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테마로 쓰였던 영화 《콰이 강의 다리》 | 제대로 연주한 보기 대령 행진곡 |
1. 개요
Colonel Bogey March1914년에 F.J.리케츠(F.J.Ricketts, 필명 케네스 앨퍼드(Kenneth J. Alford))가 작곡한 영국의 군가.
1.1. 보기 대령은 누구인가
'보기'라는 아이디어는 '보기 대령'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1891년 5월 13일 영국 해군의 토머스 브라운 박사와 육군의 찰스웰먼 소령은 영국 남동부 해안의 그레이트 야머스 링크스(Great Yarmouth Links)[1]에서 그들이 그 코스의 그라운드 스코어[2]보다 더 잘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시험해 보기로 하였다.
한편, 당시 런던의 음악 공연장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노래는 '보기맨'으로 '조심하지 않으면 그 무서운 괴물이 너를 잡아 간다'는 내용을 다룬 것이었다.
그런데 이 때 웰먼 소령은 대개 그라운드 스코어(보기)보다 성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제기랄! 그라운드 스코어는 꼭 보기맨 같구만. 항상 나를 잡아 가는 걸 보니"라고 소리 질렀다. 그 뒤 브라운 박사는 이 표현을 매우 좋아해서 그의 클럽에서는 그라운드 스코어를 '보기'라고 부르게 하였다.
이후 그들은 상상 속의 친구인 '보기맨'을 널리 소개하고 보기맨에 대항하여 플레이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이 티업 할 때 한 친구인 바이덜 대위가 외쳤다.
"우리는 군복무 시와 같은 방식으로 플레이를 해야 한다. 이 클럽의 모든 회원은 각자에게 해당하는 군 계급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보기맨이 비록 그 모습은 없지만 우리의 새 회원임과 동시에 결코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만큼 그는 확실한 지휘관이다. 따라서 그의 계급은 대령이어야 한다."
그렇게 그들은 끝까지 농담하기를 즐기면서 "보기 대령님, 우리가 이렇게 링크스에서 당신을 만나게 되니 대단히 반갑습니다. 그러나 당신을 뵙자는 말을 할 수가 없군요."라며 상상 속의 인물에게 엄숙히 절하였다고 한다.
보기(Bogey)의 유래와 보기 대령(大領)
한편, 당시 런던의 음악 공연장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노래는 '보기맨'으로 '조심하지 않으면 그 무서운 괴물이 너를 잡아 간다'는 내용을 다룬 것이었다.
그런데 이 때 웰먼 소령은 대개 그라운드 스코어(보기)보다 성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제기랄! 그라운드 스코어는 꼭 보기맨 같구만. 항상 나를 잡아 가는 걸 보니"라고 소리 질렀다. 그 뒤 브라운 박사는 이 표현을 매우 좋아해서 그의 클럽에서는 그라운드 스코어를 '보기'라고 부르게 하였다.
이후 그들은 상상 속의 친구인 '보기맨'을 널리 소개하고 보기맨에 대항하여 플레이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이 티업 할 때 한 친구인 바이덜 대위가 외쳤다.
"우리는 군복무 시와 같은 방식으로 플레이를 해야 한다. 이 클럽의 모든 회원은 각자에게 해당하는 군 계급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보기맨이 비록 그 모습은 없지만 우리의 새 회원임과 동시에 결코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만큼 그는 확실한 지휘관이다. 따라서 그의 계급은 대령이어야 한다."
그렇게 그들은 끝까지 농담하기를 즐기면서 "보기 대령님, 우리가 이렇게 링크스에서 당신을 만나게 되니 대단히 반갑습니다. 그러나 당신을 뵙자는 말을 할 수가 없군요."라며 상상 속의 인물에게 엄숙히 절하였다고 한다.
보기(Bogey)의 유래와 보기 대령(大領)
'보기맨'에서 비롯한 용어가 바로 골프의 '보기'다.
1.2. 작곡
1914년 중위 F.J.리케츠가 스코틀랜드 사단의 일부인 '아가일과 서덜랜드 고지 연대'의 군악대에 재직하면서 곡을 만들었다. 그가 골프를 하면서 "포어(fore)!"[3]라고 외치는 대신 하강하는 단3도 음정을 휘파람으로 부른 한 군 장교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널리 알려진 휘파람 부분만 있었고, 영화 《콰이 강의 다리》에서 맬컴 아널드(Malcom Arnold)가 행진곡 느낌을 더하면서 더 널리 알려지게 됐다.2. 가사(?)
원래는 가사가 없었으나 사람들이 알아서 가사를 붙여 노래부르기 시작했고 그 중 압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생겨났는데... 바로 "히틀러는 불알이 하나라네!" 라는 내용의 노래다. 사람들이 알아서 붙인 가사치고는 운율이 되게 잘 맞춰져 있다. 작사자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일반 시민들이 지어 부르던 노래이기 때문에 전술한 가사 외에도 몇 가지 다른 가사들이 존재한다.그런데 훗날 정말 히틀러의 고환이 하나밖에 없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Hitler Has Only Got One Ball | |
드라마 《높은 성의 사나이》 시즌 8 에피소드 4 | |
Hitler has only got one ball! 히틀러는 불알이 하나밖에 없다네! Göring's got two but very small, 괴링은 두 개지만 너무 작다네[4] Himmler has something sim'lar, 힘러는 불알 비슷한 게 있는데[5] And poor old Goebbels has no balls at all. 불쌍한 괴벨스[6]는 불알이 아예 없다네![7] Hitler has only got one ball! 히틀러는 불알이 하나 밖에 없다네! the other is in the Albert Hall 나머지 하나는 앨버트 홀[8][9] 에 있다네. His mother, the dirty bugger, 히틀러의 애미는 더러운 수간쟁이인데 Cut it off when he was small. 히틀러가 어렸을 때 잘라 버렸다네. And she threw it, into the coca tree 그녀는 그걸 코카나무에다 던져 버렸다네 and it landed into the deep blue sea 그리고는 그 불알은 깊은 바다에 처박혔다네 Where the fishes got off their dishes 물고기들이 밥 다 먹고 나서 and ate scallops and bollocks for tea 그걸 조개랑 다과로 즐겼다네 |
영국 코미디 쇼 《암스트롱 앤 밀러 쇼》 | 영화 《존 라베》[10] |
3. 매체
- 1938년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화 《사라진 여인》(The Lady Vanishes)에서 배우 마이클 레드그레이브가 이 노래를 흥얼거렸다.영상
- 1957년 영화 《콰이 강의 다리》에서 이 노래가 사용됐다.영상
- 1961년 영화 《페어런트 트랩》에서 이 노래가 사용됐다. 영화 초반 여름 캠프 장면에서 사용됐다.영상
- 1985년 영화 《조찬 클럽》에서 이 노래가 사용됐다. 영화 초반 도서관에서 주인공 일행이 이 노래를 휘파람으로 부른다.영상
- 1987년 영화 《스페이스볼》에서 이 노래가 사용됐다. 영화 중반 사막에서 난쟁이 같은 외계 종족이 이 노래를 부른다.영상
- 1991년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의 시즌 3 에피소드 1 Stark Raving Dad에서 바트 심슨이 리사 심슨에게 줄 노래 선물을 만들 때 이 노래가 잠깐 등장하였다.영상Bart's Birthday Song FANDOM 위키
- 2004년 공익광고협의회의 쓰레기 재활용 캠페인에서 사용됐다.[11]영상1영상1
- 2007년 SHOW의 쇼당 창당 TV 광고에서 사용됐다.영상
- 2007년 니베아 립케어의 광고에서 사용됐다. 당시 광고 모델은 윤승아. A 버전 영상B 버전 영상
- 2009년 영화 《존 라베》에서 이 노래가 사용됐다.영상
- 2014년 영화 익스펜더블 3의 티저음악으로 리메이크되었다.영상
- 2019년 드라마 《높은 성의 사나이》 시즌 8 에피소드 4에서 이 노래가 사용됐다.영상
- 2024년 학습지 빨간펜의 아이캔두 광고에서 사용됐다.영상
- 영국 코미디 쇼 《암스트롱 앤 밀러 쇼》의 콩트 중 이 노래가 사용됐다.영상
- 전 롯데 자이언츠 선수였던 정보명과 이창진의 응원가로도 사용되었다.정보명 응원가이창진 응원가
- 전 NC 다이노스 선수였던 에릭 테임즈의 응원가로도 사용되었다.영상
- 게임 전함소녀에서 '기적의 대건조'라고 불리는 노래가 바로 보기 대령 행진곡이다.영상
4. 여담
-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설화중학교의 수업 시작 종소리로 사용됐다.
- 1998년, 아키히토 천황이 영국에 방문했을 때 참전 상이군인들이 일본군의 만행을 규탄하기 위해 아키히토가 탄 마차가 지나갈 때 휘파람으로 이 곡을 불면서 사과와 보상을 요구했다.
5. 관련 문서
6. 외부 링크
[1] 당시 존재하던 골프장[2] 현대의 기준 타수[3] 플레이한 볼이 코스에 있는 그 누군가에게 향할 때 위험을 알리는 외침[4] 실제로는 괴링은 맥주홀 폭동 당시 총알에 한쪽 고환을 잃었다. 물론 남은 고환은 멀쩡해서 성기능에 지장은 없었다.[5] Himler를 발음이 비슷한 similar로 운을 맞췄다.[6] 영어에서 고벨스라고 발음되는 Goebbels와 발음이 비슷한 no balls로 운을 맞췄다.[7] 물론 놀려먹으려고 이렇게 쓴 거지 괴벨스는 아이만 6명 있었다![8] 런던 부근 켄싱턴에 있는 공연장. 여담으로 스나이퍼 엘리트 4에서 히틀러의 고환을 저격해 죽이는 도전과제명으로도 쓰였다.[9] 앨버트 홀 자체는 영국 현지화를 위하여 붙인 것으로, 가장 널리 퍼진 것이다. 원본에서는 부엌 벽이며 다른 버전은 타지마할도 있다.[10] 존 라베와 로버트 윌슨이라는 미국 의사가 같이 부르는 장면. 처음에는 존 라베는 자신이 나치당원이기도 하고 그때까지만 해도 히틀러의 실체를 모른 채 '독일을 패전의 상처에서 구한 위대한 총통'으로만 알아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을 매우 불쾌해했으나 유대인 기자로부터 나치의 만행을 듣고 차차 생각을 바꾸면서 피아노를 치면서 같이 부르게 된다.[11] "쓰레기는 죽지 않는다. 다만 재활용 될 뿐이다"라는 문구는 더글러스 맥아더의 어록인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를 패러디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