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01:49:24

뤼미에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2b32, #3259aa)"

{{{#!wiki style="margin: -5px 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2b32, #3259aa); text-align:center; color: #ffffff"
{{{#!folding · 주인공 & 수수께끼의 소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
파일:AlearDual.png
파일:VeyleFE17p.webp
뤼에르 베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2b32, #3259aa); text-align:center; color: #fffff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0%"
{{{#!folding · 성지 리토스 ·
파일:인게이지_로고_리토스.png
파일:LumiereFE17p.webp
파일:VanderFE17pedit.webp
파일:ClanneFE17p.webp
파일:FrammeFE17p.webp
뤼미에르 반드레 클랜 프랑
}}}}}}
· 피레네 ·
파일:인게이지_로고_피레네.png
파일:AlfredFE17p.webp
파일:CelineFe17p.webp
알프레드 셀린
파일:BoucheronFE17pEdit.webp
파일:EtieFE17p.webp
파일:ChloeFE17p.webp
파일:LouisFE17pEdit.webp
부셰론 에티에 클로에 루이
파일:JeanFE17Portrait.png
· 브로디아 ·
파일:인게이지_로고_브로디아.png
파일:인게이지_디아만드.png
파일:인게이지_스타루크.png
디아만드 스타루크
파일:AmberFE17p.webp
파일:JadeFE17p.webp
파일:LapisFE17p.webp
파일:CitrinneFE17p.webp
앰버 제이데 라피스 시트리니카
파일:YunakaFE17p.webp
파일:SaphirPortrait임시2.png
유나카 자피아
· 이르시온 ·
파일:인게이지_로고_이르시온.png
파일:IvyFE17p.webp
파일:HortensiaFE17p.webp
아이비 오르텐시아
파일:ZelkovFE17p.webp
파일:RosadoFE17p.webp
파일:GoldmaryFE17p.webp
젤코바 카게츠 로사도 골드마리
파일:AnnaFE17p.webp
파일:LindonPortrait임시.png
안나 린덴
· 솔룸 ·
파일:인게이지_로고_솔룸.png
파일:ForgatoFE17p.webp
미스티라 포가토
파일:MerrinFE17p.webp
파일:PanetteFE17p.webp
메린 파네토네 판도로 보네
파일:SeadallFE17p.webp
세아다스

· 그라드론 ·
파일:인게이지_로고_그라드론.png
파일:솜브르이미지2.png
솜브르
파일:ZephiaFE17pEdit.webp
##파일:인게이지_세피아.png
파일:GrissFE17pEdit.webp
파일:인게이지_마론.png
파일:MauvierFE17pEdit.webp
세피아 그리 마론 모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2b32, #3259aa); text-align:center; color: #fff"
{{{#!folding · 문장사 ·
파일:인게이지_마르스.png
파일:인게이지_세리카.png
파일:인게이지_시구르드.png
마르스 세리카 시구르드 리프
파일:RoyFE17p.webp
파일:인게이지_린.png
파일:EirikaFE17p.webp
파일:IkeFE17p.webp
로이 에이리카/에브라임 아이크
파일:MicaiahFE17p.webp
파일:LucinaFE17p.webp
파일:인게이지_카무이.png
파일:인게이지_벨레트.png
미카야 루키나 카무이 벨레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2b32, #3259aa); text-align:center; color: #fff"
{{{#!folding · DLC ·
사룡의 장 추가 캐릭터
파일:NelFE17p.png
파일:NilFE17p임시.png
파일:ZelestiaFE17pedit.png
파일:GregoryFE17p임시.png
파일:MadelineFE17p임시.png
셀레스티아 그레고리 마델린
신룡의 장 추가 문장사
파일:파엠_인게이지_삼반장_임시.webp
파일:TIKIFE17pEdit.webp
파일:HectorFE17p.webp
파일:SorenFE17p.webp
에델가르트/디미트리/클로드 치키 헥터 세네리오
파일:CamillaFE17p.webp
파일:ChromRobinFE17p.webp
파일:VeronicaFE17p.png
카밀라 크롬/러플레 베로니카
}}}}}}||
뤼미에르
ルミエル
Lumera
파일:LumiereFEH.webp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 전신 일러스트
(아티스트: 하스미 카오루 #)
[1]
파일:Dragon_Lumera.png
드래곤으로 변신한 모습
1. 개요2. 작중 행적3. 평가4. 기타 출연작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LumiereFE17p.webp
<colbgcolor=#fcd576> CV <colbgcolor=#eddfdf> 미츠이시 코토노 / 줄리아 맥일베인
클래스 신룡의 왕

파이어 엠블렘 인게이지의 등장인물로 주인공 뤼에르의 어머니.

2. 작중 행적

뤼에르가 깨어난 것을 느끼자 다급하게 용 모습으로 날아와 브레스로 이형병들을 몰살하고 재회한다. 기억을 잃은 뤼에르에게 엘리오스 대륙의 역사를 알려주고 모의전으로 전투 훈련을 도와주는 등 자상한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준다.

문장사 시구르드의 반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시구르드와 인게이지를 하며 주인공 일행과 맞서 싸우게 된다. 이후 훈련을 마친 주인공에게 자신이 사용하고 있었던 검 리베라시온을 준다.

그리고 주인공에게 반지 같이 생긴 물건을 주려고 하는데, 원래 1000년 전 주인공의 생일선물로 주려고 했으나 그 전에 주인공이 잠들어버려서 주지 못했던 거라고 한다. 주인공은 이 선물을 거절하며 자신의 기억이 되돌아 올 때까지 받지 않겠다고 한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회 당일 야밤에 일어난 이르시온의 습격에서 뤼에르를 감싸고 절명하고 만다. 프랑이 회복 마법으로 상처를 치료해보려고 했으나, 뤼미에르는 뤼에르를 깨우기 위해 1000년 동안 본인의 생명력을 뤼에르에게 조금씩 주고 있었기 때문에 생명력이 별로 남지 않아서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죽기전 뤼에르에게 시구르드의 반지를 전해주고, 사룡을 막기 위해 12개의 문장사 반지를 모으라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한다.

나중에 밝혀진 진실은 사실 뤼에르의 친어머니가 아니라는 것. 과거 사룡과의 전쟁으로 가족들을 잃고 고독한 상태로 전쟁을 이어오다, 그라드론의 고산지대에서 전투에서 정신을 잃고 쓰러진 사룡의 아이, 뤼에르를 발견했다. 아버지에게 언제 죽을 지 모르는 공포를 떠안고 살던 뤼에르와 고독했던 뤼미에르의 합이 맞물리면서 두사람은 남몰래 교류하기 시작했고, 뤼에르는 자신의 아버지를 배신한 뒤 뤼미에르에게 전향했던 것.[2] 그렇게 뤼에르는 솜브르를 격파하는데 성공했으나 방심한 사이 솜브르의 단말마를 맞고 죽게 되었는데, 뤼미에르가 뤼에르의 생명을 살려내면서 지금까지 이어온 것이다.

뤼에르의 모습이 푸른 색과 붉은 색이 섞인 이상한 모습인 이유도 사룡의 자손임을 나타내는 붉은 색+신룡의 힘을 주입받은 푸른색이 합쳐진 결과였던 것.

그리고 처음으로 죽기 직전 뤼에르가 원했던 선한 용이 되는 소원을 위해 한 반지에 신룡의 힘을 불어넣었고 이는 나중에 문장사를 소환하는 매개체가 되어 뤼에르가 13번째 문장사로 현현하게 되는 수단이 되었다. 문장사로 현현한 뤼에르의 모습은 완전한 청발·청안이 되어 진정한 신룡이 되었다는 장치로 쓰였다.

이후 25장에서 보스로 등장한다. 솜브로가 시신을 가져와 이형병으로 만들어버린 것. 이형병으로 살아난 자들이 으레 그렇듯이 베이스 인격은 뤼미에르 그대로지만 다소 뒤틀린 모습을 보여주는데, 2번째 목숨을 주신 솜브르 '님'에게 너무 감사하고 천년 동안 뤼에르와 함께 할 날만 기다렸는데 너무 빨리 죽어버렸으니 이제 두 번 다시는 죽을 수 없다면서 광기에 휩싸인 모습[3]을 보여준다. 자신을 죽인 베일[4]에게 "이 불량품아!"라고 외치며 썩소를 내보이는 모습이 압권. 뤼에르는 생전의 뤼미에르는 세계의 평화를 되찾기 전까진 멈추지 말란 말을 했는데 지금의 이 솜브르 밑에서 같이 영원히 살자고 말하는 어머니는 가짜라고 선언한 뒤, 결국 쓰러뜨린다.

해당 스테이지는 증원이 끝도 없이 나오는데 첫 증원부터 경험치를 주지 않는 허무의 저주를 달고 있기 때문에 이 증원이 한 번으론 끝나지 않음을 추측 할 수 있으며 9턴쯤 가면 턴당 13명의 증원이 출현한다. 이형룡도 부활의 돌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용문으로 광역 물리 공격을 하는 등 난이도가 높은 편.

증원의 양 때문에 바로 다음 장인 솜브르전 보다 어렵다는 말이 있지만 이는 증원들을 일일이 상대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쌓이는 증원에게 압도당하기 전에 화력을 쏟아 부어 정면돌파 한다면 최초의 계단 증원 제외하곤 증원을 상대하지 않고 깔끔하게 10턴 이내로 클리어가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5] 특히 왼쪽 방에 뤼에르가 자리교체가 불가능한 상태로 강제출격하는데 이쪽은 뤼에르의 인게이지+를 사용해 불도저처럼 밀어내는 것이 정석이다.[6] 또는 미카야 문장사의 다인 워프로 가운데방으로 한번에 에이스들을 워프시킨 다음 이형의 뤼미에르를 다굴치는 날먹 플랜도 있다.
이 전투에서 뤼에르와 베일 이외에도 클랜, 프랑, 반드레를 출전시켜 이형의 뤼미에르와 교전하면 전용 대사를 들을 수 있다. 용의 수호자 3인방의 교전 대사는 이들과 뤼미에르의 2장 교전 대사를 뒤튼 것이라 안타까움을 자아내며 특히 반드레와의 교전대사가 작품 내에서도 손꼽히는 명장면이라 이거 하나 보기 위해 반드레를 키워서 기어이 이 전투에 출격시키는 사람들까지 있을 지경.

죽기 전 의식이 잠시 돌아와 천년 동안 뤼에르와 함께라 전혀 외롭지 않았다며 자식이 되어 고맙다는 말을 한 뒤 먼지가 되어 사라진다.

평행세계인 사룡의 장에서는 자신의 목숨을 바처 솜브르를 봉인하여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3. 평가

메인 스토리 내에서 뤼에르를 대하는 솜브르와 뤼미에르를 대비시키며 진정한 가족에 대해 상기시키는 캐릭터로 설정되었다.

뤼에르와 뤼미에르가 만났을 당시에도 뤼에르는 뛰어난 사룡의 자식으로 활약하고 있었다는 묘사로 보아 이미 신체적으로는 완성되어 있었으나 감정의 기복 없이 그저 아버지의 명을 따르는 모습을 보면 인격적으로는 백지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7] 그러나 뤼미에르와 대화를 나누며 점차 감정이 생긴 것으로 보이며 이윽고 죽기 직전의 뤼에르가 선한 용이 되고 싶어 했던 것을 보면 뤼미에르는 뤼에르의 인격을 완성시켜준 기른 어머니로서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죽기전에 주인공에게 솜브르에게 대항할 길을 만들어 준 그녀의 희생이 세계를 구한 열쇠가 되기 때문에 비록 고인드립을 당했지만 뤼에르와 세계를 위한 목표는 여한 없이 달성했다.

한편 작품 외적으로 비판을 많이 받는 캐릭터이기도 한데, 그녀가 사망하는 3장의 컷신이 이게임 최악의 연출 1,2위를 다툴 정도로 엄청난 악평을 받았기 때문이다. 플레이어는 뤼에르과 뤼미에르에게 전혀 이입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 몇분이나 슬픈 음악을 깔고 등장인물들은 사방에서 눈물을 쏟고 있으니 좋은 소리가 나올래야 나올 수가 없다.

이전작 파이어 엠블렘 if미코토마냥 1화 만에 소비하는 플롯으로 날림처리 당하며 괜히 덤터기를 쓴 셈. 심지어 미코토보다도 못하다는 평이 많다. if가 쓰레기 스토리로 악명이 높을지언정 컷신 연출과 퀄리티는 대호평이었던 작품이라 똑같이 만난지 얼마 안된 상황임에도 미코토의 죽음에 슬퍼하는 카무이를 이해 못하겠다던가 하는 평가는 없었기 때문이다.

코믹스 작가는 이런 문제점을 자각하고 있는지 뤼미에르가 초반에 죽지 않고 뤼에르와 꽤 긴기간 동행하며 유대감을 쌓고 향후 전개의 떡밥을 뿌려주는 식으로 스토리를 바꾸었기에 팬덤은 코믹스가 정사라고 드립을 치고 있다.

4. 기타 출연작

4.1.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뤼미에르(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파일:카운트다운 뤼미에르.jpg
D-10 카운트다운 일러스트
by Mika Pikazo
  • 사족으로 전투음성은 생전 버전과 이형 버전이 따로 준비되어있다. 단, 양쪽의 승리대사나 생전 필살대사[8] 같이 실제 게임 진행상에서 못 듣는 대사가 과반수.

파일:시구르드 새살림.jpg
  • 시구르드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워낙 오붓해 보여서 시구르드의 원작 행적과 맞물려 맞불륜 밈이 생겼다.#1#2#3 비슷한 이유로 25장에서 보여준 행적 때문에 솜브르와 엮이기도 하는데 특히나 당시에 솜브르에게 조종당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솜브르를 높여 부름과 동시에, 그의 딸인 베일에게까지도 뤼미에르 자신을 어머니라고 불러도 된다고 말하는 장면을 보면 오묘하다.
  • 본작의 발매전부터 뤼에르 특유의 빨강 파랑 반반머리 때문에 카무이와 마찬가지로 뤼에르 또한 어머니가 최종보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6.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r10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r1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후 2024년 1월에 신계 버전으로 한 번 또 실장된다...[2] 죽기 직전 뤼에르가 어머니라고 부르는데 드디어 자신을 어머니라고 불러줬다며 감격하는게 복선이었다. 친부모 관계였다면 어머니라는 호칭에 의미부여를 할 이유가 없다.[3] 그녀가 천년 동안 뤼에르를 살리기 위해 힘을 주입하며 함께 있긴 했으나, 실질적으로 교류한 시간은 매우 적었기에 함께 추억을 만드는 것을 갈망했다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게 짐작이 가능하다. 이것이 이형병으로 살아나면서 광기에 가깝게 뒤틀려져 버린 것.[4] 실제로는 솜브르가 심어 놓은 사룡의 인격의 베일. 원래 인격인 베일은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뤼에르와 뤼미에르가 서로 싸우는 비극을 막기 위해 홀로 이형의 뤼미에르에게 맞서려 했다.[5] 10턴 클리어 기준으로 증원이 보스방 입구에에 딱 닿게 설계되어 있다.[6] 애초에 인게이지는 니가와 플레이를 지양하고 공격적인 플레이를 유도하도록 맵 설계가 되어있으며 수비를 하는 맵 역시 최종적으론 공세로 전환하도록 되어있다.[7] 일본어 텍스트 한정으로 반영된 사항이긴 한데, 과거의 뤼에르의 대사는 어린아이 캐릭터들 마냥 전부 히라가나로만 말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8] 생전 버전은 2장에서 단련상대로 나오지만, 비표시 스킬인 필살 불가로 인해 필살대사를 들어보는것 자체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