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2022 포뮬러 1 팀 차량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a19c,#5efffa | |||||
F1 W13 E 퍼포먼스 | RB18 | F1-75 | MCL36 | A522 | |
AT03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 font-size: 1.1em" | AMR22 | FW44 | C42 | VF-22 |
Mercedes - AufrechtMelcherGroßaspach Formula1 Wagen13 E Performance
1. 개요
| |
리버리 공개용 이미지 | 바르셀로나 테스트 당시 차량 |
메르세데스-AMG F1 W13 E 퍼포먼스는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의 2022년 시즌 참가 차량이다.
이번 시즌부터 다시 은색 리버리를 사용한다.
바레인에서 열린 테스트 기간때는 최상단에서 보이는 사이드포드의 면적을 극단적으로 최소화한 설계를 적용하여 F1 필드를 놀라게 하였다.
지난 8번의 시즌 동안 보여준 강렬한 퍼포먼스와 달리 이번 시즌 W13은 레드불과 페라리에게 뒤쳐지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메르세데스의 끈질긴 규정 변경 요구가 받아들여져 플로어 규정이 바뀐 후 헝가리에서 러셀이 폴 포지션을 차지하는 등 성능이 눈에 띄게 나아졌으며 시즌 후반으로 갈수록 2강 구도에 혼란을 넣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즌 후반전인 멕시코 그랑프리까지 단 한 번의 우승도 달성하지 못했다. 페라리 측이 불안정한 내구성과 부족한 전략으로 고전하거나, 레드불의 페레즈가 제대로 페이스를 못 내는 등의 호재로 포디움에 오른 적도 있지만 레드불의 RB18을 탄 막스의 페이스는 여전히 좋았기에 결국 최고 성적 2위를 내는 것에 그쳤다. 네덜란드 그랑프리에서는 미디엄-하드를 쓰는 원스탑 전략이 먹히는가 했지만, 츠노다 유키의 문제로 VSC가 발동되어 전략이 꼬였고, 미국 그랑프리에서도 베르스타펜의 피트스탑이 꼬였지만 결국 5초를 조금 넘는 격차로 2위에 그쳤다.
이러한 부진의 원인 중 하나로 사이드팟 면적을 극단적으로 줄인 '제로 사이드팟' 설계가 꼽히는데, 이러한 설계가 고속에서 상당한 드래그를 만들어 성능을 깎아먹고 시즌 초 상위 3팀 중 가장 극심한 포퍼싱[1]을 일으킨 원인으로 지목되기까지 했다.[2] 때문에 메르세데스 측은 챔피언 경쟁에서 약세를 보인 제로 사이드팟 설계를 내년 차량에는 세로 방향이 아닌 가로 방향으로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W13은 꾸준한 업데이트와 업그레이드로 하이 다운포스 세팅이 중요한 서킷이나 고고도 서킷에서 빛을 보고 있다. 헝가리나 네덜란드에서는 우승하지 못했으나 포디움에 드는 준수한 성과를 올렸고, 멕시코에서는 원스탑 전략을 세운 막스 베르스타펜을 쫓아갈 수는 없었으나 해밀턴이 페레즈에 앞서 2위로 완주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브라질에서는 러셀이 차량의 누수 문제를 딛고 시즌 처음이자 마지막 우승을 달성했다.
그래도 준수한 내구도만큼은 고평가받고 있다. 기계적 결함으로 리타이어한 것은 아부다비 그랑프리에서 해밀턴의 유압 문제가 유일하며, 나머지 리타이어는 러셀의 영국 그랑프리[3]와 해밀턴의 벨기에 그랑프리에서의 충돌로 리타이어한 것 뿐이다.
싱가포르 그랑프리에선 해밀턴이 브레이크가 잠기며 프론트 윙을 벽에 들이받았지만 윙이 부러지지도 않은 상태로 트랙에 복귀하여 밈이 되기도 했다.[4]
2. 기타
- 해밀턴과 러셀의 차량에 붙은 번호 색이 각각 다르다. 해밀턴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본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국기 색인 노란색을 선택하였고[5], 러셀은 진한 남색을 선택하였다.
- 마이애미 GP를 앞두고 특별 도장을 적용한 차량이 공개되었다.
- 또한 성 소수자 인권의 달을 축하하는 의미로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부터 영국 그랑프리까지 3경기 동안 무지개 색 벤츠 로고를 사용하였다.
- 캐나다 GP에서는 메르세데스-AMG의 풍동실험장이 있는 브랙클리에서 기술자이자 팀 리더로 20년 넘게 근무한 폴 심즈(Paul Sims)의 사망을 추모하기 위해 차량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
| |
메르세데스-AMG 55주년 기념 리버리 |
| |
- 벨기에 GP에서는 메르세데스-AMG의 55주년을 기념하여 AMG의 상징적인 붉은 돼지, 300 SEL 6.8 AMG에서 착안한 특유의 붉은 외관 컬러와 특별 로고, 리버리를 발표하였다. 단, 본 경기에서는 데칼의 무게 문제 때문에 붉은 컬러는 적용하지 않고 번호나 AMG 55주년 기념 로고, 스폰서 로고 등만 바꿔 부착하여 참가할 것이라고 한다.
파일:31DB7A54-0628-4DAC-8194-5B3013A7589C.jpg
- 이탈리아 GP를 앞두고 엘리자베스 2세의 타계를 기리며 추모하기 위해 롤 후프에 검은 띠를 부착하였다.
- 멕시코 GP FP1에서 메르세데스는 26세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한 전 메르세데스 AMG HPP의 기계 엔지니어였던 안소니 레인(Anthony Lane)을 기리는 헌사 문구를 부착하였다.
- 2025년 10월 12일 해당 차량이 한국에서 쇼런을 진행하였다. 드라이버는 발테리 보타스.
3. 제원
Mercedes-AMG F1 W13 E Performance | |
차급 | 포뮬러 1 |
컨스트럭터 |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
이전 모델 | 메르세데스-AMG F1 W12 E 퍼포먼스 |
후속 모델 | 메르세데스-AMG F1 W14 E 퍼포먼스 |
기술 제원 | |
엔진 | 메르세데스-AMG F1 M13 E 퍼포먼스 (AMG HPP M13) 1.6L V6 터보차저 |
전기 모터 | MGU-K & MGU-H |
배터리 | 메르세데스-AMG 리튬 이온 배터리 |
연료 | 페트로나스 프라이맥스 |
윤활유 | 페트로나스 신티움 & 투텔라 |
타이어 | 피렐리 P 제로(슬릭), 신투라토(트레드) |
휠 | BBS |
클러치 | ZF 카본 파이버 강화 플레이트 |
경기 기록 | |
<colbgcolor=#000><colcolor=#fff> 운용 팀 |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
드라이버 | 44. 63. |
데뷔 | 2022 바레인 GP |
경기 수 | 21회 |
우승 | 1회 |
포디움 | 17회 |
우승 | 1회 |
퀄리파잉 패스티스트 | 1회 |
폴 포지션 | 1회 |
패스티스트 랩 | 6회 |
컨스트럭터 순위 | 3위 |
드라이버 종합 우승 | 0회 |
4. 성적
번호 | 드라이버 | 점수 | 총점 |
<colbgcolor=#c5c5c5><colcolor=#000> 63 | 265 | 505 | |
44 | 240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191919><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919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현역 차량 | 퇴역 차량 |
<colbgcolor=#ffffff,#191919> 속도 기록 차량 | - | T80 | W125 레코드바겐 | |
F1 | W16 | W196 | W01 | W02 | W03 | W04 | W05 | W06 | W07 | W08 | W09 | W10 | W11 | W12 | W13 | W14 | W15 | |
FE | - | 실버 애로우 01 | 실버 애로우 02 | |
GPMR | - | 트롭펜바겐 | SSK | W25 | W125 | W154 | W165 | |
WSC | - | 300 SL | 300 SLR | |
그룹 C | - | C9 | C11 | C291 | C292 | |
GT1/LMGTP | - | CLK GTR | CLR | |
DTM | - | C클래스 DTM | CLK DTM | |
GT3 | AMG GT3 | SLS AMG GT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