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3:03:29

민락신도시

의정부 민락1지구에서 넘어옴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 민락신도시
소재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낙양동, 고산동, 산곡동 일원
<colbgcolor=#0f82bb> 면적 약 460만 ㎡[1]
수용 인구 약 70,074명 / 25,687세대[2]
시행사 LH[3]

1. 개요2. 구성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 민락신도시
民樂新都市 / Millak New Tow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민락1지구 · 민락2지구 · 고산지구
민락2지구 조감도 고산지구 복합문화융합단지 조감도
파일:민락2지구 조감도.png 파일:의정부고산지구조감도.jpg
민락2지구 토지 이용 계획도 고산지구 토지 이용 계획도
파일:민락2지구 토지이용계획도.jpg 파일:의정부고산지구토지이용계획도.jpg
}}}}}}}}} ||
경기도 의정부시의 동부 일대에 지어진 택지개발지구와 인접한 신규 도시개발계획부지의 모임을 비공식적으로 일컫는 말. 이 일원은 엄연히 신도시가 아니라 택지개발지구들의 모임일 뿐으로, '민락신도시'라는 개념은 정부에서 지정한 공식 명칭이 아닌 주민들에 의해 자의적으로 붙여진 이름 및 용어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① 신도시라는 용어의 쓰임이 행정법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고, ② 국가 지정 공식 신도시의 기준인 330만㎡보다 큰 택지개발지구, 또는 택지개발지구 집단이 많다는 실정과,[4] ③ 시나 LH 차원에서 국가 지정 신도시가 아님에도 신도시로 브랜딩하여 홍보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어, 별내지구라는 말보다는 별내신도시가, 다산지구라는 말보다는 다산신도시라는 쓰임이 민간에 더 널리 알려져 있거나 언론에 준용[5]되는 등의 대표적인 사례를 보면, 오늘날의 신도시라는 용어에 대한 쓰임은 '국가 지정 여부'에서 기인하기보다는 '사업 규모와 기반 시설의 수준면'에서 더 크게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국가 지정 여부에 구속받지 않고 자연스레 신도시를 자처하고 나서는 지역들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무작정 오남용이라고 문제삼기보다는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에 자연스레 붙는 쓰임이란 맥락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같은 맥락에서 택지개발지구를 신도시의 하위 개념인 것처럼 하대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할 수 있다.

2. 구성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 민락신도시
민락1지구 민락2지구 고산지구
복합문화융합단지 의정부 고산 법조타운
밑줄은 비공공주택지구

2.1. 의정부 민락1지구

민락동에 위치한 1990년대에 생겨난 택지지구이다.

민락1지구라는 개념은 근래에 들어서 생겨난 것이다. 민락2지구가 생겨나기 전까지는 단순히 민락동으로 불리고, 개발 당시에는 '민락지구'와 '송산지구'로 나뉘어 불리었다. 민락2지구가 등장하며 개발된 시기가 같은 두 지구 '민락'과 '송산'을 묶어 민락1지구라는 이름을 붙여 쓰며 자연스레 구분하기 시작했다.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합병하여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출범한 후에, 의정부시 개발부와 함께 단일 도시계획으로 집행한 민락2지구와 달리, 민락1지구는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의정부시, 민간분양의 4사업 주체로 쪼개져서 개발되었다. 이렇게 단일 도시계획이 아니었던 이유로 좁은 면적임에도 민락지구와 송산지구로 나뉘어 별도 개발될 정도로 파편화가 있던 지역인데, 민락2지구의 등장으로 대비되는 이 지역에 민락1지구라는 공동체 개념이 자리잡게 되었다.

신도시라는 이름에 맞지 않게 개발된 지 오래된 지구이지만, 2014년에 준공된 민락2지구와 상권 및 생활권을 공유하기 때문인지 민락신도시로 한 데 묶여 취급되고 있다. 인근의 의정부 경전철 탑석역에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이 예정되어 있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2.2. 의정부 민락2지구

민락동낙양동 일원에 위치한 새 택지개발지구로 지난 2014년 준공을 마쳤다. 의정부에서 가장 떠오르고 있는 지구로, 민락2지구의 중심상권은 의정부역세권 다음가는 규모로 크게 형성되고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정부 민락2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고산지구

고산동산곡동 일원에 위치한 새 공공주택지구로, 현재 착공을 시작하여 공사 중에 있다.

LH에서 사업 계획지로 선정할 당시에는 민락3지구로 명명돼 있었다. 민락이란 이름이 없음에도 고산지구까지 한 데 묶어 민락신도시라는 표현이 자리잡게 된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지구 남쪽에 경기북부법조타운이 추진되고 있어 의정부시의 부도심으로 추진, 개발되고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정부 고산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복합문화융합단지

고산동 일원에 위치한 단지로 고산지구와 맞닿아 있다.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의정부점, 뽀로로 테마파크, YG K-POP 클러스터, 워터파크 등이 입점할 계획이어서 관광단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복합문화융합단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의정부 고산 법조타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정부 고산 법조타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a7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a7b>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권역 행정동 관할 법정동
<colbgcolor=#bde0e9,#163942> 흥선권역 <colbgcolor=#a3dbca> 가능동 가능동, 의정부동
녹양동 녹양동
의정부1동 가능동, 의정부동
의정부2동
호원1동 호원동
호원2동
흥선동
가능동, 의정부동
송산권역 고산동 고산동, 산곡동
송산1동 용현동
송산2동 민락동
송산3동
민락동, 낙양동
신곡1동 신곡동
신곡2동
장암동 장암동
자금동 금오동, 자일동
시청 소재지
|
권역별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
  • 신도시
  • 오포읍: 비슷한 시기에 집중입주 하였으나 똑같이 지하철이 언제 들어올지 모른다.
  • 교통난: 7호선 지하철이 이 지역을 버리고 지나갈 예정이다.

[1] 민락1지구 제외. (자료 없음)[2] 민락1지구 및 복합문화융합단지 제외. (자료 없음)[3] 민락1지구 및 복합문화융합단지 제외. (자료 없음)[4] 예를 들면, 하남 미사공공주택지구는 국가 지정 신도시인 김포시 한강신도시보다 더 많은 수용 인구와 넓은 면적을 갖추고 있다.[5] 민락신도시를 준용하는 언론 보도 사례: SBS, 경기북부 지역 언론 <나라방송> ①, 경기북부 지역 언론 <나라방송> ②, 연합뉴스, 중부일보, 서울신문, 천지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