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 얼라이언스 소속 항공사들의 마일리지 카드.[1] |
1. 개요
Mileage. 혹은 포인트 카드나 멤버십 카드 등의 명칭으로도 불린다.
본래의 의미는 “마일(miles) 수(數)” 혹은 “마일 단위 주행거리”라는 의미이다. 즉, 일반적으로 이동거리의 총량을 의미하는 단어다. 그래서 항공사 마일리지 및 멤버십 포인트 외에 자동차의 누적(적산) 주행 거리를 마일리지라고 부르는 등, 포괄적인 의미로 쓰이고 있다.
원조는 아메리칸 항공의 AAdvantage. 참고: 마일리지 제도의 시초는 항공사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항공 산업의 규제가 대거 철폐됨에 따라, 더 이상 독점 운항이나 스케줄만 가지고 경쟁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아메리칸 항공이 AAdvantage를 성공적으로 런칭하자, 다른 항공사들도 승객의 탑승거리(마일)에 따라 일종의 포인트를 적립하여 무료 탑승이나 좌석 업그레이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상용고객 우대제도(Frequent Flyer Program)를 앞다투어 도입하게 되었다. 지금은 웬만한 대형 항공사들 중에 이 제도 없는 회사가 드물 정도. 게다가 항공사 마일리지를 일반 소매 업종에서도 사용 및 적립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이렇게 되자 마일리지라는 단어가 일종의 적립금 내지 포인트와 동의어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항공사 외의 수많은 업종에서도, 물품 구매나 서비스 이용에 포인트를 적립하여 나중에 사용하게 하는 제도를 통칭해서 마일리지라고 부른다. 이건 대한민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쓰이는 추세. 심지어는 탄소마일리지 등 공공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2]
종류도 다양해서 현금으로 돌려주는 캐쉬백 서비스, 일정 금액을 할인해 주는 서비스, 포인트별 상품을 주는 등 다양한 형태의 마일리지가 존재한다.
PC방에서도 마일리지 제도가 있다. PC방의 회원으로 이용하면 마일리지가 차곡차곡 쌓이는데 그 마일리지 액수만큼 후불 요금을 할인할 수도 있다. 참고로, 이런 형태의 마일리지는 좀 큰 규모의 슈퍼마켓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단골 손님이 물건을 사면 그 액수의 1%를 마일리지로 적립했다가 나중에 그 마일리지로 결제할 수도 있게 하는 방식이다.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의 기한에는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립해 둔 마일리지가 사라지기도 한다.
2. 항공 마일리지
마일리지 제도가 항공사에서 비롯된만큼, 가장 일반적으로 운영되는 곳이 항공사다. 항공 마일리지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다른 여타 마일리지 제도에 비해 혜택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이다. 굳이 돈으로 환산한다면 1마일당 통상 2센트(15원) 정도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보다 더 큰 점은 누적율이 크다는 점이다. 일반 카드나 여타 포인트는 사용액의 0.5% ~ 1% 정도 적립되나, 항공 마일리지는 사용액의 최고 10%까지 적립된다. 미국을 한 번 다녀오면 국내선 왕복 티켓 정도 받을 수 있는 마일리지가 누적된다. 그리고 항공 마일리지는 이코노미 티켓보다 좌석 승급에, 좌석 승급보다 비즈니스/퍼스트 직접 발권에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상위 등급의 좌석은 1단계만 적용된다. 이코노미에서 비즈니스로의 승급은 가능하지만, 퍼스트 승급은 불가능하다.마일리지로 기내 면세품을 사거나 호텔 예약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마일리지 거래, 교환이 가능한 경우도 있는데 주로 미국 항공사들이 그렇다. 아메리칸 항공 등 몇몇 항공사는 홈페이지에서 마일리지를 팔기도 하며, 아시아나항공은 OK캐쉬백을 통해 구입이 가능하나 1:22로 구입가가 상당히 비싸다.
신용카드 포인트에서 마일리지 전환도 가능하나, 해당 마일리지 제휴 카드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삼성카드는 크리스플라이어나 ANA 마일리지 클럽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스카이패스나 아시아나클럽은 제휴 카드가 있어야 전환이 가능한 건 여전하다.
이외의 방법으로는 신용카드의 선포인트 제도를 통해 마일리지를 구입 후(하나카드의 크로스마일이 대표적) 선결제를 통해 사는 방법도 있다. 마지막으로는 신용카드 바우처를 통해 얻는 방법도 있는데 삼성카드 '더 오(THE O)'의 경우 연회비 60만원을 내면 아시아나클럽 4만 마일리지를 바우처로 제공하기도 하고 경남은행, 부산은행 REX카드 역시 바우처로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제공한다[3]. 우리카드의 로얄블루 PLUS 카드의 경우에도 연간 사용 실적에 따라 아시아나클럽 마일리지를 제공한다.
델타 항공의 스카이마일스는 유효 기간이 없다. 다만, 가치가 좀 많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국적사들은 2008년 부터 유효 기간제를 실시했다. 아메리칸 항공 등은 마일리지 사용 혹은 적립 시 유효 기간을 연장해 주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OK캐쉬백이 이 방식을 쓴다.
신용카드 중 항공사 마일리지 적립을 해주는 상품들이 늘어나면서 항공사들이 마일리지를 고객 서비스 차원을 넘어서 자금조달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4]
대한민국의 경우 신용카드 무이자할부를 통한 항공 마일리지는 적립되지 않는다. 2012년에 모조리 중지되었으며, 현재는 신한카드의 더 클래식 카드(플러스 말고 구형, 2015년 8월 18일 단종)만 가능하다.
2.1. 문서가 있는 항공 마일리지
이외 항공사의 특기할 만한 FFP는 각 항공사 항목에 기술되어 있다.
3. 한국의 마일리지 목록
마일리지명 | 운영회사 | 주요 가맹점 | 유효기간 | 비고 |
GS&포인트 | GS칼텍스 | GS25, GS칼텍스 등 | 5년 | |
L.포인트 | 롯데멤버스 | 롯데백화점, 세븐일레븐, 롯데리아 등 | 5년 | |
OK캐쉬백 | SK플래닛 | KFC, SK에너지, 도미노피자 등 | 5년 | 마지막 적립, 사용일로부터 5년이며, 포인트를 적립, 사용하면 기존에 적립된 포인트의 유효기간도 마지막 적립, 사용일로부터 5년으로 연장된다. |
신세계포인트 | 이마트 |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이마트24 등 | 2년[6] | |
CJ ONE | CJ올리브네트웍스 | CGV, 뚜레쥬르, 올리브영 등 | 2년 | |
H.Point | 현대백화점그룹 | 현대백화점, 현대홈쇼핑, 현대H몰 등 | 2년 | |
해피포인트 | SPC CLOUD | BR, 던킨도너츠, 파리바게뜨 등 | 3년 | |
뷰티포인트 | 아모레퍼시픽 | 아리따움, 이니스프리 등 | 1년 | 마지막 적립일로부터 1년 (구매성 포인트 한정) |
메가박스 멤버십 | 메가박스 | 2년 | ||
마이홈플러스 | 홈플러스 |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 2년 | OK캐쉬백 적립 서비스는 2020년 3월 1일부로 종료되었다. |
CU 멤버십 | BGF리테일 | CU | 3년 | |
오포인트 (Oh! Point) | 비씨카드 (지원중단) | 아웃백, 카페드롭탑 | ||
머핀 멤버십카드 | SK에너지 | 5년 | 2021년 7월 26일부터 엔크린 보너스카드가 머핀 멤버십 카드로 변경되었고 주유 시 OK캐쉬백 포인트가 적립되지 않고 머핀 포인트가 적립되도록 변경되었다.[7] 마지막 적립, 사용일로부터 5년이며, 포인트를 적립, 사용하면 기존에 적립된 포인트의 유효기간도 마지막 적립, 사용일로부터 5년으로 연장된다. | |
현대오일뱅크 보너스카드 | 현대오일뱅크 | 5년 | ||
E1 오렌지카드 | E1 | 5년 | ||
S-OIL 보너스카드 | S-OIL | 5년 | ||
KTX 마일리지 | 코레일 | 5년 | SRT와 일반 열차에서는 적립이 불가능하다. | |
다이소 포인트 | 다이소 등 | 2년 | ||
LG전자 멤버십 | LG전자 | LG전자 베스트샵 | 3년 | |
삼성전자 멤버십 | 삼성전자 | 삼성스토어 | 2년 | |
하나투어 마일리지 클럽 | 하나투어 | 하나투어 | 5년 |
4. 그 외
EMV TSP를 발급받아 비접촉 기능을 넣은 마일리지 카드도 있다. 물론 국내에서는 EMV 비접촉 결제 수수로 문제로 해당없는 이야기로 주로 해외의 항공사나 매장에서 찾아볼수 있다. 이것의 큰 장점이라면 Google Pay와 Apple Pay에서도 바코드방식이 아닌 NFC/RFID방식으로 포인트를 적립/사용할수 있다는 점이다.참고로 비엣젯항공의 경우 믿기지 않게도 환불을 절대 하지 않고 2년 유효기간의 적립금만 주고 있기 때문에 웬만하면 항공권을 구매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2년 동안 환불을 해주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이미 비엣젯항공의 서비스 정신은 사라진 상태다. 심지어 이는 항공사에게 귀책사유가 있어도 마찬가지이니 보이콧을 하는 편이 나을 것으로 보인다. #
4.1. 교육
- 연세대학교는 2015년 2학기부터 수강 신청 방식을 기존의 선착순 방식에서 마일리지 투자 방식으로 바꿨다. 모든 학생이 72점을 부여받고, 그 중 원하는 과목에 최대 36점까지 투자하여 다른 모든 조건을 불문하고 무조건 더 많이 투자한 사람이 해당 과목을 선점할 수 있는 방식이다.[8]
5. 여담
포인트 누락 등으로 인한 분쟁이 있다.대부분은 복잡한 결제 과정으로 인해 알바생이 실수를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편의점의 경우, 통신사 포인트 할인, 해당 편의점의 포인트 적립을 동시에 하려는 고객이 있다. 20여 년 전에는 편의점에서 과자 하나 사는데도 두세 가지 이상의 포인트 카드를 들고 다니며 적립과 할인을 동시에 요청하는 고객이 있었는데, 고객이 밀려 있을 경우, 필연적으로 한 가지를 누락하는 경우가 있고, 이걸로 어떻게 모은 포인트인데하면서 클레임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었다.[9]
지금은 포인트 할인 혜택이 과거에 비해 축소된 데다가, 난립하던 각종 포인트 적립 업체가 사라지고 대형 기업으로 통합되었으며, 스마트폰 어플의 등장으로 그냥 바코드로 찍어 주면 되기 때문에, 업무 난도는 줄었다고 볼 수 있지만, 그 대신 스마트폰 알림 문자 정리를 안 하고 왜 바코드 안 찍히냐고 성질 부리는 진상 고객이 등장했다고 한다.
L.포인트, 신세계 포인트, H.포인트처럼 계열사 물건 구매 시 적립이 되는 자체 포인트 제도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카드 결제를 할 때 직원이 **포인트 적립하시겠어요?라고 질문한 후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간혹 신용카드에 포인트 자동적립 기능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무심코 카드를 단말기에 넣었던 직원이 ‘아차 포인트 적립 깜빡했네‘라고 착각하고 결제 취소 후 재결제한 뒤 고객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했다가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하고 당황하여 단말기 버튼을 이리저리 눌러 보다가 결제가 지체되기도 하는데, 그럴 때는 바로 자동적립됐는지 확인해 주세요라고 말해 주자. 직원은 그냥 매뉴얼대로 한 것 뿐인데도, 이렇게 일반적이지 않은 케이스에 걸려 버려서 본의 아니게 일이 꼬이고 서로 오해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10]
한편, 카드사의 잘못으로 포인트 적립이 누락된 사건도 발생한 적이 있다.
기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네이버 현대카드에서 포인트 누락이 발생했다. 환불을 위해 결제 취소 후, 나중에 그만큼의 금액을 다시 결제해도 환불 시 빠졌던 포인트가 돌아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6. 관련 항목
- 포인트 부정적립
- 나일리지 - 나이와 마일리지의 합성어. 마일리지가 쌓이는 것과 같이 나이를 먹으면서 그에 따른 이득이나 권리를 당연히 누리려고 하고 대우해주기를 바라는 기성세대의 행동을 일컫는 말. 즉 젊은 사람들이 기성세대를 비판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이 링크를 클릭하면 "연령차별" 문서중 "2.1 나일리지" 항목으로 리다이렉트.
- 메이플스토리/마일리지
- 천장
- 할인 vs 적립
[1] 위에서부터 차례로 스칸디나비아 항공의 Eurobonus, 유나이티드 항공의 MileagePlus, 루프트한자 계열사의 Miles & More.[2] 탄소마일리지 같은 경우에는 보통 의미에서 쓰이는 마일리지와 조금 다른 개념이다. 무언가를 구입했기 때문에 혜택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절약함으로써 주는 혜택이기 때문이다.[3] 물론 연회비만 낸다고 바로 주는 건 아니고, 해당 카드로 일정 금액 이상 결제한 실적이 있어야 한다.[4] 이 때문에 특히 항공사의 마일리지는 회계상으로 최우선 부채로 잡히게 된다.[5] 사실 이건 멕시코 버스 회사들의 FFP로, 항공사로서는 유일하게 참여 중이다.[6] 최대7년[7] 리터당 2원 적립.[8] 동점자의 경우, 주 전공/복수 전공 여부, 해당 학기 신청 과목 수, 해당 학기 졸업 여부, 기타 등등을 반영한다. 마일리지가 다를 때에는 무조건 더 많이 투자한 사람이 수강 할 수 있다.[9] 여담으로 이런 경우는 주로 젊은 여성 고객이었다. 중년층 이상은 애초에 편의점에 가지를 않고 좀 멀더라도 대형마트를 이용하며, 남성들은 지갑에 뭘 많이 넣는 걸 좋아하지 않아서 각종 포인트 카드를 애초에 소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10] 그래도 편의점은 포스기 화면이 고객 눈앞에 보여서 바로 상황 파악이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포스기 화면은 직원만 볼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상황 파악이 바로 안 된다. 인터페이스 탓인지, 자동적립이 되었어도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