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동 | 서 | 남 | 북 | 광산 |
임택 | 김이강 | 김병내 | 문인 | 박병규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광주광역시 북구청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송홍규 | 제2대 신두희 | 제3대 허진홍 | 제4대 오병남 | 제5대 나병규 |
제6대 이정일 | 제7대 신근식 | 제8대 류한덕 | 제9대 정일삼 | 제10대 신정완 | |
제11대 김태홍 | 제12·13대 김재균 | 제14-16대 송광운 | 제17·18대 문인 | ||
| }}}}}}}}} |
<colcolor=#ffffff> '''광주광역시 북구청장 光州廣域市 北區廳長 Mayor of Buk-gu '''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문인 / 제17·18대 (민선 7·8기) |
취임일 | 2018년 7월 1일 |
정당 | |
홈페이지 |
1. 개요2. 상세3. 역대 북구청장4. 역대 선거 결과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4.9.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5. 역대 정당별 전적6. 역대 구정 목표7. 여담8.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북구청장은 광주광역시 북구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77 (용봉동)에 있는 북구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1]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2. 상세
3. 역대 북구청장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2] | 비고 | |
<rowcolor=white> 민선 | |||||
11대 | 김태홍 (金泰弘) | 1995년 7월 1일 ~ 1998년 3월 6일 | | [3][4] | |
권한대행 | - | 1998년 3월 7일 ~ 1998년 6월 30일 | - | ||
12대 | 김재균 (金載均)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5][6] | |
13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 | ||
14대 | 송광운 (宋光運)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주당(2005년)| | [8] | |
15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2008년)| | [9] | ||
16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10] | ||
17대 | 문인 (文寅)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18대 | 2022년 7월 1일 ~ 현재 |
4. 역대 선거 결과
|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 | 무소속 | 민주당 | 민주당 | ||
김태홍 | 김재균 | 송광운 | ||||
2014 | 2018 | 2022 |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
송광운 | 문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김태홍 83.86% 2위: [[민주자유당| | |||||
1998년 | 1위: [[새정치국민회의| | |||||
2002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재균 56.54%2위: [[새천년민주당| | |||||
2006년 | 1위: [[민주당(2005년)| 2위: [[열린우리당|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2위: [[민주노동당|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진선기 17.01%3위: [[통합진보당| | |||||
2018년 | 1위: 문인 77.21% 2위: [[민주평화당| | |||||
2022년 | 1위: 문인 84.27% 2위: 강백룡 15.72% | }}}}}}}}} |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오병남(吳秉南) | 29,361 | 2위 |
[[민주자유당| | 16.13% | 낙선 | |
2 | 김태홍(金泰弘) | 152,626 | 1위 |
| 83.8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90,351 | 투표율 63.83% |
투표 수 | 185,323 | ||
무효표 수 | 3,336 |
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김재균(金載均) | 118,748 | 1위[주의] |
[[새정치국민회의| | 10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305,154 | 투표율 40.99% |
투표 수 | 125,086 | ||
무효표 수 | 6,338 |
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오주(吳周) | 54,812 | 2위 |
[[새천년민주당| | 43.45% | 낙선 | |
3 | 김재균(金載均) | 71,320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6.54%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324,452 | 투표율 39.61% |
투표 수 | 128,522 | ||
무효표 수 | 2,390 |
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형석(李炯錫) | 47,191 | 2위 |
[[열린우리당| | 32.29% | 낙선 | |
2 | 김천국(金千局) | 4,228 | 4위 |
| 2.89% | 낙선 | |
3 | 송광운(宋光運) | 77,083 | 1위 |
[[민주당(2005년)| | 52.74% | 당선 | |
4 | 오창규(吳昌奎) | 14,700 | 3위 |
[[민주노동당| | 10.05% | 낙선 | |
6 | 나정만(羅定萬) | 2,94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33,413 | 투표율 44.32% |
투표 수 | 147,784 | ||
무효표 수 | 1,642 |
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송광운(宋光運) | 120,426 | 1위 |
[[민주당(2008년)| | 72.97% | 당선 | |
5 | 정형택(定形宅) | 44,608 | 2위 |
[[민주노동당| | 27.0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51,029 | 투표율 47.86% |
투표 수 | 168,028 | ||
무효표 수 | 2,994 |
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찬호(朴贊浩) | 10,797 | 4위 |
[[새누리당| | 5.52% | 낙선 | |
2 | 송광운(宋光運) | 131,417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67.30% | 당선 | |
3 | 정형택(鄭形宅) | 19,836 | 3위 |
[[통합진보당| | 10.15% | 낙선 | |
4 | 진선기(進善氣) | 33,220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7.0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51,880 | 투표율 56.42% |
투표 수 | 198,553 | ||
무효표 수 | 3,263 |
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문인(文寅) | 159,151 | 1위 |
| 77.21% | 당선 | |
4 | 이은방(李銀方) | 46,965 | 2위 |
[[민주평화당| | 22.7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58,914 | 투표율 58.66% |
투표 수 | 210,565 | ||
무효표 수 | 4,449 |
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문인(文寅) | 113,490 | 1위 |
| 84.27% | 당선 | |
2 | 강백룡(姜伯龍) | 21,178 | 2위 |
| 15.7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63,222 | 투표율 37.95% |
투표 수 | 137,861 | ||
무효표 수 | 3,193 |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 북구청장 동별 개표 결과 ||
더불어민주당 문인 후보는 이번 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인 중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국민의힘 강백룡 후보도 선거 비용 보전선인 15%를 넘어서 보수 정당 소속 출마자가 선거 비용을 보전 받는 기염을 토했다.<colbgcolor=#eeeeee,#333333>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문인 | 강백룡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13,490 (84.27%) | 21,178 (15.72%) | +92,312 (△68.55) | 363,222 (37.95%) |
중흥1동 | 86.25% | 13.74% | △72.51 | 30.78% |
중흥2동 | 81.66% | 18.33% | △63.33 | 36.01% |
중흥3동 | 80.53% | 19.46% | △61.07 | 30.30% |
중앙동 | 81.78% | 18.21% | △63.57 | 29.76% |
임동 | 86.55% | 13.44% | △73.11 | 37.95% |
신안동 | 84.44% | 15.55% | △68.89 | 28.39% |
용봉동 | 83.45% | 16.54% | △66.91 | 31.04% |
운암1동 | 81.78% | 18.21% | △63.57 | 42.13% |
운암2동 | 85.86% | 14.13% | △71.73 | 33.59% |
운암3동 | 85.18% | 14.81% | △70.37 | 38.26% |
동림동 | 85.74% | 14.25% | △71.49 | 33.95% |
우산동 | 85.64% | 14.35% | △71.29 | 35.70% |
풍향동 | 84.32% | 15.67% | △68.65 | 34.43% |
문화동 | 84.73% | 15.26% | △69.47 | 34.41% |
문흥1동 | 85.48% | 14.51% | △70.97 | 38.91% |
문흥2동 | 87.00% | 12.99% | △74.01 | 34.35% |
두암1동 | 86.32% | 13.67% | △72.65 | 36.84% |
두암2동 | 85.23% | 14.76% | △70.47 | 33.59% |
두암3동 | 85.41% | 14.58% | △70.83 | 38.03% |
삼각동 | 85.56% | 14.43% | △71.13 | 33.35% |
일곡동 | 85.30% | 14.69% | △70.61 | 36.89% |
매곡동 | 85.45% | 14.54% | △70.91 | 41.49% |
오치1동 | 83.59% | 16.40% | △67.19 | 29.99% |
오치2동 | 85.40% | 14.59% | △70.81 | 34.10% |
석곡동 | 86.02% | 13.97% | △72.05 | 43.61% |
건국동 | 84.11% | 15.88% | △68.23 | 31.65% |
양산동 | 85.68% | 14.31% | △71.37 | 30.92% |
신용동 | 84.22% | 15.77% | △68.45 | 29.38% |
후보 | 문인 | 강백룡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79.03% | 20.96% | △58.07 | |
관외사전투표 | 81.25% | 18.74% | △62.51 |
4.9.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0 | ||
| 00.00% | ||
2 | 0 | ||
| 00.00%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5. 역대 정당별 전적
민주당계 정당 | 보수 정당 | 제3후보[13] | |
1회 | 김태홍 | 오병남 | - |
| [[민주자유당| | ||
당선 83.86% | 낙선 16.13% | ||
2회 | 김재균 | - | - |
[[새정치국민회의| | |||
당선 100% | |||
3회 | 오주 | - | 김재균[14] |
[[새천년민주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낙선 43.45% | 당선 56.54% | ||
4회 | 이형석 | 김천국 | 송광운[15] |
[[열린우리당| | | [[민주당(2005년)| | |
낙선 32.29% | 낙선 2.89% | 당선 52.74% | |
5회 | 송광운 | - | 정형택[16] |
[[민주당(2008년)| | [[민주노동당| | ||
당선 72.97% | 낙선 27.02% | ||
6회 | 송광운 | 박찬호 | 진선기[17] |
[[새정치민주연합| | [[새누리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당선 67.30% | 낙선 5.52% | 낙선 17.01% | |
7회 | 문인 | - | 이은방[18] |
| [[민주평화당| | ||
당선 77.21% | 낙선 22.78% | ||
8회 | 문인 | 강백룡 | - |
| | ||
당선 84.27% | 낙선 15.72% | ||
9회 | ○○○ | ○○○ | - |
| | ||
- | - |
6. 역대 구정 목표
<rowcolor=#ffffff> 구청장 | 구정 목표 |
김태홍 (민선 1기) | - |
김재균 (민선 2·3기) | 함께해요! 잘사는 북구! |
송광운 (민선 4-6기) | 아름다운 이웃! 다 함께 잘사는 북구 |
문인 (민선 7·8기) | 구민중심 혁신행정! 더불어 잘 사는 행복북구! |
7. 여담
8. 관련 문서
[1] 인구 50만명 이상의 기초자치단체의 수장은 1급, 10만 이상 50만 미만은 2급, 그 이하는 3급 상당의 대우를 받으며 각 급수의 최고호봉 상당의 급료를 받는다.[2] 선거 당시 당적.[3] 1995.
탈당.
1995.
[[새정치국민회의|
]] 입당.[4] 1998.3.6. 광주광역시장 경선 출마를 위해 북구청장직 사퇴.[5] 2000.1.20.
[[새천년민주당|
]]으로 당명 변경.[6] 2002. 공천 불복으로
[[새천년민주당|
]] 탈당.[7] 2003.
[[열린우리당|
]] 입당.[8] 2007.6.27. 으로 합당.
2007.8.13. 으로 당명 변경.
2008.2.17. 으로 신설 합당.
2008.7.6.
[[민주당(2008년)|
]]으로 당명 변경.[9] 2011.12.23. 으로 신설 합당.
2013.5.4. 으로 당명 변경.
2014.3.26.
[[새정치민주연합|
]]으로 당명 변경.[10] 2015.12.28.
으로 당명 변경.[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13] 3% 이상 득표자만 기재.[14] 민주당계 성향 후보.[15] 민주당계 정당 후보.[16] 진보 정당 후보.[17] 민주당계 성향 후보.[18] 제3지대 정당·민주당계 정당 후보.
탈당.
1995.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2007.8.13. 으로 당명 변경.
2008.2.17. 으로 신설 합당.
2008.7.6.
[[민주당(2008년)|
2013.5.4. 으로 당명 변경.
2014.3.26.
[[새정치민주연합|
으로 당명 변경.[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13] 3% 이상 득표자만 기재.[14] 민주당계 성향 후보.[15] 민주당계 정당 후보.[16] 진보 정당 후보.[17] 민주당계 성향 후보.[18] 제3지대 정당·민주당계 정당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