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14:22:17

바케바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ばけばけ'''{{{#!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요일의 메종 데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バケバケ]]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バケバケ#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バケバケ#|]]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요일의 메종 데의 노래: }}}[[バケバケ]]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バケバケ#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バケバケ#|]]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NHK 로고.svg파일:NHK 로고 화이트.svg
<colcolor=#373a3c,#ddd> 월~토 08:00 바케바케
월~목 22:45 매일, 휴일
화 22:00 시바의 규칙 ~우리들은 개 바보 편집부~
토 22:00 화성의 여왕
일 18:45 하구레구모 파일:NHK BS 로고.png
일 20:00 베라보 ~츠타쥬 영화의 꿈 이야기~
파일:닛폰 테레비 로고.svg
수 22:00 ESCAPE 그것은 유괴였을 것이다
목 23:59 최애의 살인 파일:요미우리 테레비 로고.svg
토 21:00 좋은 일 나쁜 일
일 22:30 우리 집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월 21:00 절대영도 ~정보범죄 긴급수사~
월 22:00 종막의 론도 -이제 두 번 다시, 만날 수 없는 당신에게- 파일:간사이 테레비 로고.svg
화 21:00 신도쿄 수상 경찰
화 23:00 딸의 목숨을 앗아간 놈을 죽이는 것은 죄입니까? 파일:간사이 테레비 로고.svg
수 22:00 만약 이 세상이 무대라면 분장실은 어디에 있을까
목 22:00 어렸을 때는, 신이 있어서
토 23:40 간병 스낵 베르사유 파일:도카이 테레비 로고.svg
파일:테레비 도쿄 로고.svg
월 23:06 시난트로프
수 24:30 최애가 상사가 되어서 풀 스로틀
수 25:00 25시, 아카사카에서 시즌2
목 24:30 되든, 안 되든
금 21:00 코치
금 24:12 한 여름의 공범자
금 24:42 반주의 방식 4 ~가을・겨울 편~
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
화 21:00 조금만 초능력자
수 21:00 파트너 시즌24
목 21:00 긴급취조실 시즌5
금 23:15 사랑하는 경호 24시 시즌2
토 23:00 아빠와 아버지의 우리집밥
일 22:15 모든 사랑이 끝난다고 해도 파일:ABC 테레비 로고.svg
일 24:10 너와 한 키스는 언제까지나 파일:ABC 테레비 로고.svg
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화 22:00 그럼, 네가 만들어 봐
수 24:58 병아리 기자의 특종
화 24:59 너는 특별해 파일:MBS 마이니치 방송 로고.svg
금 22:00 페이크 마미
일 21:00 더 로열 패밀리
파일:WOWOW 로고.svg
금 23:00 스트롭 에지
일 22:00 1972 물가의 반딧불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NHK 로고.svg
連続テレビ小説
연속 TV 소설
2020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エール
어서와 모네
おかえりモネ
치무돈돈
ちむどんどん
란만
らんまん
호랑이에게 날개
虎に翼
오쵸양
おちょやん
컴 컴 에브리바디
カムカムエヴリバディ
날아올라라!
舞いあがれ!
부기우기
ブギウギ
오무스비
おむすび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앙팡
あんぱん
바람, 향기롭다
風、薫る



바케바케
ばけばけ
블라섬
ブラッサム



둘러보기

2010년대2020년대
}}}}}}}}} ||
NHK 연속 TV 소설
바케바케 (2025~2026)
ばけばけ
THE GHOST WRITER'S WIFE
<nopad> 파일:바케바케 두 사람 포스터.jpg
<colbgcolor=#9e9900><colcolor=white> 방송 시간 평일 오전 08:00 ~ 08:15
방송 기간
방송 중
2025년 9월 29일 ~
촬영 기간 2025년 3월 25일 ~
방송 횟수 125부작
제작 NHK 오사카
채널 NHK GNHK BSNHK BSP4KNHK WPTV JAPAN
제작진 <colbgcolor=#9e9900><colcolor=white> 제작 하시즈메 쿠니오미[1]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이즈미나미 케이신, 마츠오카 카즈후미, 코바야시 나오키, 코지마 토요 등
극본 후지키 미츠히코[2][3]
음악 우시오 켄스케
출연 타카이시 아카리, 토미 바스토우, 요시자와 료
해설[4] 와타나베 에리코[5], 기무라 미호[6]
지원 포멧 UHD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
3. 기획의도4. 등장인물
4.1. 주인공4.2. 가족4.3. 마츠노 가4.4. 우시미즈 가4.5. 마츠에 사람들
5. 음악
5.1. 주제가
6. 방영 목록 및 시청률7. 기타
7.1. 바톤터치

1. 개요

NHK 연속 TV 소설 113번째 작품
113번째 연속 TV 소설 작품은
마츠에의 몰락 사족의 딸 코이즈미 세츠를 모델로 한 이야기입니다.

외국인 남편 라프카디오 헌(코이즈미 야쿠모)과 함께 '괴담'을 사랑하며 급속하게 서양화가 진행되는 메이지 일본 속에 묻혀 온 이름 없는 사람들의 마음의 이야기를 조명하고 대변자로서 이야기한 부부의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2025년 9월 29일부터 방영 중인 NHK 연속 TV 소설 일본 드라마.

2. 공개 정보

  • 2024년 6월 12일, '바케바케' 제작 결정 뉴스가 보도되었다. #
  • 2024년 10월 29일, 보도 프로그램 '열도 뉴스'에서 히로인을 생중계로 발표했다. 히로인은 타카이시 아카리가 캐스팅됐으며, 2892명의 오디션 응모자 중에서 선택되었다. #
  • 2024년 11월 27일, 히로인의 남편을 발표했다. 토미 바스토우가 캐스팅됐으며, 1767명의 응모자 중에서 선택되었다. #
  • 2025년 3월 25일, 크랭크인을 하면서 촬영이 시작되었다. #

2.1. 예고편

<nopad>
예고편
<nopad>
캐스트판 예고편

2.2. 포스터

파일:바케바케 두 사람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
파일:바케바케 포스터2.jpg 파일:바케바케 포스터1.jpg
부부 포스터
파일:바케바케 시마네 포스터.jpg 파일:바케바케 구마모토 포스터.jpg
시마네현 포스터 구마모토현 포스터

3. 기획의도

메이지 시대 마츠에. 마츠노 토키는 괴담을 좋아하는 특이한 여자아이입니다. 마츠노 집안은 상급 사족의 가계를 이어왔지만 무사 시대가 끝나고 아버지가 사업에 실패. 매우 가난한 생활을 하게 됩니다. 세상이 어지럽게 변하는 가운데 앞서가는 토키는 시대에 뒤처져 버린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자라 이 살기 힘든 세상을 원망스럽게 생각하며 지냅니다.
극도록 가난했던 생활이 계속되면서 어떻게든 살아가던 토키에게 새로운 이야기가 날아듭니다. 새로 온 외국인 영어 교사 집 하녀 일이 들어온 것입니다. 외국인이 드물었던 시대, 세상의 편견을 받을 것을 각오하고 토키는 하녀가 되기로 결심합니다.
외국인 교사는 그리스 출신 아일랜드인. 어릴 적에 부모님으로부터 버림받고 자라 친척들을 따돌린 끝에 미국으로 쫓겨났고, 일을 계속 찾던 중에 일본에 온 것입니다.
토키는 처음에 말이 통하지 않는 언어 문제부터 문화 차이를 겪습니다. 그러던 중 서로의 처지가 비슷하다는 것을 깨닫고 마음이 점점 통하게 됩니다. 두 사람은 모두 괴담을 좋아합니다!
이상한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이상한 두 사람이 밤마다 이상한 괴담 이야기를 나누는 이상한 삶이 시작됩니다.

4. 등장인물

4.1. 주인공

마츠노 토키
松野 トキ
<nopad> 파일:바케바케_0.jpg
타카이시 아카리 / 아역: 후쿠치 미하루
민담이나 옛날 이야기를 좋아하는 마츠노 집안 외동딸. 힘든 일이 있으면 엄마 후미에게 ‘이야기 좀 해줘요(お話をしてごすなさい)’라고 하며 괴담 이야기를 듣는다. 괴담도 괴물도 가족도 매우 좋아하지만 주위에서는 괴짜라며 징그러워한다. 후미가 만들어 주는 바지락국을 좋아해 한입 마시면 저도 모르게 ‘앗(あーっ)’ 소리가 나온다.

4.2. 가족

레브카다 헤븐
レフカダ・ヘブン
<nopad> 파일:바케바케_1.jpg
토미 바스토우[7]
영어 교사. 신문기자로 취재하러 일본에 갔다가 인연이 닿아 마츠에에서 영어를 가르치게 된다. 동료 영어 교사 니시코오리 유이치의 도움을 받으면서 마츠에에서 나날을 보낸다. 엉뚱한 일로 토키와 만나게 되어 교류가 시작된다.

4.3. 마츠노 가

마츠노 츠카사노스케
松野 司之介
<nopad> 파일:바케바케_2.jpg
오카베 타카시
토키의 아버지. 마쓰에번 상급 무사였지만 메이지 시대로 수입이 없어지면서 괴롭고 가난한 생활을 보낸다. 무사로 살아왔기에 돈 버는 방법을 모른다… 그러나 토키와 가족을 위해 서툴러도 분투한다. 토키에게 ‘멋있다!‘는 말을 듣고 싶어!
마츠노 후미
松野 フミ
<nopad> 파일:바케바케_3.jpg
이케와키 치즈루[8]
토키의 어머니. 이즈모 대사의 상관 집안에서 자라 이즈모의 신이나 생령, 컨저링 이야기,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의 이야기를 잘 알고 있어 토키에게도 자주 들려준다. 토키의 이야기를 가장 좋아하는 사람. 시대의 변화에 당황하면서도 부업으로 가계를 지탱하는 야무진 사람으로, 토키와 마츠노 집안의 남자들을 지켜본다.
마츠노 칸에몬
松野 勘右衛門
<nopad> 파일:바케바케_4.jpg
코히나타 후미요
토키의 할아버지. 에도 막부 시대를 살아 온 타고난 무사. 메이지 시대가 되어 무사 시대는 끝났다…고 하지만 만일의 경우 다른 나라로부터 이 나라를 지키는 건 자신이라 하면서 상투를 묶고 검투 연습을 계속하는 ‘라스트 사무라이’. 검으로 어떤 상대에게도 지지 않는다는 자부심이 있지만 토키에게는 무척 약하다.

4.4. 우시미즈 가

우시미즈 덴
雨清水 傳
<nopad> 파일:바케바케_12.jpg
츠츠미 신이치
마츠에번에 이름을 날리는 상급무사로 문무양도의 엘리트. 친척인 토키를 매우 귀여워해, 어릴적부터 여러가지로 신경쓴다. 마츠에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의 인격자로 변해가는 시대 속에서 토키를 비롯한 많은 몰락사족에게 손을 내밀려 애쓴다.
우시미즈 타에
雨清水 タエ
<nopad> 파일:바케바케_10.jpg
키타가와 케이코
토키의 친척. 마츠에 명가에서 태어나 하녀들의 시중을 받으며 아무런 불편없이 자랐다. 늠름한 기품과 엄격함을 지녔으며 토키에게 무사의 딸로서의 품격을 요구한다. 예의범절과 차 등 무가의 딸로서 필요한 교양을 가르친다.
우시미즈 산노조
雨清水 三之丞
<nopad> 파일:바케바케_11.jpg
이타가키 리히토
우시미즈 가의 삼남. 토키보다 두 살 어리다. 형이 가독을 잇기 때문에 해야할 역할이 없다. 집안에서 설 자리가 없다 보니 토키의 일터로 파고들고 있다.

4.5. 마츠에 사람들

니시코오리 유이치
錦織友一
<nopad> 파일:바케바케_9.jpg
요시자와 료
마츠에 제일의 수재로, '다이반쟈쿠(大磐石)'라는 이명을 가진다. 마츠에 중학교에서 영어 교사를 맡고, 외국인 교사로서 마츠에에 온 헤븐을 공사로 지원한다. 토키와도 기묘한 인연으로 알고, 깊이 관여해 간다.
야마네 긴지로
山根 銀二郎
<nopad> 파일:바케바케_5.jpg
칸 이치로
토키의 맞선 상대. 가난한 족경 집안 둘째 아들로 태어나 극빈한 생활을 하며 자랐다. 엄격한 아버지 밑에서,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무사로서의 생활방식을 지키고 있다.
노즈 사와
野津 サワ
<nopad> 파일:바케바케_6.jpg
마루이 완
전 하급 무사의 딸이자 토키와 가장 친한 소꿉친구.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언젠가 불편함 없는 삶을 꿈꾸는 가족의 기대를 짊어지고 자란다.
나미
なみ
<nopad> 파일:바케바케_7.jpg
사토 호나미[9]
농가 집안에서 태어나 8남매의 장녀로 어려운 살림을 꾸려왔다. 빚을 진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천국 유곽의 유녀가 된다.
에토 야스무네
江藤安宗
<nopad> 파일:바케바케_8.jpg
사노 시로
시마네를 각별히 사랑하고, 일본이 자랑하는 일류의 현으로 끌어올리려고 정열을 불태우는 지사. 영어교육 내면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본고장의 외국인 교사를 구하고 있었다.
에토 리요
江藤リヨ
<nopad> 파일:바케바케_15.jpg
키타 카나
에토 야스무네의 외동딸.
일라이자 벨즈랜드
イライザ・ベルズランド
<nopad> 파일:바케바케_13.jpg
샬럿 케이트 폭스
미국에서 활약하는 여기자. 헤븐의 동료. 총명하고 세계를 날아다니는 행동력을 지닌 “퍼펙트 우먼”. 헤븐에게 일본으로 갈 것을 권유한다.
하나다 히라타
花田平太
<nopad> 파일:바케바케_14.jpg
나마세 카츠히사
하나다 여관의 주인.
하나다 츠루
花田ツル
<nopad> 파일:바케바케_16.jpg
이케타니 노부요
하나다 여관의 여장.
나카무라 모리미츠
中村守道
<nopad> 파일:바케바케_17.jpg
사카이 타이세이
토키와 잘 어울리는 청년.

5. 음악

5.1. 주제가

험버트 험버트 - 笑ったり転んだり

6. 방영 목록 및 시청률

  • 빨간 글자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하고, 파란 글자는 '최저 시청률'을 의미한다.
바케바케 방영목록
{{{#!folding 1 ~ 10주
{{{#!wiki style="margin: -5px -11px"
회차 방영주차 부제 평균
1주차
1-5부
2025년 9월 29일
~ 2025년 10월 3일
<colbgcolor=#e5e5e5> 무사 딸, 원망스러워.
ブシムスメ、ウラメシ。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15.5%
2주차
6-10부
2025년 10월 6일
~ 2025년 10월 10일
신랑, 맞이하기, 어려워.
ムコ、モラウ、ムズカシ。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14.8%
3주차
11-15부
2025년 10월 13일
~ 2025년 10월 17일
어서 와요, 마츠노 집안에.
ヨーコソ、マツノケヘ。

● 연출: 이즈미나미 케이신
14.7%
4주차
16-20부
2025년 10월 20일
~ 2025년 10월 24일
둘이서, 살기, 해요?
フタリ、クラス、シマスカ?

● 연출: 마츠오카 카즈후미
15.2%
5주차
21-25부
2025년 10월 27일
~ 2025년 10월 31일
나, 헤븐. 마츠에, 온, 헤븐.
ワタシ、ヘブン。マツエ、モ、ヘブン。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15.4%
6주차
26-30부
2025년 11월 3일
~ 2025년 11월 7일
어디, 에, 지옥.
ドコ、モ、ジゴク。

● 연출: 이즈미나미 케이신
14.9%
7주차
31-35부
2025년 11월 10일
~ 2025년 11월 14일
토키씨, 하녀, OK?
オトキサン、ジョチュウ、OK?

● 연출: 무라하시 나오키
15.7%
8주차
36-40부
2025년 11월 17일
~ 2025년 11월 21일
겨우, 죽지, 못해.
クビノ、カワ、イチマイ。

● 연출: 마츠오카 카즈후미
9주차
41-45부
2025년 11월 24일
~ 2025년 11월 28일
스킵, 투, 꾀꼬리.
スキップ、ト、ウグイス。

● 연출: 이름
10주차
46-50부
2025년 12월 1일
~ 2025년 12월 5일
번역한 부제
(title / カタカナ)

● 연출: 이름
평균 시청률
}}}}}} ||
{{{#!folding 11 ~ 20주
{{{#!wiki style="margin: -5px -11px"
회차 방영주차 부제 평균
11주차
51-55부
2025년 12월 8일
~ 2025년 12월 12일
<colbgcolor=#e5e5e5>

● 연출:
12주차
56-60부
번역한 부제
(title / カタカナ)

● 연출: 이름
13주차
61-65부
번역한 부제
(title / カタカナ)

● 연출: 이름
14주차
66-70부
번역한 부제
(title / カタカナ)

● 연출: 이름
평균 시청률
}}}}}} ||
전체 평균 시청률 ''-%''
해당 자료는 일본 간토 지방 기준입니다. #

7. 기타

  • 실존인물인 코이즈미 세츠를 모델로 하되, 대담하게 재구성하여 등장인물명이나 단체명 등은 일부 개칭하여 픽션으로 그린다.[10]
  • 마츠노 토키 역과 레브카다 헤븐 역은 모두 오디션을 개최해 캐스팅하였다. 히로인 역에는 2892명이 응모했으며, 서류 심사에서 2000명으로 좁혀지고, 영상 심사에서 100명으로, 그리고 대면 워크숍에서 10명, 카메라 테스트에서 타카이시 아카리가 뽑혔다. #
  • 주인공 역을 맡은 타카이시 아카리의 아역 배우 역시 오디션을 통해 뽑았다. 타카이시는 대사가 없을 때에도 다채로운 표정을 보이는 등 자유롭게 연기를 하는 스타일이기에, 아역 배우도 비슷한 연기를 하는 아이를 선택했다고 한다. 실제 촬영 현장에서도 제작진은 아역에게 최대한 자유롭게 연기하라고 지도했다고. #
  • 드라마의 배경은 히로인 마츠노 토키의 고향인 시마네현에서 시작된다. 그 후 히로인의 삶이 진행됨에 따라 무대지는 구마모토현 등 각지로 옮겨간다고 한다.
  • 연속 TV 소설 역사상 ‘게게게의 여보’에 이어 15년 만에 시마네현을 배경으로 한다.
  • NHK는 제목 '바케바케'에 담은 생각에 대해 "이 드라마는 '변하는(化ける, 바케루)' 이야기입니다. 급속히 근대화가 진행되는 메이지의 일본은 사람들의 생활이나 가치관이 점점 '변해'갑니다. 그 속에서 남겨진 사람들의 생각은 때로 괴담이라는 이야기로 형태를 바꾸어 구전되어 왔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원망스러웠던 토키의 세계도, 언젠가, 둘도 없는 멋진 것으로 '변해'가는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 #
  • 본작의 각본가 후지키 미츠히코는 각본에 대해 "인생에는 빛도 있고 그림자도 있다고 하지만, 인생은 빛도 그림자도 아닌 곳이 대부분이다라는 것이 저의 실감입니다. 반짝이는 것도 아니지만 그림자라고 할 정도로 어둡지도 않고, 사람들에게 얘기할 만한 것도 아닌 사소한 시간이죠. 그런 빛도 그림자도 아닌 부분에 빛을 비추는 아침 드라마를 써 보고 싶습니다. 이번 모델인 코이즈미 세츠 씨를 알게 되어 그런 생각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세츠 씨는 특별한 일을 이루거나 엄청난 꿈을 이룬 사람이 아닙니다. 약간은 독특하지만 평범한 일상을 보낸, 말하자면 보통 사람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사랑스러운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
  • 1984년에 코이즈미 야쿠모, 코이즈미 세츠 부부의 인생을 그린 NHK 드라마 '일본의 모습(日本の面影)'이 방영된 바 있다. 이 작품은 코이즈미 야쿠모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 오카베 타카시호랑이에게 날개에 이어 이례적으로 2년 연속 히로인의 아버지를 맡게 되었다. 오카베는 각본가 후지키와 절친한 사이이기도 하다. 프로듀서에 의하면 이 드라마에서 가장 먼저 결정된 캐스팅이 오카베라고 한다. #
  • 요시자와 료가 연기한 니시코오리 유이치는 메이지 시대 마츠에의 위인 중 한 명인 니시다 센타로(西田千太郎)가 모델이다. 니시다 센타로는 코이즈미 부부의 절친이었다고 한다. # 프로듀서 하시즈메 쿠니오미는 요시자와에 대해 "타카이시 아카리 씨, 토미 바스토우 씨와 함께 이 드라마의 세 기둥입니다"라고 말했다. #
  • 요시자와 료는 영어 대사가 많지만, 실제로는 영어를 잘하지 못한다고 한다. 예상했던 것보다 영어 대사가 3배 많아서, 영어 수업을 따로 들어야 했다고. #
  • 샬럿 케이트 폭스는 연속 TV 소설 세 번째 출연이다. 맛상에서 외국인 최초로 주인공을 맡았으며, 벳핀상에 이어 조연으로 출연한다. [11]
  • 연속 TV 소설에서 드물게 주인공 부부를 지켜보는 동물이 해설을 담당한다. 개그 콤비 아사가야 자매인 와타나베 에리코와 기무라 미호가 맡았다.
  • 토미 바스토우는 코이즈미 야쿠모의 한쪽 눈이 실명됐던 것을 재현하기 위해 렌즈를 착용했다. 처음에는 불투명한 렌즈였기에 연기할 때 불편했지만, 제작진과 조절해서 거의 투명한 렌즈로 교체했다고 한다. # 또한 역할에 몰입하기 위해서, 역할처럼 방송국 복도에서 등을 굽히고 걷거나, 키세루(일본 전통 파이프)로 담배를 피우고 있는 모양. #
  • 기존의 NHK 아침 드라마와 달리 조명 연출에 신경을 많이 쓴 걸 확인할 수 있다. 어두운 곳은 확실히 어둡게 표현한 게 느껴진다. 우시미즈 덴 역할의 츠츠미 신이치는 빛이 직선이 아닌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들어오는 일본 전통 가옥을 잘 표현했다고 생각했다고. #[12]
  • 작품에서는 재첩 된장국이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는데, 실제로 재첩과 된장은 작중 배경이 되는 마쓰에시의 식재료를 넣어서 만들었다고. #
  • 부부 역할을 맡게 된 타카이시 아카리와 토미 바스토우는 만나자마자 곧바로 친해졌다고 한다. 바스토우가 감독이 말하는 지시가 일본어라서 잘 이해가 안 갈 때는 다카이시가 설명을 다시 해주는 모양. #
  • 주인공의 집인 마츠노가의 세트장은 실제로도 좁다고 한다. 출연진들이 화장을 잠시 고치는 것만으로도 세트장에서 모두가 다 나와야 할 정도로 좁다고. 또한 가난한 집안환경을 표현하기 위해서 먼지도 많이 넣었다고 한다. #

7.1. 바톤터치

파일:ppan-bake.jpg 파일:bake-kaoru.jpg
<앙팡> - <바케바케> 바톤터치!
이마다 미오, 타카이시 아카리 타카이시 아카리, 미카미 아이, 코사카 쥬리

[1]부기우기〉의 프로듀서[2] 드라마 〈아사가야 자매의 빈둥빈둥 두 사람 생활〉, 〈오늘의 네코무라 씨〉, 〈히토츠바시 키리코의 범죄일기〉, 교육 방송 〈찾았다!〉 등 집필[3] 작품의 배경이 되는 마츠에에서 본인도 나고 자랐기에, 작품에 애착이 더욱 깊은 모양.#[4] 이자 주인공 부부를 지켜보는 동물로 목소리 출연[5] 뱀 역[6] 개구리 역[7] FX의 미국 드라마 쇼군에서 마르틴 알비토 신부를 연기했던 1991년 생의 영국인 배우.[8] 주인공 아버지 역할인 오카베 타카시와 할아버지 역할인 코히나타 후미요는 캐스팅이 금방 됐지만, 어머니 역할은 제작진들이 많은 후보 배우들을 떠올리며 고심을 오랜 시간 동안 했다고 한다. 그러고는 "너무 웃기지 않으면서도, 너무 무겁지 않는 사람, 주변 사람들이 자기멋대로일 때 정리를 해주는 힘을 가진 사람"이라는 방향성을 정해서 이케와키 치즈루를 캐스팅했다고. #[9] 오디션으로 뽑혔다고 한다. 89년생인 그녀는 오디션 모집 요강에 명시된 연령 기준이 아슬아슬했기에 처음에는 안 뽑힐 줄 알았다고 한다. #[10] 실제로 허구의 내용인 에피소드도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8주 차 에피소드에서는 껑충껑충 서양식으로 뜀박질하는 걸 연습하는 것이 주요 장면으로 등장하지만, 실제 인물들이 했다는 기록은 없다. 토키와 헤븐이 함께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서양식 행동을 함께 하면서, 사이가 가까워지는 걸 표현하기 위해 넣었다고.#[11] 또한 사생활적으로는 그 사이에 육아에 전념했었기에, 5년 만에 연기를 하는 것이라고 한다. #[12] 하지만 화면이 어두워서 잘 안 보인다고 시청자로부터 불만도 많은 모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