 받는 대미지나 그룬왈드의 회복수치는 계산된 공격력이 아닌 실제 굴러간 주사위의 개수로만 계산된다.

능력저하를 옮기는 효과의 경우 걸려있는 능력저하가 높을수록 상대에게 넘어갈 확률이 높아지는데, 상대가 죽을 상황에 넘어가 버리면 오히려 안 좋다. 겨우겨우 능력 저하-9 걸어놨는데 그게 풀려버리면 다시 처음부터 걸어야 하기 때문.

만약 빌헬름이 주사위를 하나도 뒤집지 않았을 경우 이 스킬은 무시무시한 즉사기로 돌변하게 된다. 하지만 플레이어와의 대전에서 혼백의 제물을 즉사기로 사용한다면 능력저하를 굉장히 많이 쌓아야 되는 것은 당연하고 상대방의 루드 또는 같은 캐릭터가 자신에게 디버프를 걸고 계속 중첩시켜 줬거나, 디버프가 걸린 상태에서 타이렐로 그 수치를 한 번에 9로 만들거나 해 주는 것이 좋기 때문에 쉽지는 않다. 주사위 대미지라서 공포나 광분 상태이상이 적용 중이라면 대미지가 2배가 되거나 1/2배가 된다.

이외에도 불사상태가 아닐 때 체력을 회복하는 효과도 있는데 체력이 깎일 일이 많은 빌헬름이 불사상태가 아닐 때 회복용으로도 쓸 수 있는 소소한 효과.

사주하는 자와 동시 발동시, 선공일때는 혼백의 제물이 우선시 되며 후공일때는 사주하는 자가 우선시 된다.

Ex가 되면서 공증치가 0이 되었다! 공격력 스탯도 1 감소하면서 실질적인 공격력 감소치는 5. 이로 인해 언라이트 최강의 공격기가 되었다.

벨리언트 반지[7]를 착용한 빌헬름이 주사위를 평균적으로 굴린다는 가정으로 하고 대미지를 계산해보면, 1턴에 {상대HP최대치-(7-2-2+3)/3*2} 대미지, 그리고 그로 인해 능력저하를 옮기지 않는다면 2턴에 {상대HP최대치-(7-2-4+3)/3*2} 대미지로 둘을 더하면 {2*상대HP-(7-2-2+3)/3*4+4/3} 대미지를 준다. 계산식이 좀 복잡한데 간단히 이야기하면, 최대 HP가 7 이상인 캐릭터는 Ex혼백의 제물 2대 맞으면 평균적으로 죽는다. 사주하는 자와 애절의 잔광을 연계한 반사 대미지를 빼고도 그 정도이니 이론상으론 R4이상 빌헬름을 상대할 때는 최대 HP 6 이하인 캐릭터로 파티를 짜는 것이 좋으나 이 조건에 해당되는 캐릭터는 4레벨 이하 또는 R1비르기트, 3레벨 이하 제드, 2레벨 이하 루카, 그리고 몇몇 1레벨 캐릭터들밖에 없어서 결국엔 혼백의 제물을 피할 수 없으니 되도록이면 최대 HP가 적은 캐릭터들로 파티를 짜서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혼백의 제물을 발동하지 못하게 원거리에 특화된 캐릭터 혹은 봉인 스킬을 가진 캐릭터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파일:attachment/WilhelmL5S.jpg
5레벨 스킬 애절의 잔광
발동 거리 전거리 발동 페이즈 방어 페이즈
필요 카드 아무거나 1=, 아무거나 2=, 아무거나 3=
효과 불사 2턴, HP-3.
설명 덧없는 빛은 죽음을 역전시킨다.
레어 5레벨 스킬 Ex애절의 잔광
발동 거리 전거리 발동 페이즈 방어 페이즈
필요 카드 아무거나 1=, 아무거나 2=, 아무거나 3=
효과 불사 2턴, HP-3.
불사 상태에서 발동할 경우 자신의 HP는 0이 되지 않는다.
설명 덧없는 빛은 죽음을 역전시킨다.

쉐리도니타보다 조건이 쉬운 불사 스킬. 자괴가 딸려오지도 않기 때문에 이 스킬로 말미암아 몇몇 유저들은 경외심을 담아서 빌헬름을 "불사 왕자"라고 부른다. 체력을 까는 디메리트의 경우 힐러와 조합하면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고, 3스킬에 체력 회복 효과도 붙어있기 때문에 관리만 잘해주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전체적으로 빌헬름의 화력을 올려주는 스킬. 단. 상대가 불사를 해제할 수단이 있으면 대미지만 먹고 카드만 낭비한게 된다. 공격 턴에 발동되는 버그가 있어 공격하다 말고 자살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밸런스 패치와 함께 고쳐졌다.

2스킬과 동시 발동 시 이 스킬이 먼저 발동된다. 주사위를 굴리기 전 발동되기 때문에 반사 대미지로 상대가 죽을 경우, 주사위가 굴러간 후 효과가 나타나는 스킬(ex. 운명의 철문)은 발동되지 않는다.

다른 스킬과 충돌시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
  • 아수라의 '초승달'과 붙을 경우 빌헬름이 호스트고 아수라가 클라이언트라면 불사가 먼저 발동되고 아수라가 불사를 빼앗게 되어 빌헬름은 대미지만 받게 된다.
  • 의 '스완송'과 맞붙을 경우, 콥이 호스트일 때에는 스완송이 먼저 발동되어 HP가 1이 남고, 잔광의 디메리트로 3 대미지를 먹고 죽게 되는 반면 빌헬름이 호스트일 때에는 잔광이 먼저 발동, 피가 1 남은 채로 불사 상태가 되며 방어 스킬을 함께 사용했을 경우 콥이 반사 대미지를 맞게 되므로 콥이 죽는다.
  • 파르모가 '전율의 송곳니'를 사용할 경우 파르모 쪽이 호스트라면 상태이상 해제 후 불사, 빌헬름쪽이 호스트라면 불사 후 상태이상 해제이다.
  • 콘라드가 공격곤술 상태에서 '퓨리어스 앵거'를 사용할 경우 무조건 불사가 걸린 뒤 상태이상이 해제된다.
  • 스테이시아가 '운명의 철문'을 사용할 경우 피가 -3 깎인 상태에서 즉사 판정이 이루어진다. 단, 사주하는 자와 함께 사용해 반사 대미지에 스테이시아가 사망할 경우, 철문은 발동하지 않는다.
  • 워켄이 '안락사'를 사용할 경우 워켄의 hp가 6이하라면 워켄만 죽고 자괴가 걸리지 않는다.
  • 카렌베르크가 '종국의 왈츠'를 사용할 경우, 반사 대미지를 맞고 죽으면 자괴가 걸리지않는다. 이미 자괴가 걸린 상태의 빌헬름에게 반사 대미지를 맞고 죽으면 자괴 턴수가 단축되지않는다.

Ex가 되면 불사 상태에서 스킬 사용시 자신의 HP가 0이 되지 않는 부가효과가 생긴다. 즉, 빌헬름이 불사 상태에서 사용할 때 HP가 3이하여도 1만 남기고 죽지 않게 된다. 간혹 빌헬름이 4스킬을 계속 쓰다가 HP계산을 잘못해서 그대로 죽어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불사상태가 아닐 때 HP가 3이하면 함부로 쓰지 못하는데 이런 빌헬름의 체력 부담을 완화해주고 조건만 맞는다면 계속 스킬을 발동할 수 있는 굉장히 좋은 버프다. 다만 Ex효과는 불사 상태 한정이기 때문에 불사 상태가 끝나고 다시 스킬 써서 갱신할 때 자신의 HP가 3이하라면 그대로 죽어버리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불사Ⅱ[8]가 아니기 때문에 고정 대미지에는 여전히 취약하니 주의.

6. 전용 무기

파일:attachment/빌헬름(언라이트)알프트라움.png
이름 알프트라움[9]
코스트 1
효과 근거리 : Atk-2. 원거리 : Def+3[10]
설명 검을 손에 넣은 사람들은 모두 스스로 생명을 끊었다고 한다.
기간한정 레코드인 '빌헬름 획득하기'로 얻을 수 있었고 언라이트 리바이브에서는 빌헬름 획득 후 아무 스킬 200번 사용하면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무기. 전용장비이긴 하지만 능력치만 본다면, 커스드 반지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파일:hVgoVuY.png
이름 오르쿠스
코스트 0
효과 Def+2
설명 검이 바라는 생명은 소유자 자신의 생명이다.
다크룸의 5룸에서 획득가능한 아이템으로 가끔 로테이션에 포함된다.
이름 토트
코스트 1
효과 Atk-3, Def-3
설명 가진 자에게 말을 걸어서 죽음으로 유혹한다. 마가 깃든 사벨.
일본 언라이트 2016년 7월 BP 보상 무기.

7. 언라이트: 스키조크로니클에서

언라이트: 스키조크로니클등장 캐릭터 일람
<colbgcolor=#f1cd7e> 서광의 시대 그룬왈드 · 아벨 · 쉐리 · 로쏘 · 맥스
디노 · 마르그리드 · 네넴 · 마르세우스 · 브라우
벨린다 · 아리스테리아 · 엡실론 · 유레카 · 제이미
크림슨 디자이어 리즈 · 도니타 · 브라우닝 · 유하니 · 메렌
비르기트 · 루카 · 아인 · 마리넬라 · 빌헬름
블리츠크리크 에바리스트 · 아이자크 · 에이다 · 레타 · 제드
이블린 · 이데리하 · 실러리 · · 살가드

파일:card_48.png
불사의 육체를 가진 론즈브라우왕국의 군인.
고향을 잃고 오랜 기간 방랑하고 있었지만, 우여곡절을 거쳐 론즈브라우군에 종군하게 되었다.
재앙에 휘말리면서도 불가사의한 힘으로 오래 살아남은 상냥한 남자에게, 안식의 날은 오는가.
카드 속성은 혼돈(황색). 크림슨 디자이어 팩에 포함되어있다.

7.1. 대사

전투시작俺が出るしかないんだな……
내가 나설 수 밖에 없는거군……
적퇴치あとどれだけ戦えばいい?
앞으로 얼마나 더 싸워야 하지?
HP10이하すぐに治るとはいえ、辛いな……
금방 낫는다고는 해도, 힘들군……
사망この程度なら……すぐにまた復活するんだろう……
이 정도라면……금방 다시 부활하겠지……
독습득毒か……どうせすぐ治る……
독인가……어차피 금방 나아…

7.2. 액션카드

파일:card48_001.png
세포 변이
레어도 3 코스트 3 덱 상한 매수 2
효과 구매력: 황주사위x1, 손패의 「크리스탈」을 한 장 저주로 바꾼다, 손패의 독·마비·저주에 구매력+2가 붙는다
대사 俺の正体が知りたいのか? 俺も知りたいよ。
내 정체를 알고싶나? 나도 알고 싶어.

파일:card48_002.png
불사의 힘
레어도 5 코스트 5 덱 상한 매수 2
효과 덱 매수의 1/5의 수치의 일시공격카드를 카드뭉치 맨 위에 놓는다
대사 勘弁してくれ!俺は戦うためにここにいるわけじゃないんだ。
좀 봐줘! 나는 싸우기 위해 여기 있는게 아냐.

파일:card48_003.png
혼백의 제물
레어도 6 코스트 4 덱 상한 매수 2
효과 -5 대미지, 저주를 2장 습득한다, 해당 턴 동안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대사 戦うのはもううんざりだ! もう終わりにしてくれ!
싸우는 건 이제 지겨워! 이제 끝나게 해줘!
戦うのはもううんざりだ!早く終わりにしてくれ!
싸우는 건 이제 지겨워! 얼른 끝나게 해줘!(골든카드)
카드 사용시 5의 대미지를 맞는 대신 해당 턴 동안 그 외의 대미지는 받지 않는다.

파일:card48_004.png
죽은 자의 새벽
레어도 7 코스트 6 덱 상한 매수 2
효과 카드뭉치에 있는 저주카드의 수x3의 일시공격카드를 손패에 얻는다, 카드뭉치의 저주는 모두 파기된다
대사 頼むから静かにしてくれないか。頼むから!
제발 조용히 해주지 않겠나. 제발!


[1] 윌-린[2] 망자[3] 약 2월 17일. 애기똥풀(Celandine)의 날[4] 전자의 경우 대표적으로 마르세우스가 있고 후자의 경우 베른하드, 아수라같은 캐릭터가 있다.[5] 指嗾する仔[6] 다만 보스몹의 경우 이 스킬에 저항을 가진 패시브 스킬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현재까지 나온 레이드 보스 또한 마찬가지. 무한의 탑의 경우 상대의 최대 체력을 20으로 계산하고 대미지를 준다.[7] "Atk-2, Def+2"스탯을 가진 1코스트 공용 무기.[8] 즉사를 제외한 자해 대미지 포함, 전투에서 발생하는 모든 대미지를 무시하는 효과.[9] Albtraum, 독일어로 악몽이라는 뜻[10] 원래는 + 가 아닌 - 였으나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