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55:55

마르코 바로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파일:세리에 A 로고.svg세리에 A
구단별 감독 (2024-2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61e8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안토니오
콘테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마르코
바로니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마르코
지암파올로

파일:US 레체 로고.svg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파일:AS 로마 로고.svg
살바토레
보케티

파일:AC 몬차 로고.svg
세르지우
콘세이상

파일:AC 밀란 로고.svg
에우세비오
디프란체스코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
파올로
자네티

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
빈첸초
이탈리아노

파일:볼로냐 FC 1909 로고.svg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로베르토
다베르사

파일:엠폴리 FC 로고.svg
코스타
루냐이치

파일:우디네세 칼초 로고.svg
티아고
모타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시모네
인자기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파트리크
비에라

파일:제노아 CFC 로고.svg
다비데
니콜라

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
세스크
파브레가스

파일:코모 1907 로고.svg
파올로
바놀리

파일:토리노 FC 로고.svg
파비오
페키아

파일:파르마 FC 로고.svg
라파엘레
팔라디노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세리에 B 구단별 감독 ▶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마르코 바로니의 역임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

88대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86대
}}} ||
SS 라치오
Società Sportiva Lazio S.p.A.
파일:73346.jpg
<colbgcolor=#9fe0f8><colcolor=#033a77> 이름 마르코 바로니
Marco Baroni
출생 1963년 9월 11일 ([age(1963-09-11)]세)
이탈리아 토스카나피렌체
국적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3cm
직업 축구 선수 (센터백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9fe0f8><colcolor=#033a77> 선수 ACF 피오렌티나 (1981~1982)
AC 몬차 (1982~1983)
파르마 AC (1983~1985)
우디네세 칼초 (1985~1986)
AS 로마 (1986~1987)
US 레체 (1987~1989)
SSC 나폴리 (1989~1991)
볼로냐 FC (1991~1993)
US 포지본시 (1993~1994)
AC 안코나 (1994~1995)
엘라스 베로나 FC (1995~1998)
SF 론디넬라 (1998~2000)
감독 SF 론디넬라 (2000~2001)
몬테베라키 칼초 (2001)
카라레세 칼초 (2003~2004)
FC 쥐트티롤 (2005~2006)
AC 안코나 (2006~2007)
AC 시에나 (2009)
US 크레모네세 (2010)
비르투스 란치아노 (2013~2014)
델피노 페스카라 1936 (2014~2015)
노바라 칼초 (2015~2016)
베네벤토 칼초 (2016~2017)
프로시노네 칼초 (2018~2019)
US 크레모네세 (2019~2020)
레지나 칼초 (2020~2021)
US 레체 (2021~2023)
엘라스 베로나 FC (2023~2024)
SS 라치오 (2024~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fe0f8><colcolor=#033a77> 가족 아들 리카르도 바로니
}}}}}}}}} ||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전술 스타일5. 여담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피렌체 출신이며 피오렌티나에서 데뷔한 센터백이다. 약 19년간 뛰는 동안 세리에 A에서 14시즌을 보낸 저니맨이었으며 1989-90 시즌에는 나폴리 소속으로 디에고 마라도나와 함께 스쿠데토를 들기도 했다.

3. 지도자 경력

2000년부터 지도자 경력을 쌓았으며 세리에 B에서 여러 팀을 옮겨 다니며 경험과 평판을 쌓았다.

3.1. US 레체

2021-22 시즌 US 레체의 감독을 맡아 우승하며 세리에 A 승격에 성공했다.

2022-23 시즌에는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패배보다 무승부가 많아 강등권에 추락하지는 않았으며 리그 5위인 라치오를 잡고 AC 밀란과도 무승부를 거두는 등 홈깡패 도깨비팀의 면모를 보였다.

2023년 6월 20일, 재계약 협상이 결렬돼 계약 만료로 US 레체를 떠나게 되었다.#

3.2. 엘라스 베로나 FC

2023년 7월 1일, 레체에서의 성과를 높이 평가한 엘라스 베로나 FC의 신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24년 6월 10일, 엘라스 베로나와 계약을 종료하였다.

3.3. SS 라치오

파일:GPzXYHfWQAAz7jM.jpg
마르코 바로니 선임 오피셜
2024년 6월 11일, SS 라치오의 86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계약기간은 2024년 7월 1일부터이며 세부 사항은 비공개이지만 라치오에서 다년 계약이라고만 밝혔다.

3.3.1. 2024-25 시즌

시즌 초 4-2-3-1 포메이션으로 막강한 화력을 선보이고 있다. 주포 타티가 매우 좋은 득점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으며, 영입생 디아와의 연계도 잘 이루어지고 있다. 주장 마티아 자카니를 비롯하여 티자니 노슬린, 구스타프 이삭센, 회춘한 페드로까지 윙어들이 돌아가며 득점하는 한편, 레프트백 누누 타바레스가 리그 정상급 파괴력을 과시하고 있다.[1] 중원에서는 귀앵두지니콜로 로벨라가 더블 볼란치로 출전하여 높은 활동량을 보여준다. 불안 요소로 꼽히는 것은 수비. 세리에 A 개막 후 7경기에서 11실점을 했다. 피오렌티나전에서는 PK 2개를 헌납하여 패배하기도 했다.

세리에 A 7라운드 기준 리그 4위, 유로파리그 1위에 올라 있다. 빅네임 없이 무색무취한 이적시장을 보냈다는 평을 받았고, 바로니 본인도 빅클럽이 처음이라 팬들에게 지지받지 못했으나 사리 시절보다 훨씬 역동적인 공격축구를 펼치며 여론이 반전되었다.

2024년 10월, 5경기에서 4승 1패 11득점 3실점이라는 호성적을 기록하여 세리에 A 이달의 감독에 선정되었다.#

코파 이탈리아와 리그에서 나폴리를 연속으로 잡아낸 데 이어 아약스 원정에서도 승리하며 12월을 기분좋게 시작했지만, 인테르전 0-6 참패 이후 상승세에 제동이 걸려 우승권과 승점이 많이 벌어졌다. 착실하게 승점을 쌓고 있는 티아고 모타의 유벤투스와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두고 다투게 된다.

4. 전술 스타일

라치오에서의 바로니는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역동적인 축구를 구사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구사하는 4-2-3-1 포메이션에서 풀백을 윙어 위치까지 높게 전진시켜서 경기장 좌우의 폭을 넓게 하여 중앙에 밀집되어 있는 상대 수비의 압박을 분산시킨다. 이 과정에서 풀백들이 보내주는 양질의 크로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압박이 분산되었을 때 측면으로 넓게 빠져있는 풀백에게 공을 전달하면, 풀백은 박스 안으로 얼리 크로스와 컷백을 보내줘 직접적인 도움을 기록하거나, 중앙으로 접고 들어가는 윙어에게 공을 줘서 직접 득점을 노리게 만든다. 이 때, 중앙에 위치한 공격수와 윙어, 중앙 미드필더들이 동시에 박스 안으로 침투해서 득점을 노린다. 누누 타바레스마누엘 라차리가 올려주는 크로스의 양질이 워낙 좋기 때문에, 세트 피스 전술 상황에서의 공격 성공률이 매우 높다는 점도 특징 중 하나다.

5. 여담



[1] 밀란전부터 5경기 5도움을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