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12:01:08

배승균

파일:배승균(2025-26).jpg
<colbgcolor=#0ea675><colcolor=#fff> FC 도르드레흐트 No. 16
배승균
Bae Seung-gyun
출생 2007년 4월 22일 ([age(2007-04-22)]세)
대한민국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0cm / 체중 65kg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1]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ea675><colcolor=#ffffff> 유스 보인고등학교 (2023~2025)
선수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5~ )
FC 도르드레흐트 (2025~ / 임대)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2.2.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2.1. 2025-26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FC 도르드레흐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보인고등학교에서 뛰었지만 프로 팀 유스는 아닌 단순한 학원 축구 형식이었다.

프로 팀 유스가 아닌 학원 축구에서 뛰던 선수이기에 축구 팬들에게 주목도가 거의 없던 선수였으나, 뜬금없이 한국 시간으로 2025년 4월 5일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에 한해 높은 공신력을 자랑하는 1908.nl에서[2] 구단이 한국의 배승균을 영입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고 이미 협상을 위해 대표단이 한국에 들어왔다는 소식을 전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최근 황인범이 페예노르트에서 좋은 활약을 보임에 따라 구단이 다시 한국 선수에 주목하게 되었고 해당 과정에서 배승균이 낙점된 것으로 여겨졌다.

2.2.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파일:4631a940e0e5165988e476d277187c9e9bb63bed-3840x2560.jpg

# 한국 시간으로 2025년 4월 8일, 페예노르트 로테르담과 2028년까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2025 여름 이적 시장이 열리는 7월 1일에 합류한다.

또한 페예노르트와 보인고 사이에 파트너십 또한 체결되었고 페예노르트는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매년 트라이얼을 개최할 것이라고 전했다. #

2.2.1. 2025-26 시즌

7월 5일 프리시즌 SC 캄뷔르전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로 들어와 비공식 데뷔전을 가졌고, 후반 40분 다시 재교체되었다. 등번호는 65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직 프로 경험도 없는 학원 축구 출신의 어린 선수라 활약은 미미했다.

이후 페예노르트의 친선전 경기에서는 모두 명단 제외되었다.

디르크 카윗이 감독으로 있는 2부 리그의 FC 도르드레흐트로의 임대 이적 소식이 전해졌다. #
2.2.1.1. FC 도르드레흐트 (임대)
7월 31일, FC 도르드레흐트로의 임대 이적이 공식 발표되었다. #

8월 8일 에이르스터 디비시 1R SC 캄뷔르와의 경기에서 후반 65분 교체투입 되며 공식 경기 데뷔전을 가졌다. 경기는 1:0으로 도르드레흐트가 승리했다.
파일:GIF_20251018_190747_438.gif
10월 17일 ADO 덴하흐전에서 프로 무대 첫 선발 데뷔전을 치뤘고 몆차례 준수한 탈압박을 보였으나 역으로 압박에 당해 위험지역에서 볼을 뺏기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66분경에 교체됐다.
파일:GIF_20251025_165019_448.gif
파일:GIF_20251025_165148_998.gif

RKC 발베이크전에서도 선발로 나섰다. 이번 경기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나서게 됐다. 첫 번째 득점 기점 및 몇차례 좋은 패스를 보여줬다.

헬몬트 스포르트전에서도 선발로 나서며 3경기 연속 선발로 나섰다. 전반에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후반에는 중앙 미드필더로 나섰지만 큰 활약은 보여주지 못했다. 오히려 첫 실점 당시 아쉬운 커버와 수비가담으로 실점의 간접적 기점이 됐다. 아직까지 체력이 부족하고 경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기에 출전시간을 늘려 프로무대에 적응하는 것이 1순위로 보인다.

10월 A매치 기간 이전까지는 간간히 교체 투입되며 짧은 기회를 부여받았지만 A매치 기간 이후에는 선발 명단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헬몬트 스포르트와의 경기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해 첫 풀타임 경기를 가졌고 팀도 2:1로 승리했다.

빌럼 II와의 KNVB 베이커 경기에서 중앙 미드필더로 출전했지만 압박을 못 이겨내고 그대로 공을 뺏겨 실점하는 등 최악의 경기력을 보였다. 팀은 전반전에만 무려 5골을 내줬고 배승균 역시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되었으며 팀은 2골을 더 내주고 0:7로 참패를 당하며 그대로 탈락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24년 백기태 감독이 이끄는 U17 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되었다.

이듬해인 2025년 6월 이창원 감독이 이끄는 U20 대표팀에도 소집되면서 만일 차출에 문제가 없다면 U20 월드컵에 동행할 가능성도 생겼었으나 기존의 같은 유럽파 멤버인 양민혁, 윤도영, 박승수가 모두 차출에 결국 실패하면서 자동으로 본인도 U20 월드컵 출전이 무산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지만 미드필더 전 지역을 소화할 수 있다.

네덜란드 2부 리그이긴 하나, 피지컬 자체는 유럽 선수들 사이에서도 어느 정도 버티는 게 가능할 정도로 밸런스나 체격이 되는 편이다. 발밑 기술 역시 그렇게 나쁘지는 않아 드리블을 이용해 어느 정도의 돌파나 탈압박은 가능한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K리그 프로 구단 산하 유스가 아닌, 학원 축구에서 뛰던 선수인지라 아무래도 팬들이 기대하는 유럽파 유망주와는 아직 다소 거리가 먼 상황이다. 집중력, 판단 능력, 기술, 체력 등등 아직까지는 모든 면에서 네덜란드 2부 리그라도 프로 레벨에서 뛰기에는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미드필더 전 포지션을 볼 수 있다는 것도 네덜란드 2부 수준이라지만 현재까지 프로 레벨에서 보여주는 모습을 보면 사실 이 선수가 정말 미드필더 전 지역을 소화 가능한 유틸리티 플레이어라기보다는, 아직 어린 나이여서 세부 포지션이 확실하게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것과 네덜란드 2부리그에서 10대의 어린 나이에 기회를 받을 정도의 레벨이면 국내 학원 축구 정도의 수준에서는 미드필더 전 지역을 소화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였을 상황이 겹치며 나온 이야기일 확률이 높다. 그렇기에 향후 시간이 지나며 프로 레벨에서 살아남기 위한 본인의 장점을 살리는 포지션을 확실하게 잡을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한마디로 네덜란드 명문 페예노르트가 한국의 학원 축구라는 불모지에 가까운 곳에서 직접 영입할 정도로 키워볼 만한 기본 툴 자체는 있긴 한데, 아직 프로 레벨에서 주전으로 뛸 만한 레벨은 아닌, 말 그대로 어느 정도 잠재력이 있는 유망주라는 지극히 평범한 타입인 셈이다. 양민혁, 박승수 등 10대 후반의 어린 나이에 K리그에서 어느 정도의 활약을 보여주고 유럽 무대에 진출한, 팬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유망주와는 조금 다른 케이스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는 미흡한 레벨을 보여주고 있긴 하나, 어린 선수인 데다가 유럽에서 지속적으로 기회를 받으며 경험과 성장을 이어가고 있기에 향후 몇 년이 지나면 발전을 보여줄 가능성이 충분한 유망주이다.

5. 여담

6. 둘러보기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부 리그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No. 11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No. 7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No. 3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No. 11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No. 19
파일:FC 낭트 로고.svg No. 5
파일:FC 낭트 로고.svg No. 7
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No. 6
파일:SBV 엑셀시오르 로고.svg No. 7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 가로형.svg
파일:FC 아로카 로고.svg No. 14
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파일:KRC 헹크 로고.svg No. 9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알란야스포르 로고.svg No. 16
파일:콘야스포르 로고.svg No. 21
파일:찬스 리가 로고 가로형.svg
파일:1. FC 슬로바츠코 로고.svg No. 77
파일:PKO 방크 폴스키 엑스트라클라사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구르니크 자브제 로고.svg No. 79
파일:덴마크 수페르리가 가로형 로고.svg
파일:FC 미트윌란 로고.svg No. 10
파일:FC 미트윌란 로고.svg No. 3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FK 아우스트리아 빈 로고.svg No. 16
파일:FK 아우스트리아 빈 로고.svg No. 17
파일:logo-cssl-white.png
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 No. 18
파일:윌리엄힐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파일:셀틱 FC 로고.svg No. 13
파일:모차르트 베트 수페르리가 로고 가로형.svg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No. 66
파일:니케 리가 로고 가로형.svg
파일:MFK 젬플린 미할로우체 로고.svg No. 77
파일: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png
파일:FK_Minsk_Logo.png No. 6
2부 리그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2.svg
파일:스토크 시티 FC 로고.svg No. 10
파일:버밍엄 시티 FC 로고(2025-26 HOME).svg No. 8
파일:스완지 시티 AFC 로고.svg No. 10
파일:포츠머스 FC 로고.svg No. 47
파일:라리가 하이퍼모션 로고 화이트.svg
파일:FC 안도라 로고.svg No. 29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No. 5
파일:쾨컨 캄피운 디비시 로고.svg
파일:FC 도르드레흐트 로고.svg No. 16
파일:리가 포르투갈 Meu Super 로고 가로형.svg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No. 30
파일:챌린저 프로 리그 로고.svg
파일:KRC 헹크 로고.svg No. 89
파일:KRC 헹크 로고.svg No. 85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FC 리퍼링 로고.svg No. 20
파일:피르스트 비에나 FC 로고.svg No. 14
파일:모차르트 베트 프르바리가 로고 가로형.svg
파일:FK 스메데레보 1924 로고.png No. 6
참고 웹사이트
}}}}}}}}}}}} ||
[1] 미드필더 전 지역을 소화할 수 있다.[2] 페예노르트의 황인범에 대한 공식 비드 소식을 가장 먼저 전한 것도 해당 언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