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육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보디빌딩의 분류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 <colbgcolor=#eee,#333>어깨 | 어깨세모근 · 돌림근띠 | <colbgcolor=#eee,#333>등 | 넓은등근 · 등세모근 · 척주세움근 · 뭇갈래근 | ||||
가슴 | 큰가슴근 | 허리 | 앞톱니근 · 척주세움근 | |||||
팔 | 위팔두갈래근 · 위팔세갈래근 · 아래팔근 | 다리 | 큰볼기근 · 골반바닥근 | |||||
배 | 배곧은근 · 배바깥빗근 · 배속빗근 · 배가로근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얼굴 및 목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 머리덮개근육 | 뒤통수이마근 · 관자마루근 | ||||||
귀 | 앞귓바퀴근 · 위귓바퀴근 · 뒤귓바퀴근A · 고막긴장근 · 등자근 A : 세 귓바퀴근들은 귀를 들고 올리나 사람에서는 보통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음 | |||||||
얼굴 표정 | 눈 | 눈둘레근 · 눈썹주름근 | ||||||
코 | 코근 · 눈살근 · 코중격내림근 | |||||||
입 | 입근육의 아래머리 | 입꼬리내림근 · 아래입술내림근 · 턱끝근 | ||||||
입근육의 위머리 | 입꼬리당김근 · 큰광대근 · 작은광대근 · 위입술올림근 · 위입술콧방울올림근 · 입꼬리올림근 | |||||||
입무리 | 입둘레근 · 볼근 | |||||||
씹기근육 | 관자근 · 깨물근 · 안쪽날개근 · 가쪽날개근 | |||||||
눈의 근육 | 위눈꺼풀올림근 · 위곧은근 · 아래곧은근 · 안쪽곧은근 · 위빗근 · 아래빗근 | |||||||
입 안 | 혀 | 턱끝혀근 · 목뿔혀근 · 붓혀근 | ||||||
입천장 | 입천장올림근 · 입천장긴장근 · 입천장인두근 · 목젖근 · 입천장혀근 | |||||||
후두 | 반지방패근 · 뒤반지모뿔근 · 가쪽반지모뿔근 · 가로모뿔근 · 빗모뿔근 · 방패목뿔근 · 성대근 · 방패덮개근 | |||||||
인두 | 아래인두수축근 · 중간인두수축근 · 붓인두근 · 귀인두관인두근 | |||||||
목 | 넓은목근 · 목빗근 (복장갈래 · 빗장갈래) | |||||||
목뿔 위 | 두힘살근 · 붓목뿔근 · 턱목뿔근 · 턱끝목뿔근 | |||||||
목뿔 아래 | 복장목뿔근 · 복장방패근 · 방패목뿔근 · 어깨목뿔근 | |||||||
척주 앞 | 긴목근 · 긴머리근 · 앞머리곧은근 · 가쪽머리곧은근 | |||||||
척주 뒤 | 앞목갈비근 · 중간목갈비근 · 뒤목갈비근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팔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 앞팔이음근육 | 큰가슴근 · 작은가슴근 · 빗장밑근 · 앞톱니근 | ||||||
뒤팔이음근육 | 바깥기원어깨근육 | 얕은층 : 등세모근 · 넓은등근 | ||||||
깊은층 : 어깨올림근 · 마름근 (큰마름근 · 작은마름근) | ||||||||
자체기원어깨근육 | 어깨세모근 · 큰원근 · 돌림근띠 근육 (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 작은원근 · 어깨밑근) | |||||||
위팔 | 앞칸 | 위팔두갈래근 · 위팔근 · 부리위팔근 | ||||||
뒤칸 | 위팔세갈래근 · 팔꿈치근A A : 아래팔 뒤칸 근육으로 보기도 하며, 위팔세갈래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함 | |||||||
아래팔 | 앞칸 | 얕은층 : 원엎침근 · 노쪽손목굽힘근 · 긴손바닥근 · 자쪽손목굽힘근 · 얕은손가락굽힘근 | ||||||
깊은층 : 깊은손가락굽힘근 · 긴엄지굽힘근 · 네모엎침근 | ||||||||
뒤칸 | 얕은층 : 위팔노근 · 긴노쪽손목폄근 · 짧은노쪽손목폄근 · 손가락폄근 · 새끼폄근 · 자쪽손목폄근 | |||||||
깊은층 : 손뒤침근 · 긴엄지벌림근 · 긴엄지폄근 · 짧은엄지폄근 · 집게폄근 | ||||||||
손 | 엄지두덩근육 | 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 엄지모음근 | ||||||
새끼두덩근육 | 새끼벌림근 · 짧은새끼굽힘근 · 새끼맞섬근 | |||||||
짧은 근육 | 벌레근 · 등쪽뼈사이근 · 바닥쪽뼈사이근 · 짧은손바닥근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다리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20px" | 볼기 | 큰볼기근 · 중간볼기근 · 작은볼기근 | ||||||
가쪽돌림근 | 궁둥구멍근 · 속폐쇄근 · 위쌍동근 · 아래쌍동근 · 넙다리네모근 · 바깥폐쇄근A A : 기능적으로는 볼기 부위의 가쪽돌림근들과 유사하지만 위치상으로는 넓적다리 근육에 가까움 | |||||||
넓적다리 | 앞칸 | 엉덩허리근 (엉덩근 · 큰허리근) · 작은허리근 · 넙다리근막긴장근 · 넙다리빗근 ·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곧은근 · 가쪽넓은근 · 중간넓은근 · 안쪽넓은근) · 무릎관절근 | ||||||
안쪽칸 | 긴모음근 · 짧은모음근 · 큰모음근 · 두덩정강근 · 두덩근 | |||||||
뒤칸 | 반힘줄근 · 반막근 · 넙다리두갈래근 (햄스트링) | |||||||
관련 구조물 | 넙다리삼각 · 넙다리혈관집 · 넙다리관 · 모음근굴 · 거위발 | |||||||
종아리 | 앞칸 | 앞정강근 · 긴발가락폄근 · 긴엄지폄근 · 셋째종아리근 | ||||||
가쪽칸 | 긴종아리근 · 짧은종아리근 | |||||||
뒤칸 | 얕은층 : 장딴지세갈래근 (장딴지근 · 가자미근) (아킬레스건B) · 장딴지빗근 B :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이 모여서 이루는 발꿈치힘줄이므로 작성 | |||||||
깊은층 : 오금근 · 긴엄지굽힘근 · 긴발가락굽힘근 · 뒤정강근 | ||||||||
발 | 발등 | 짧은발가락폄근 · 짧은엄지폄근C C : 짧은발가락폄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하나 여기서는 서로 다른 근육으로 작성 | ||||||
발바닥 | 1층 : 엄지벌림근 · 짧은발가락굽힘근 · 새끼벌림근 | |||||||
2층 : 벌레근 · 발바닥네모근 | ||||||||
3층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모음근 · 짧은새끼굽힘근 | ||||||||
4층 : 바닥쪽뼈사이근 · 등쪽뼈사이근 | ||||||||
}}}}}}}}} }}} |
title=틀:얼굴과 목의 근육, version=17, uuid=99c736e8-18c3-4b14-9e4f-5389dd29525c,
title2=틀:팔의 근육, version2=7, uuid2=a289455d-3589-4635-809c-7c5e35475e9d,
title3=틀:하반신의 근육, version3=15, uuid3=72291e44-c1e6-4299-825d-d35ac4d12ff4)]
adductor canal (모음근굴, 내전근관) | |
모음근굴의 실제 해부 사진 | 넓적다리 절반 높이 정도에서 절단한 단면의 모습. 동그라미 친 부분이 모음근굴이다. |
[clearfix]
1. 개요
모음근굴(adductor canal)은 넙다리동맥, 넙다리정맥 등의 혈관을 넓적다리 밑부분에서 감싸는 근막으로 이루어진 굴(혹은 터널) 모양의 구조물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내전근관(內轉筋管)[1].2. 구조
모음근굴은 넙다리삼각의 꼭대기, 즉 넙다리빗근이 긴모음근 안쪽 모서리[2]를 가로지르는 지점에서부터 시작된다. 이후 이 모음근굴은 모음근구멍(adductor hiatus)[3]까지 이어지는데, 이 길이는 대략 넓적다리 길이의 절반 정도 되는 15cm이다.이 모음근굴의 경계를 이루는 구조물들은 다음과 같다:
- 앞쪽과 가쪽: 안쪽넓은근 (vastus medialis muscle)
- 뒤쪽: 큰모음근 (adductor magnus muscle), 긴모음근 (adductor longus muscle)
- 안쪽: 넙다리빗근 (sartorius muscle)
한편, 이 모음근굴을 싸고 있는 근막은 안쪽넓은근에서 유래하였다. 이 근막의 겉으로 지나가는 구조물은 넙다리빗근이다.
2.1. 지나가는 구조물
지나가는 구조물들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 넙다리빗근이 모음근굴을 덮고 있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다. |
안을 지나가는 중요한 구조물들은 다음과 같다:
- 겉넙다리동맥/정맥 (superficial femoral artery/vein)
- 넙다리신경의 가지들 (branches of femoral nerve)
- 두렁신경 (saphenous nerve) - 넙다리신경의 피부가지들 중에서 가장 그 크기가 크다. 주행경로는 넙다리혈관집 가쪽 방면에서 모음근굴로 들어간 후, 넙다리혈관들과는 다르게 모음근구멍으로 나오지 않고 넙다리근막을 뚫고 얕은근막(superficial fascia)에 도달한다. 그 후에는 큰두렁정맥(great saphenous vein)의 주행 경로를 따라 간다.
- 안쪽넓은근신경 (vastus medialis nerve) - 넓적다리 앞쪽칸에서 계속 주행한다.
- 넙다리동맥/정맥 (femoral artery/vein) - 이 두 혈관은 본래 넓적다리 앞쪽칸을 주행하다가 모음근굴을 지나면서 점차 뒤쪽칸으로 주행하며, 그 후 둘 다 앞서 언급된 모음근구멍을 통해 모음근굴을 빠져나간다.
3. 중요성
모음근굴은 안을 지나가는 두렁신경의 막힘(saphenous nerve block)에 관여하는 구조물이기도 하다. 이 글은 두렁신경과 모음근굴에 대해 잘 설명한 글이니 참고하기 좋다. 이런 두렁신경이 막힌 것을 관찰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4. 이름에 관하여
모음근굴을 지칭하는 이름은 다양하다. Adductor canal의 경우 상술했듯 넓적다리를 모으는 역할을 하는 근육들인 모음근들이 이 구조물의 뒤쪽 경계를 이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이 구조물을 최초로 발견한 스코틀랜드 출신의 유명한 의사인 존 헌터(John Hunter, 1728~1793)의 이름을 따 모음근굴을 Hunter's cana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앞서 잠깐 언급했듯 굴을 겉에서 덮는 것이 넙다리빗근(sartorius m.)이므로 subsartorial canal[4]이라고도 부른다.[1] 안 내, 구를 전, 힘줄 근, 대롱 관.[2] 단, 넙다리삼각의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안쪽 모서리라고 간주했을 때.[3] 긴모음근의 힘줄에 존재하는 구멍들로, 넙다리의 혈관들이 이 구멍을 통해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4] 접두사 'sub-'은 '-밑의'라는 의미므로, subsartorial canal은 sartorius 밑의 굴이라는 뜻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