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2:34:08

안드리 라조엘리나

라조엘리나에서 넘어옴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d92525 0%, #ff3e29 20%, #ff3e29 80%, #d9252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마다가스카르 제1공화국|
제1공화국
]]
<rowcolor=#fff> 초대 제2대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가브리엘 라마난초아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
제2공화국
]]
제3대
디디에 라치라카
[[마다가스카르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rowcolor=#fff>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디디에 라치라카 알베르 자피 디디에 라치라카 마르크 라발로마나나
[[마다가스카르|
제4공화국
]]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헤리 라자오나리맘피아니나 안드리 라조엘리나 마이클 랜드리아니리나 }}}}}}}}}}}}
<colbgcolor=#007e3a><colcolor=#fff>
마다가스카르 공화국 제8대 대통령
안드리 라조엘리나
Andry Rajoelina
파일:Andry Rajoelina.jpg
본명 안드리 니리나 라조엘리나
Andry Nirina Rajoelina
출생 1974년 5월 30일 ([age(1974-05-30)]세)
말라가시 공화국 안타나나리보주 안치라베
(現 마다가스카르 바키난카라트라구 안치라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마다가스카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마다가스카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재임기간 고등잠정통치기구 의장[2]
2009년 3월 17일 ~ 2014년 1월 25일
제8대 대통령
2019년 1월 19일 ~ 2023년 9월 9일
2023년 12월 16일 ~ 2025년 10월 14일[탄핵]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e3a><colcolor=#ffffff> 배우자 미알리 라조엘리나
자녀 3명
소속 정당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

1. 개요2. 생애
2.1. 정치 활동2.2. 대통령 취임 후2.3. 반정부 시위와 몰락
3. 기타

1. 개요

마다가스카르정치인. 제8대 대통령.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임시 대통령을 지냈고, 2019년부터 2025년까지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했다. 35세라는 젊은 나이에 취임했는데, 이는 마다가스카르 최연소 대통령 기록이며 전 세계 어디를 뒤져봐도 이렇게 젊은 나이에 대통령에 오른 사례는 드물다.[4]

그러나 2023년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지 2년여 만에 실정으로 인한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자 해외로 도피하였고, 의회의 탄핵과 군부의 국정 장악 선언으로 축출되었다.

2. 생애

1974년 5월 30일, 안치라베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안타나나리보에서 자랐다. 아버지 로저 이브 라조엘리나는 알제리 전쟁에서 활약했던 퇴역 군인으로, 프랑스 시민권자였다.

어렸을 때는 가라테와 음악을 배웠고, 부유한 집안 덕에 대학 교육도 받을 수 있었으나 그냥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3년 이벤트 기획사를 차려 DJ로 활동하는 길을 선택했다. 나름 사업가 기질을 타고났다고 볼 수 있다.

이듬해인 1994년, 행사에서 2살 연하의 미알리 라자칸디사를 만나 교제를 시작했다. 우연히도 그녀의 가족이 마다가스카르에서 잘나가는 부잣집이었기에 라조엘리나는 이들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인 투자로 사업을 빠르게 확장시켜나갈 수 있었고, 몇 년 뒤 그의 기획사는 당시 인구 1,700만이었던 마다가스카르에서 무려 관중 5만 명짜리 대형 콘서트를 개최할 정도로 큰 회사로 성장했다.

결혼 후에는 대형 광고물 디지털 인쇄 사업을 시작한 뒤 처가에서 하던 광고판 제작 사업까지 물려받아 마다가스카르 최대의 광고회사를 탄생시켰다. 물론 이전에 하던 기획사 사업도 계속 하고 있었으니, 일종의 그룹 회장이 된 셈이다.

2.1. 정치 활동

처음에는 별다른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았고, 정치에도 큰 관심이 있던 편은 아니었다. 그러던 그가 정치 활동에 전념하게 된 계기는 2000년대 전후로 마다가스카르의 경제가 나빠지기 시작했고, 당시 대통령이었던 마르크 라발로마나나는 실정으로 인기를 잃어버리기 시작했다. 급기야 막판에는 독재적으로 나아갔으며, 한마디로 나라는 막장으로 치닫았다. 이 때 라조엘리나는 이러한 사회에 불만을 갖고 정치 활동에 전념하게 된다.

라조엘리나는 2007년 5월 한 방송사를 사들여 Viva TV와 Viva FM을 개국한 뒤 지상파 방송에서 매우 강력한 언행으로 정부를 노골적으로 꼬집으며, 이른바 공격수로 급부상하기 시작한다. 이를 계기로 인기가 높아졌고, 국민들의 열렬한 지지 속에서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이라는 정당을 창당했다. 사실 이 정당의 이름이 이렇게까지 된 이유는 바로 그 유래인 TGV인데, 라조엘리나 특유의 공격적인 언행이 마치 TGV와도 같다는 뜻으로 사람들이 그렇게 부르기 시작했고, 라조엘리나는 이러한 TGV를 약칭으로 삼아 ' Tanora malaGasy Vonona'로 이름을 정한 거다.[5]

이를 바탕으로 2007년 12월 안타나나리보 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이후 그는 라발로마나나의 최대 정적으로 떠올랐다. 라발로마나나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그를 숙청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민심은 이미 라발로마나나에게서 등을 돌린 뒤였고, 결국 라조엘리나를 실각시키려던 시도는 최종적으로 실패했다.

2.2. 대통령 취임 후

결국 2009년 마다가스카르군 군부는 쿠데타를 일으켜 마다가스카르 제3공화국은 무너졌고, 이후 라조엘리나를 고등잠정통치기구 이사장으로 옹립한다.

그러나 라조엘리나는 정상적인 탄핵과 선거 절차를 거쳐 당선된 것이 아닌 쿠데타 군부가 옹립한 대통령이기에 민주적 정당성에 심각한 결점이 있었다. 국제 사회는 하나되어 라조엘리나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고, UN, IMF, 미국, EU의 경제 원조가 끊어지기까지 했다. 2010년 11월 개헌 국민투표에서 73% 찬성으로 국민들에게 신임받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나서야 겨우 국제사회 복귀가 허락되었다.

2014년 대선에는 불출마했고, 대신에 헤리 라자오나리맘피아니나가 당선되었다. 다만 차기 대권주자로 유력하며 조만간 대선에 나갈지도 모른다고 출마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기는 하다.

2018년 12월 27일, 대선에서는 라발로마나나를 52만 6,091표 차이로 크게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어 근 5년 만에 정식 선출의 형태로 대통령직에 복귀하게 되었다. 참고로 이 대선에서는 최근 재임한 5명의 전현직 대통령이 모두 출마해서 선거를 치렀다.

2021년 암살 시도가 있었다. 아이티처럼 대통령 암살 사건이 벌어질 뻔했다. #

2023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연임에 도전하였고,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다. #

2.3. 반정부 시위와 몰락

2025년 9월 25일부터 Z세대가 주도한 2025년 마다가스카르 반정부시위가 격화되자, 위기감을 느낀 나머지 프랑스로 도피했다.

초기 시위는 전력 부족에 항의하며 시작되었지만, 시간이 흐르며 정부 관료들에 대한 부패무능을 총체적으로 규탄하는 시위로 번져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UN에 따르면 시위대와 보안군의 충돌로 최소 22명이 사망했다. 2009년 쿠데타로 본인의 집권을 도운 정예부대 캡사트(CAPSAT)도 등을 돌리면서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결국 본인은 10월 13일 프랑스로 도주했으나 대통령직 사퇴는 확고히 거부하며 임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그런데 바로 다음 날인 10월 14일 의회가 재적 의원 163명 중 130명의 찬성으로 탄핵안을 통과시키면서 탄핵당했다. # 마르크 라발로마나나 대통령을 쫓아내고 권력을 차지했으나 본인도 시민혁명으로 축출된 것. 의회가 밝힌 탄핵 사유도 가관인데, 해외로 도피한 뒤 의회 해산을 선포한 행위가 내란 혐의에 해당한다는 판단이라고 한다.

이후 최고법원이 캡사트 부대의 지휘관인 미카엘 란드리아니리나(Michael Randrianirina, Mickaël Randrianirina) 대령에게 국가원수로서의 권한을 행사하여 향후 60일 동안 정국 혼란을 수습하고 선거를 이행할 것을 지시하고, 란드리아니리나 대령을 위시한 캡사트 부대가 의회를 제외한 모든 국가기관의 해산을 명한 뒤 최대 2년간의 임시 통치를 통해 새 헌법 제정과 선거를 치르겠다고 선언한다.

사실상 해외 도피처에서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어버렸다. 캡사트가 주도하는 군정이 라조엘리나 본인의 입국을 허용하지 않을 뿐더러, 권력을 되찾겠다며 어떻게든 입국한다 해도 국민들에게 몰매 맞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마다가스카르 국가로서는 군부가 최고법원의 지시를 무시하고 마다가스카르 제3공화국 이후 15년만에 도래한 군정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지 예측 불가능해 졌다. 새 헌법 제정 선언이 나와 제5공화국 성립이 유력하며 다시금 장기 군부독재의 길로 갈 지, 민주정이 다시 세워질지 기로에 서게 되었다.

3. 기타


[1] 마다가스카르 대통령 이중국적 논란…"2014년 프랑스 국적 취득"[2] 군부가 옹립한 정부 수반으로 이 직책으로 재임한 기간 동안 사실상 꼭두각시였다.[탄핵] Z세대가 주도한 반정부 시위를 피해 해외로 도피한 상태에서 의회 해산을 선포하였으나, 의회가 이를 맞대응하며 탄핵안을 의결함에 따라 축출되었다.[4] 최연소 "대통령"은 아이티장클로드 뒤발리에로 19세에 대통령이 되었으며(물론 이쪽은 아버지의 권력을 세습받은 케이스이다), 사실상 "대통령"이라고도 많이 불리는 북한김정은(정확히는 국무위원장)도 27세에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 참고로 현재 최연소 대통령인 칠레가브리엘 보리크는 36세에 대통령이 되었으며, 프랑스의 대통령인 에마뉘엘 마크롱이 대통령에 취임한 나이가 39세이고, 쿠데타로 사살되긴 했으나 부르키나파소토마 상카라는 33세에 대통령에 올랐다.[5] 마다가스카르는 한때 프랑스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어 프랑스 문화의 영향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