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7:29:57

륄레부르가즈

파일:륄뤼바르가즈.jpg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모스크와 시가지
파일:륄레바르가즈 1.jpg
모스크 부속 카라반사라이와 여행자들을 맞는 행사가 열렸던 거대한 돔

1. 개요2. 역사3.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모스크

1. 개요

Lüleburgaz

튀르키예 서북부의 도시. 이스탄불에서 서북쪽으로 110km, 에디르네에서 동남쪽으로 60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다. 인구는 약 12만 5천명이고, 크르클라렐리 도에서 주도를 제친 제1의 도시이다. 그 점에서 실리브리 방면의 초를루와 비슷한 입지이다. 중세 시기 아르카디오폴리스 (Arkadiopolis)로 불렸고, 트라키아의 중심 도시 중 하나였다. 주민들은 대부분 19-20세기의 혼란기에 발칸 반도 각지에서 피난해 정착한 튀르크 무슬림들이고, 따라서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어 있다. 또한 이스탄불에서 소피아, 플로브디브, 베오그라드 등을 이어주는 철도가 지나는 교통 허브이다. 시내에는 오스만 제국 시기 대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미마르 시난의 설계 하에 세운 대사원과 다리 등이 남아있다.

2. 역사

파일:소콜루 모스크.jpg
1565-70년에 세워진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모스크
파일:륄레바르가즈4.jpg
비슷한 시기에 세워진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다리

고대에는 베르굴레 (Βεργούλη) 혹은 베르굴리온 (Βεργούλιον)이라 불렸고, 프톨레마이오스 지도에도 등장한다. 도시는 로마 제국 후기인 294년에 신설된 에우로파 속주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그러던 4세기 말엽, 테오도시우스 1세가 아들 아르카디우스의 이름을 따서 아르카디오폴리스 (Ἀρκαδιούπολις)로 개칭했다. 동로마 제국 시기 아르카디오폴리스는 하드리아노폴리스와 함께 트라키아의 주요 도시로 중시되며 번영했고, 동시에 군사적 거점으로써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문 역할을 하며 수많은 전란을 겪었다. 443년 훈족블레다가 함락한 것을 시작으로 598년 아바르 칸국의 바얀 1세가 포위했으나 함락하지 못했다.

823년에는 미하일 2세에 반란을 일으킨 슬라브인 토마스가 패배한 후 아르카디오폴리스에서 5개월간 농성했는데, 인육을 먹을 정도로 피폐해진 반군이 미하일의 사면 제안에 그를 사로잡아 항복했다. 토마스는 당나귀에 묶여 성밖으로 끌려갔고, 고문을 당한 후 처형되었다. 970년에는 발칸 반도를 침공한 키예프 공국스뱌토슬라프 1세가 이끄는 키예프-페체네그-마자르 군대가 아르카디오폴리스에서 동로마 장군 바르다스 스클리로스의 매복에 걸려 격전 끝에 철수했다. 1194년에는 이반 아센 1세이사키오스 2세의 동로마 토벌군을 아르카디오폴리스 전투에서 격파하고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을 세웠다.
1204년 4차 십자군라틴 제국과 불가리아와의 전쟁으로 트라키아가 황폐화 된 후 아르카디오폴리스는 쇠퇴했고, 옛 플로티노폴리스인 디디모티호가 대신 성장했다. 14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령이 된 도시는 배관 생산이 활발했기에, 터키어로 파이프를 뜻하는 '륄레'와 불가리아어로 성채를 뜻하는 '부르가스'가 합쳐진 륄레부르가즈라 명명되었다. 16세기 말엽 제국의 대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도시에 대사원 단지와 다리를 세웠다. 1878년 2월 러시아 제국군이 이곳에서 오스만 군을 격파했고, 발칸 전쟁 시기인 1912년 10-11월의 륄레부르가즈 전투에서 양측 모두 2만 이상이 전사하는 격전 끝에 불가리아 군이 승리하여 이듬해 9월까지 영유했다. 1920-22년에는 그리스 왕국군이 점령했다가 터키 독립 전쟁 후 철수했다.

3.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모스크

파일:소콜루 모스크 2.jpg
단지 전경
파일:소콜루 모스크 1.jpg
모스크 내부 모습
파일:륄레바르가즈 2.jpg
단지 부속 건물들

단지 내에는 모스크, 메드레세 (마드라사), 병원, 카라반사라이 등이 있다. 모스크 돔의 직경은 12.5m 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