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20:47:34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TWO

미임파8에서 넘어옴
파일:미션 임파서블 (영화) 로고.png
{{{#f01c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봉 영화
미션 임파서블
(1996)
미션 임파서블 2
(2000)
미션 임파서블 3
(2006)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2023)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TWO
(2025 예정)
드라마
제5전선 돌아온 제5전선
등장인물
이단 헌트 루터 스티켈 벤지 던 유진 키트리지
윌리엄 브랜트 줄리아 미드 일사 파우스트 제인 카터
숀 앰브로스 오웬 데이비언 커트 헨드릭스 솔로몬 레인
어거스트 워커 앨런 헌리 화이트 위도우 재스퍼 브릭스
그레이스 가브리엘 파리
그 외 등장인물/IMF/신디케이트/엔티티
}}}}}}}}}}}} ||
미국 개봉일까지 D[dday(2025-05-23)]
<colbgcolor=#000><colcolor=#ffffff> 미션 임파서블 8 (가제) (2025)
Mission: Impossible 8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장르 <colbgcolor=#ffffff,#1f2023>액션, 스릴러, 어드벤처, 첩보, SF
원작 브루스 겔러 - TV 드라마 《제5전선
감독 크리스토퍼 맥쿼리
각본 크리스토퍼 맥쿼리
에릭 젠드레슨
제작 톰 크루즈
크리스토퍼 맥쿼리
원안
기획
음악 론 발프
촬영
편집
미술
의상
번역
출연 톰 크루즈, 사이먼 페그, 헤일리 앳웰
제작사 TC 프로덕션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파라마운트 픽처스 워드마크.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롯데엔터테인먼트 한글 가로 로고.png
스트리밍
촬영 기간 2022년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5년 5월 23일 (예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예정)
화면비 2.39:1
파일:IMAX 로고.svg파일:IMAX 로고 화이트.svg (2.39:1 / 1.90:1)
파일:IMAX 레이저 로고.png (2.39:1 / 1.90:1)
상영 타입 2D | IMAX | Dolby Cinema
상영 시간
제작비 3억 달러 이상[1]
북미 박스오피스 $
월드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10. 기타

[clearfix]

1. 개요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8번째 영화. 전작인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에서 바로 이어진다.

2. 개봉 전 정보

  • 촬영은 2022년 중에 시작했다. # 톰 크루즈는 7편 개봉 전에 8편의 제작이 마무리되길 바라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여러가지 일정으로 인해 7편 개봉 전에 마무리되지 못했다.
  • 7편의 클리프행어 엔딩에 바로 이어지는 시간대로 스토리가 진행된다.[2]
  • 2023년 3월 2일, 미국 버라이어티는 이탈리아 현지 보도를 인용해 톰 크루즈가 미션 임파서블 8편 촬영을 위해 2월 26일 이탈리아 풀리아주 바리에서 헬기를 타고 촬영을 위해 아드리아 해에 위치한 미군 항공모함(CVN 77)으로 향했다고 보도했다. #
  • 이미 시나리오 작업은 완료되었고 촬영 중이었기 때문에 작가 파업의 영향은 없었지만, 배우 파업으로 인해 출연진들이 활동을 중단하면서 촬영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3]
  • 인터뷰를 통해 일부 촬영지가 북극인 것으로 밝혀졌다. #
  • 미국배우조합 파업으로 인해 개봉일이 2025년 5월로 연기되었다.
  • 2024년 1월, 전작이 파라마운트+에 스트리밍 공개될 때 제목의 부제가 'PART ONE'을 삭제한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본작의 제목도 변경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 촬영 중 400만 달러짜리 잠수함이 고장나서 촬영이 잠시 연기되었다.
  • 이번 작품의 순제작비가 4억 달러에 달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배우조합 파업으로 인한 촬영 중단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제작비가 크게 불어났다고 한다. 이후 제작비가 최소 3억 달러는 넘는다는 보도가 나오며, 4억 달러 설은 아직 확인된 바가 없지만 시리즈 역사상 최고액의 제작비가 사용되었음은 맞아 보인다.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메타스코어 점수> / 100 점수 <유저스코어 점수>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토마토미터 퍼센티지>% 관객 점수 <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전문가 평점> / 5.0 관람객 별점 <관람객 평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평점>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평점>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평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
평점 <평점>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평점>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5F00D2><#fff,#bbb> 파일:야후 키모.png ||
별점 <평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평점>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지수>%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영화 코드>"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영화 코드>;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영화 코드>|{{{#!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전문가 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전문가 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네티즌 평점>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지수>%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da291c><tablebordercolor=#da29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
평점 <평점>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3c2a78><tablebordercolor=#3c2a78><tablebgcolor=#fff,#191919><:>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평점 <평점>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5e2a><tablebordercolor=#ff5e2a><tablebgcolor=#fff,#191919><:> [[MRQE|
MRQE
]] ||
평점 <유저 평점> / 10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cinemascore-logo.png ||
등급 <스코어>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점수>%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bbb><tablebordercolor=#2d2338><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
평점 <점수>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ff><tablebordercolor=#ba92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
별점 <별점> / 4

9. 흥행

전작인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이 극장 개봉 당시에는 시리즈 처음으로 손익분기점 도달에 실패하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으며,[5] 이번 작품의 순제작비로 최소 3억 달러 이상이 사용되었으며 많게는 4억 달러에 달한다는 루머가 나와 흥행 성적에 대한 부담감이 큰 상황이다.

10. 기타

  • 원래 2022년 8월 5일에 개봉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4년 3분기로, 이후 2023년 미국배우조합 파업으로 인해 2025년 5월로 두 번 연기되었다.
  • 크리스토퍼 맥쿼리 감독은 7편을 뛰어넘는 사상 최대의 액션신이 들어갈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제작사에서 살짝 밝혀진 바로는 톰 크루즈가 날고 있는 비행기 위를 걸어다니는 장면을 촬영했다고 한다.
  • 영국을 제2의 고향으로 생각하는 톰 크루즈가 찰스 3세의 대관식에 참여하기 위해 미션 임파서블 8의 촬영을 연기했다고 한다. #
  • IMDb에서 본작의 출연진을 보면 레베카 페르구손이 있다. # 다만 회상 장면 때문에 출연진에 페르구손이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 파라마운트에서 7편의 부제를 '데드 레코닝 PART ONE'에서 '데드 레코닝'으로 변경했다. 7편과 8편을 각각 오리지날 작품으로 하겠다는 것.


[1] 파업 사태로 인해 촬영이 중단되면서 제작비가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다. 제작비가 이미 4억 달러를 넘겼다는 설도 있을 정도다.[2] 5편과 6편도 스토리가 연결이 되기는 하지만 7편과 8편처럼 시간대가 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3] 그런데 이 배우 파업의 원인 중 하나가 AI를 이용한 캡쳐 후 이용에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이 영화의 전체적인 스토리(강인공지능과의 싸움)를 생각했을 때 참 아이러니하다.[4] 1편에서 알래스카 한직으로 쫓겨난 CIA 분석가. 28년 만에 시리즈로 복귀한다.[5] 다행히도 코로나19로 인한 보상금 지급으로 제작비가 감소하여 (2억9천만달러 -> 2억2천만달러) 결국 손익분기점을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