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의 근육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1%;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머리 및 목 ] {{{#!wiki style="letter-spacing: -0.05em; margin: -5px 0" | <colbgcolor=#f5f5f5,#2d2f34>머리덮개근육 | 뒤통수이마근 · 관자마루근 | |||
| 귀 | 앞귓바퀴근 · 위귓바퀴근 · 뒤귓바퀴근A · 고막긴장근 · 등자근 A: 세 귓바퀴근들은 귀를 들고 올리나 사람에서는 보통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음 | ||||
| 얼굴 | 눈가 | 눈둘레근 · 눈썹주름근 | |||
| 코 | 코근 · 눈살근 · 코중격내림근 | ||||
| 입 | 입근육의 아래머리 | 입꼬리내림근 · 아래입술내림근 · 턱끝근 | |||
| 입근육의 위머리 | 입꼬리당김근 · 큰광대근 · 작은광대근 · 위입술올림근 · 위입술콧방울올림근 · 입꼬리올림근 | ||||
| 입무리 | 입둘레근 · 볼근 | ||||
| 씹기근 | 관자근 · 깨물근 · 안쪽날개근 · 가쪽날개근 | ||||
| 눈 | 위눈꺼풀올림근 · 위곧은근 · 아래곧은근 · 안쪽곧은근 · 위빗근 · 아래빗근 | ||||
| 입 안 | 혀 | 턱끝혀근 · 목뿔혀근 · 붓혀근 | |||
| 입천장 | 입천장올림근 · 입천장긴장근 · 입천장인두근 · 목젖근 · 입천장혀근 | ||||
| 후두 | 반지방패근 · 뒤반지모뿔근 · 가쪽반지모뿔근 · 가로모뿔근 · 빗모뿔근 · 방패목뿔근 · 성대근 · 방패덮개근 | ||||
| 인두 | 아래인두수축근 · 중간인두수축근 · 붓인두근 · 귀인두관인두근 | ||||
| 목 | 넓은목근 · 목빗근 (복장갈래 · 빗장갈래) | ||||
| 목뿔 위 | 두힘살근 · 붓목뿔근 · 턱목뿔근 · 턱끝목뿔근 | ||||
| 목뿔 아래 | 복장목뿔근 · 복장방패근 · 방패목뿔근 · 어깨목뿔근 | ||||
| 척주 앞 | 긴목근 · 긴머리근 · 앞머리곧은근 · 가쪽머리곧은근 | ||||
| 척주 뒤 | 앞목갈비근 · 중간목갈비근 · 뒤목갈비근 | ||||
}}}
}}}
- [ 몸통 ]
- [ 팔 ]
- ||<width=12%><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f5f5f5,#2d2f34>앞팔이음근육
큰가슴근 · 작은가슴근 · 빗장밑근 · 앞톱니근 뒤팔이음근육 바깥기원어깨근육 얕은층: 등세모근 · 넓은등근 깊은층: 어깨올림근 · 마름근 (큰마름근 · 작은마름근) 자체기원어깨근육 어깨세모근 · 큰원근 · 돌림근띠 근육 (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 작은원근 · 어깨밑근) 위팔 앞칸 위팔두갈래근 · 위팔근 · 부리위팔근 뒤칸 위팔세갈래근 · 팔꿈치근A
A: 아래팔 뒤칸 근육으로 보기도 하며, 위팔세갈래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함아래팔 앞칸 얕은층: 원엎침근 · 노쪽손목굽힘근 · 긴손바닥근 · 자쪽손목굽힘근 ·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층: 깊은손가락굽힘근 · 긴엄지굽힘근 · 네모엎침근 뒤칸 얕은층: 위팔노근 · 긴노쪽손목폄근 · 짧은노쪽손목폄근 · 손가락폄근 · 새끼폄근 · 자쪽손목폄근 깊은층: 손뒤침근 · 긴엄지벌림근 · 긴엄지폄근 · 짧은엄지폄근 · 집게폄근 손 엄지두덩근육 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 엄지모음근 새끼두덩근육 새끼벌림근 · 짧은새끼굽힘근 · 새끼맞섬근 짧은 근육 벌레근 · 등쪽뼈사이근 · 바닥쪽뼈사이근 · 짧은손바닥근
- [ 다리 ]
- ||<width=12%><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f5f5f5,#2d2f34><|2>볼기
큰볼기근 · 중간볼기근 · 작은볼기근 가쪽돌림근 궁둥구멍근 · 속폐쇄근 · 위쌍동근 · 아래쌍동근 · 넙다리네모근 · 바깥폐쇄근A
A: 기능적으로는 볼기 부위의 가쪽돌림근들과 유사하지만 위치상으로는 넓적다리 근육에 가까움넓적다리 앞칸 엉덩허리근 (엉덩근 · 큰허리근) · 작은허리근 · 넙다리근막긴장근 · 넙다리빗근 ·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곧은근 · 가쪽넓은근 · 중간넓은근 · 안쪽넓은근) · 무릎관절근 안쪽칸 긴모음근 · 짧은모음근 · 큰모음근 · 두덩정강근 · 두덩근 뒤칸 햄스트링 (반힘줄근 · 반막근 · 넙다리두갈래근) 관련 구조물 넙다리삼각 · 넙다리혈관집 · 넙다리관 · 모음근굴 · 거위발 종아리 앞칸 앞정강근 · 긴발가락폄근 · 긴엄지폄근 · 셋째종아리근 가쪽칸 긴종아리근 · 짧은종아리근 뒤칸 얕은층: 장딴지세갈래근 (장딴지근 · 가자미근) (아킬레스건B) · 장딴지빗근
B: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이 모여서 이루는 발꿈치힘줄이므로 작성깊은층: 오금근 · 긴엄지굽힘근 · 긴발가락굽힘근 · 뒤정강근 발 발등 짧은발가락폄근 · 짧은엄지폄근C
C: 짧은발가락폄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하나 여기서는 서로 다른 근육으로 작성발바닥 1층: 엄지벌림근 · 짧은발가락굽힘근 · 새끼벌림근 2층: 벌레근 · 발바닥네모근 3층: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모음근 · 짧은새끼굽힘근 4층: 바닥쪽뼈사이근 · 등쪽뼈사이근
| Quadriceps femoris m. 넙다리네갈래근 | |
| |
1. 개요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quadriceps femoris muscle)은 넓적다리 앞칸(anterior compartment of thigh)에 분포하는 네 개의 근육들(rectus femoris, vastus lateralis, vastus intermedius, vastus medialis)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2. 공통점
묶여서 불리는 만큼 이 네 근육들에는 공통점이 다수 존재한다. 우선 넓적다리 앞칸에 존재하는 모든 근육들은 넙다리동맥(femoral artery)에게서 혈액을 공급받고, 넙다리신경(femoral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이 네 개의 근육들 역시 마찬가지이다.또한 이들은 모두 무릎인대(patellar ligament/tendon)에서 모이고 정강뼈거친면(tibial tuberosity)에 닿아서 무릎관절을 펴는 역할을 한다. 다만, 이 네 근육 중 오직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muscle)만이 골반에서 일고, 나머지 세 근육들은 넙다리뼈에서 일어나므로 엉덩관절을 굽히는 작용을 할 수 있는 건 오직 넙다리곧은근뿐이다.
3. 임상적 중요성
넙다리네갈래근이 닿아서 형성하는 무릎인대는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그 중 하나가 무릎반사(knee jerk)이다. 이는 해당 문서 참조.무릎뼈는 넙다리네갈래근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며, 때문에 무릎뼈 파손 시 넙다리네갈래근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한다.
4. 각각의 근육들
4.1. 넙다리곧은근
| Rectus femoris m. 넙다리곧은근 | |
| | |
| 이는 곳 (origin) | 아래앞엉덩뼈가시(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AIIS)[2] 절구의 위쪽 모서리(superior to acetabulum)[3] |
| 닿는 곳 (insertion) | 무릎인대 (patellar tendon) |
| 동맥 (artery) |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 내림가지 (lateral circumflex femoral artery descending branch) |
| 신경 (nerve) | 넙다리신경 (femoral nerve) |
| 기능 (action) | 엉덩관절 굽힘근, 무릎관절 폄근 (hip joint flexor, knee extensor)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넙다리곧은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넙다리곧은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가쪽넓은근
| Vastus lateralis m. 가쪽넓은근 | |
| | |
| 이는 곳 (origin) | 넙다리뼈 위쪽에 넓게 (broadly in proximal femur) |
| 닿는 곳 (insertion) | 무릎인대 (patellar tendon) |
| 동맥 (artery) |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 (lateral circumflex fenoral artery) |
| 신경 (nerve) | 넙다리신경 (femoral nerve) |
| 기능 (action) | 무릎관절 폄근 (knee extensor)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쪽넓은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쪽넓은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중간넓은근
| Vastus intermedius m. 중간넓은근 | |
| | |
| 이는 곳 (origin) | 넙다리뼈 앞가쪽 (anterolateral side of femur) |
| 닿는 곳 (insertion) | 무릎인대 (patellar tendon) |
| 동맥 (artery) | 넙다리동맥 (femoral artery) |
| 신경 (nerve) | 넙다리신경 (femoral nerve) |
| 기능 (action) | 무릎관절 폄근 (knee extensor)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간넓은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간넓은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 안쪽넓은근
| Vastus medialis m. 안쪽넓은근 | |
| | |
| 이는 곳 (origin) | 넙다리뼈 안쪽 (medial side of femur) |
| 닿는 곳 (insertion) | 무릎인대 (patellar tendon) |
| 동맥 (artery) | 넙다리동맥 (femoral artery) |
| 신경 (nerve) | 넙다리신경 (femoral nerve) |
| 기능 (action) | 무릎관절 폄근 (knee extensor)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쪽넓은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쪽넓은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5. 관련 근육
무릎관절근을 넙다리네갈래근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보기도 한다. 또한, 중간넓은근긴장근(tensor vastus intermedius)는 최근에 밝혀진 근육으로, 넙다리네갈래근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보기도 한다.4.5.1. 중간넓은근긴장근
| Tensor vastus intermedius m. 중간넓은근 긴장근 | |
| 이는 곳 (origin) | 넙다리뼈 (femur) |
| 닿는 곳 (insertion) | 무릎뼈 (patellar) |
| 동맥 (artery) |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 (lateral femoral circumflex artery) |
| 신경 (nerve) | 넙다리신경 (femoral ner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