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02:10:22

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뷁어' 로 불리는 문자 오류에 대한 내용은 문자 깨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니코드 BDC1
완성형 수록 여부 X
구성 ㅂ+ㅞ+ㄹㄱ
두벌식-QWERTY qnpfr
세벌식 최종-QWERTY ;9c@
현행 로마자 표기 bwek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pwek

1. 개요2. 역사
2.1. 기원2.2. 유행과 쇠퇴
3. 모양
3.1. 획수가 많은 글자3.2. 뷁어
4. 발음
4.1. '뷁'이 된 음성적 이유
5. 옛한글 입력6. 기타7. 영화 뷁

1. 개요

2000년대 아이돌 그룹 H.O.T. 출신 락커 문희준이 남긴 시대를 풍미했던 유행어. 2000년대 초중반에 '', ''과 함께 인터넷에서 가장 빈번히 쓰였다.

2. 역사

2.1. 기원

어원은 'Break\'. 문희준의 2002년 노래 〈I〉의 가사 중 일부다. 원문은 '왜 날 break'. #, #

당시 가장 안티가 많던 디시인사이드에서 break을 '브레이끼', '부레끼' 등등으로 부르다가 누군가 올린 [1]이란 한 글자에 상황 정리. 이후 이라는 표현이 생기고, 나중엔 이 더 잘 쓰이는 표현이 되었지만 도 종종 쓰이곤 했다.

2.2. 유행과 쇠퇴

아햏햏, 엽기 코드와 맞물려 한때 희대의 인기를 끌었다. 당시 이미지 중심의 합성이 대세였던 합필갤에서는 이 뷁을 인간 관악기화하여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문희준의 대인배론으로 묻힌 유행어. 그리고 그 당시, 뷁과 같이 유행했던 것으로 문희준의 Scream~~ 발음을 뒤튼 스꾸임도 있었다.

2003년 국립국어원의 신어 자료집에도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내뱉는 소리'라는 뜻으로 올라왔다. 36쪽

문희준의 안티가 많던 시기에 무가당의 멤버 프라임이 안티로 마음 고생하는 문희준을 응원하려고 했는데, '뷁'을 문희준 응원 구호로 잘못 알고서 '뷁 문희준, 뷁 문희준' 하고 외치는 바람에 곤욕을 치렀다. 나중에 프라임이 직접 문희준에게 사과했더니, 괜찮다고 했다고...

파일:/logo/1/200604/26/90/d0002790.jpg

문희준이 서세원쇼에서 처키 흉내를 낸 것을 100원 주화에 합성한 것을 '뷁 원'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참고로 지폐 버전도 있었다.

'문희준 대인배론' 이후 '무뇌충'이라는 단어가 사실상 사장되면서 최근에 사용하는 '뷁'은 바로 앞에서 설명된 것 처럼 '혐오스럽고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끔찍한 것에 대한 욕' 정도로 사용하며 무한도전에서 빈번히 사용했다. 사실상 문희준 대인배론 이후에도 살아남은 거의 유일한 문희준 관련 단어. 문희준이 무뇌충으로 까이기 시작한 시기 만들어진 용어들이 다 그렇듯 태생은 문희준 안티 용어였으나 문희준 대인배론을 거치며 그런 색채는 많이 희석되었다.

그러다가 2010년대로 접어들면서 뷁 역시 유행이 지나고 점점 안 쓰게 되다가 사어화되어 현재는 하술할 '뷁어'라는 말에서만 그 흔적이 남아있다.

3. 모양

이 '뷁'이 유행하게 된 데에는 오밀조밀하게 보이는 기묘한 자형도 큰 영향을 끼쳤을 듯하다. 잘 안 쓰는 글자이기도 하고. 실제로 전산상으로도 확장 한글 영역(CP949)에 들어있어 기본 한글 2,350자(KS X 1001)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에서는 표시가 안 되기도 했다.

위키 기본 폰트 크기와 볼드체를 적용한 뷁()을 IE이나 크롬에서 120% 미만으로 확대/축소하면 ''으로 보이기도 한다.

비슷한 한 글자 욕설로 '섊'도 있는데 시발놈아의 변형인 '시발라마'에서 온 표현이다. 의 모양이 비슷함을 이용한 것.

파일:뷁1.jpg파일:뷁2.png

초코파이 을 뒤집으면 이 된다는 개그도 있다. 사실 아홉 수준으로까지 비슷하지는 않다. 굳이 비교하자면 '붜' 또는 '붸'에 가까운 편.

3.1. 획수가 많은 글자

'뷁'이라는 글자가 유행한 것은 빽빽해보이는 기묘한 글자 모양 탓도 있을 것이다. 글자 획수도 13획으로 꽤 많은 편.

가장 획수가 많은 한글은 , , , (총 20획)이다. 두 번째는 , , , , , (총 19획), 세 번째는 , (총 18획)이다. 은 총 17획으로 한국어의 글자 중 네 번째로 획수가 많다. 현대 한글의 초성 중에서는 이 제일 획수가 많으므로, 이들 글자에는 모두 초성으로 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한자 중에서 1급~특급에 속하는 글자 중 획이 제일 많은 것이 '(거칠 추)'으로 33획인 걸 감안하면 복잡한 한자 정도로 획수가 많은 편이다.

옛한글까지 들어가면 ꥪᆒퟤ, ꥪᆅퟤ이 29획으로 제일 많다.

글자 모양이 희한해서 눈길을 끈 또다른 예로는 ꥸᅦퟗ이 있다.

3.2. 뷁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자 깨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발음

4.1. '뷁'이 된 음성적 이유

새삼 'break'는 어두자음군이니까 'ㅂ뤡' 식으로 모음 앞에 ㄹ이 와야할 테지만 겹받침으로 적게 된 것도 재미난 현상인 듯.

모음이 'ㅞ'로 'ㅜ'가 들어간 것은 'break'에서 [ɹ] 발음이 원순화하여 [bɹʷeɪ̯k]로 소리남을 반영한 듯하다. right[ɹʷaɪ̯t]를 '롸잇'이라고 적기도 하는 것과 비슷한 사례.

5. 옛한글 입력

사실 ㅂ계 합용병서가 나타나던 시기에도 ᇣ은 출현하지 않아서 조합형 옛한글로도 초성 ᇣ은 입력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종성 ᇣ은 '라ᇣ'과 같이 입력이 가능하다. ㅂ계 초성은 유니코드 1.0에서 ᄞᄟᄠᄡᄧᄨᄩᄪ / ᄢᄣᄤᄥᄦ가 입력 가능하고, 유니코드 5.2에서 ꥲꥳꥴ가 추가되었지만 ᇣ은 여전히 없다. ᇣ은 종성이기 때문에 초성으로 입력이 되지 않는다. ᄞᄟ도 있는 마당에 ᇣ이 없는 건 \
음을 적은 문헌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운이 없었다고 할 수밖에. 하다못해 이 뷁 드립이 인터넷 시대 이전에 문헌 자료로 나타나기라도 했다면 실릴 수 있었을 것이다.

비슷한 초성 ᅞ은 115E로 유니코드 5.2부터 실려있기 때문에 초성으로 적을 수 있다. 이는 'drink'를 실제로 'ᅞᅵᇯ'으로 적은 사례가 발견됐고 이를 유니코드 신청 시에 제시했기 때문이다.옛한글 자모 유니코드 신청서 사실 옛한글로 입력이 가능했더라도 유행어의 특성상 입력기를 따로 깔아야 하고 여러 환경에서 깨지는 옛한글을 굳이 쓰지는 않았을 것이다.

6. 기타

  • 뷁을 잘못 입력하면 부렉이나 ㅂ뤡으로 입력된다. 오히려 이쪽이 더 break 같다
  • 특이하게 메이플스토리에서는 필터링 대상 단어이다. 오픈 당시 필터링 담당자가 문희준의 팬이었다는 카더라가 일부 유저들에게서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정작 프렌즈스토리챕터 6에 뷁이 나온 적이 있다. 챕터 주제가 락이니만큼 이상하진 않다.

7. 영화 뷁

링크
더럽고 추잡한 부농이란 인물이 누군가를 만나고 헤어지는 이야기.... 부농이는 사랑하는 여자와 만나고 헤어지고, 존경하던 교수님이 학교를 떠나면서 헤어지게 된다. 그러면서 부농이는 사람 관계 속에서 자신을 찾고자 한다.
연출의도. 누구나 영화를 만들 때 특이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만을 찾으려 하는것 같았다. 나는 그런 특수한 상황에 단 한번도 놓여져 있지 않으면서 그런 이야기를 하는 이들이 왠지 거북하고 거짓말 같았다. 그래서 나는 내가 가장 잘아는 이야기, 즉 나의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 했었다. 그것이 가장 진실되고 재미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천병은의 2006년작 단편 영화. 영어 제목은 Break. 해당 영화가 특이한 제목 때문에 유머로 돌아다니며 평점이 9.73까지 올라갔다. 천병은은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등 각종 영화의 조명 지원을 맡게 된다.


[1] 문희준의 안티가 제작한 플래시에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