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1 00:23:10

동문서답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LUCY의 싱글 앨범에 대한 내용은 동문서답(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유형3. 그 외

1. 개요

한자성어
西
동쪽 동 물을 문 서쪽 서 답할 답

문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동쪽에서 물어봤는데 서쪽에서 답한다는 뜻으로, 동쪽에서 물었는데 멀리 떨어진 서쪽에서 대답하는 건 불가능한 일이므로 그만큼 묻는 말에 전혀 관계도 없고 논지에서 벗어난 엉뚱한 대답을 한다는 뜻의 사자성어[1]이다.

상대와 말할 때 일부러 거의 모든 대답을 동문서답으로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는 사람들을 완전체라고 일컫고 자신이 겪었다는 완전체의 실사례를 제시한 글이 2008년에 큰 공감을 얻고 퍼진 적이 있다. 그 글에 실린 사례를 보면, 똥고집이나 '말하는 벽'과는 정말 차원이 다른, 대충만 보면 마치 물 흐르듯이 이야기가 되는 것 같으면서도 실제로는 상대의 이야기에 대해 전혀 답하지도 공감하지도 않는 해괴한 화술에 당혹감까지도 느껴진다. 2011년까지도 뒷북으로 저 글이 펌돼서 올라온 경우도 있는데, 저 글이 나올 때마다 격한 공감을 보내는 사람들이 있는 걸 보면 저런 류의 사람이 정말 있기는 있는 모양.

상당수의 정치인들과 권력자들에게도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쉽게 답하기 곤란한 불리한 질문엔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거나 설사 대답을 해 줘도 자기한테 불리하지 않은 쪽으로만 대답하거나 아예 다른 쪽으로 화제를 돌릴 뿐 질문자가 대답해 주길 바라는 것에 대해선 자기한테 불리하단 이유 하나만으로 끝까지 대답을 안 하고 회피한다. 많이 만나본 사람들에 의하면 상황에 따른 메뉴얼을 숙지하고 있는 느낌이라고 한다. 이쯤 되면 이들은 동문서답을 잘못된 화법이 아니라 일종의 고도의 정치술로 인식하는 듯 하다.

영미권에서는 보다 전문적인 용어로 'Non-sequitur[2]'이라고 하지만, 저 단어는 논리학에서 자주 등장한다. 동문서답을 논리학의 오류 추론에서 일컫는 경우가 바로 논점일탈의 오류.

2. 유형

동문서답이란 말이 통하는 경우는 대개 세 가지다.
  • 질문을 못 알아들은 경우. 이 경우는 (아예 완전체가 아니라면) 질문자 측에서 어째 알아들으려고 할 수는 있으나 역시나 그런 심오한 사람이 많지는 않다. 그럴 때는 질문하는 쪽도 자신이 원하는 바를 확실히 할 수 있고, 보다 상대방이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상대방의 질문을 넘겨짚고 대답하는 경우.[3] 가상인물로는 데오늬 달비가 이 분야의 정점을 달린다. 현실에서도 은근히 많이 보이는데, "무슨 소리야?"라고 물었을 때 중간과정을 설명해주는 경우라면 낫지만 그러지 않고 상대에게 왜 못 알아듣냐고 닥달하는 경우라면... 위에 있는 완전체는 중간과정에 대한 설명 시도도 없고, 상대의 (자기가 볼 때) 모자라는 인지능력을 비난하는 행위도 없이 아예 앞뒤에 맞지 않는 말로 이야기를 이어가는 경우다.
  • 대답을 회피하려는 의도적인 행위. 대답을 하기는 하지만 역시 질문자가 바라는 바에 대해서는 끝까지 대답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실 이건 자기한테 불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회피하는 것인 만큼 경우에 따라선 적어도 자기한테 불리하지 않은 질문에 대해서 만큼은 제대로 된 대답을 해주는등 동문서답이 아닌경우도 있긴하지만 대답 자체가 완전히 동문서답인 경우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 아예 질문 자체를 정면에서 씹는 행위. 어느 정부 부처의 발언으로 알려진 아래의 케이스 같은 경우가 있다.
      ex) M: (국정감사 청문회에서) 예산을 어디에다 썼는지 제대로 밝혀주시죠.

      W: 지금 여자라고 무시하는 겁니까?

      세금도둑부의 핑계,망언그외엔 불리한 질문을 받자 그만하자고 하거나 쓸데없는 논쟁이라며 대놓고 대답을 회피하려 하는 경우도 대답을 회피하려는 목적의 동문서답에 해당한다. 엉터리 주장을 하고 난 후 근거를 묻자 마치 그 근거를 묻는 것이 자기에게 배우려고 하는 것인 양 '내가 그런 것까지 알려줘야 하나? 직접 공부해서 찾아라.' 하기도 한다.
    • 완전체연기하는 경우. 질문을 하는 사람이 답변자의 감정을 아주 크게 소모시키는 경우에 이렇게 대응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동문서답으로 대답을 회피하다가는 자기 말에 책임도 못 지는 사람으로 몰려서 린치당할 가능성이 높으며 주변에서도 자기 말에 책임도 못지고 불리하면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는 쓰레기로 낙인찍혀서 매장당하기 쉽다. 그러니 불리한 질문을 받았을때 대답을 회피할게 아닌 자기가 틀린것에 대해선 그깟 쓸데없는 자존심 때문에 인정안하고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다 낙인찍혀 매장당할게 아니라 인정할건 솔직하게 인정하도록 하자. 쓸데없는 자존심으로 끝까지 대답 회피하다 정말로 험한 꼴을 당하는수가 있다. 끝까지 대답을 회피하는 모습에 상대방들이 질리는 걸 넘어 아예 열 받게 되기도 하는 건 덤. 하지만 높으신 분들이 궁지에 몰리면 쓰는, 예의드립이나 틀딱충 등의 단어는 아주 훌륭한 예시.

3. 그 외

  • 유희왕의 캐릭터들이 툭하면 내뱉는 것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뭔가 중2병스러운 작품들에서 등장인물들은 서로의 말에 담긴 속뜻을 이해하고 심오한 대화를 하고 있는 듯 한데 독자, 시청자가 보기에는 대체 뭔 소리를 하는 건지 알아먹지 못하는 경우들이 매우 많다.
  • 1990년대 후반에 유명했던 사오정 개그가 이 동문서답을 주제로 하고 있다.
  • 사실은 캐나다 퀘벡을 희망했는데 파리로 응답하는 처사가 동문서답이라고 한다.
  • 네이버 지식iN에서 질문 내용에 맞지 않는 무의미한 답변을 올리는 내공냠냠도 동문서답의 사례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 집단적 독백도 이와 관련된 심리현상이다.
  • 뉴진스의 하입보이요 역시 동문서답이라 할 수 있다.
  • 반대되는 한자성어로는 우문현답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1] 고서에 기록된 게 전혀 없는 한자성어이므로 사자성어이다.[2] 라틴어로 맞지 않거나 따라오지 못한다는 뜻.[3] 상대방의 말을 지극히 본인의 관점에서만 해석하거나 과대해석하여 상대방이 할 말을 시작부터 잃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