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의 대중교통 음영지역에서 교통약자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신설되었던 노선이다. 하지만 일반인이라면 음영지역에서 도보로 시내버스를 이용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도보 이동이 제한되는 노약자 수요를 제외하면 이용객 수는 없었다.
개통 초기 임시 운행때는 무료로 운행했다. 이후 정식 운행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지선버스 요금을 징수하고 있었다. 여담으로 다른 시내버스와 달리 환승을 하지 않아도 하차 시 교통카드를 무조건 태그하고 내려야 했다. 태그하지 않고 내리면 페널티로 추가요금 2배가 부과를 했다.
차량 내부 교통카드 단말기는 인천 통합 단말기가 아닌 인천 시내버스 하차문과 경기도 마을버스에서 사용하는 캐시비 단말기를 사용했다. 그래서 인천광역시에서 3번째로 현금 승차가 불가능했다.
자가용 면허로 운행했다. 물론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의한 자가용유상운송허가를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았다.
일자 미상으로 동구1번이 카카오맵에 다시 등록이 되었다. 동시에 인천버스정보시스템에도 등록이 되어있다.[8] 다만, 카카오맵에서는 2024년 2월 1일에 동구1번이 다시 삭제되었으며, 아직 인천버스정보시스템에는 남아 있다. 그런데, 2024년 3월 23일에 또 BIS에 동구 2번도 다시 등록이 되었다. 이후 그해 4월에 둘다 삭제되었다.
[a] 미래빌라 부근은 반대방향에서 승하차 해야한다.[2] 이마트송림점 정류장에서 산업단지사거리까지 도보를 해야 한다.[3] 길 건너서 타야한다.[4] 단, 송림119안전센터 정류장으로 이동해서 타야한다.[a] 미래빌라 부근은 반대 방향에서 승하차 해야한다.[6] 동구환경을 미경유 하지만 대체는 가능하다. 참좋은집에서 하차 후 길 건너서 계속 도보를 하면 된다.[7] 2024년 2월 3일에 506번이 원창동 연장으로 인해, 하행 방면 기준으로 510번으로 환승해서 가야한다.[8]네이버 지도에는 등록이 되어있지 않다.[9] 동구1번은 인천세무서 정류소 하차 후 도보를 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