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3:04:37

동구·군위군 을

동 군위 을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동구(대구광역시)/정치
, 군위군/정치
,
,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중·남 동·군위 갑 동·군위 을
김기웅 최은석 강대식 김상훈
북 갑 북 을 수성 갑 수성 을
우재준 김승수 주호영 이인선
달서 갑 달서 을 달서 병 달성
유영하 윤재옥 권영진 추경호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동구·군위군 을
동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안심동 등, 군위군 일원
東區·軍威郡 乙
Dong-Gunwi B
}}}
파일:국회선거구 동구·군위군 을.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74,984명 (2024)
상위 행정구역 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구 일부
도평동, 불로·봉무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공산동

군위군 전역
군위읍,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삼국유사면
신설년도 2024년
이전 선거구 동구 을,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대식

1. 개요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clearfix]

1. 개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된 선거구.

2023년 7월 1일부로 군위군대구광역시편입됨에 따라 군위군이 접경 선거구인 동구 을에 편입되어 신설되었다. 지도 상으론 붙어있지만, 동구와 군위군 사이를 잇는 직통로가 없기에[1] 실질 월경지 선거구가 되었다.

이 지역구는 신서혁신도시, 율하지구, 이시아폴리스와 같은 신도시가 있어 3040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구이긴 하지만, 동시에 대구에서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군위군도 묶여있는 선거구다 보니 전체적으로 보면[2] 대구에서 가장 보수세가 강한 지역구와 TOP 2를 다투게 되었다.

다만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 바로 그 군위군에 예정되어 있기에 2030년부터는 대구의 하늘 관문이 될 예정이고[3], 해당 지역 근처에 신도시도 예정되어 있기에 보수세가 약해질 가능성이 높다.[4]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2.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군위군 을
동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공산동 + 군위군 일원[군위]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강대식(姜大植) 82,855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6.13% 당선
7 정은실(鄭恩實) 4,785 3위

[[자유통일당|
파일:자유통일당 로고타입.svg
]]
4.39% 낙선
8 황순규(黃淳奎)[6] 21,190 2위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9.47% 낙선
선거인 수 174,984 투표율
64.17%
투표 수 112,292
무효표 수 3,462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tablebgcolor=#fff,#191919> 22대 총선 대구 동구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국민의힘 진보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강대식 황순규
득표수
(득표율)
69,043
(74.16%)
19,833
(21.30%)
+ 49,210
(▼52.86)
62.69%
도평동 82.79% 12.88% ▼69.91 63.08
불로·봉무동 77.19% 18.66% ▼58.53 62.56
해안동 82.52% 12.88% ▼69.64 58.55
안심1동 75.39% 19.56% ▼55.73 59.38
안심2동 77.77% 17.84% ▼59.93 59.42
안심3동 68.12% 27.49% ▼40.63 62.98
안심4동 75.71% 20.13% ▼55.58 56.56
혁신동 63.17% 32.50% ▼30.67 59.86
공산동 78.31% 17.62% ▼60.69 62.61
후보 강대식 황순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71.96% 17.57% ▼54.39
관외사전투표 67.68% 27.07% ▼40.61
국외부재자투표 46.06% 47.27% △1.21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tablebgcolor=#fff,#191919> 22대 총선 대구 군위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국민의힘 진보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강대식 황순규
득표수
(득표율)
13,812
(87.79%)
1,357
(8.62%)
+ 12,455
(▼79.17)
74.69%
군위읍 87.51% 9.08% ▼78.43 67.89
소보면 90.14% 6.31% ▼83.83 70.19
효령면 89.19% 7.27% ▼82.87 72.90
부계면 87.12% 9.41% ▼77.71 74.66
우보면 89.82% 6.05% ▼83.77 75.07
의흥면 90.99% 6.91% ▼84.08 73.20
산성면 89.53% 5.03% ▼84.11[7] 76.78
삼국유사면 86.69% 8.49% ▼82.20 73.89
후보 강대식 황순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85.29% 8.82% ▼76.47
관외사전투표 83.47% 13.08% ▼70.39
국외부재자투표 19.04% 57.14% △38.10[8]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colbgcolor=#eee,#353535> 후보 강대식 황순규 격차
전체 68.5% 26.3% 42.2%p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인해 기존 동구 을 선거구가 동구·군위군 을로 변경되었다. 방촌동동구·군위군 갑으로 편입되었고, 군위군은 전부 동구 을로 편입되어 해당 선거구가 탄생하였다.

제20대 총선에서 출마를 시도하였으나 일명 '옥새 파동'으로 끝내 공천받지 못했던 이재만 전 동구청장이 이 지역구에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

공천 갈등이 예상되기도 했지만, 국민의힘 지도부에서 경선을 결정하면서 강대식 의원과 조명희 의원, 이재만 전 동구청장, 서호영 전 시의원, 우성진 당 중앙위 국민소통분과 부위원장이 경선을 치르게 되었다. 경선 결과 강대식 의원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이 지역구를 후보를 내지 않기로 하는 대신 진보당에 양보하기로 합의하였고, 진보당에서 황순규 대구시당위원장을 공천하면서 범야당 대표로 나서게 되었다.

선거기간 내내 진보당 지지율이 아예 나오지 않을 정도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식 토론회가 결국 무산되었다.[9] 당시 상대후보인 강대식 후보의 동의하에 열릴 수는 있었지만, 끝내 동의를 안 해줬다고 한다. #

예상대로 국민의힘 현역 강대식 후보가 압도적 표차로 당선되었으며, 군위군인 경우는 무려 87.79%를 받는 기염을 토했다.[10] 야권단일후보로 나선 진보당 황순규 후보는 선거비전액을 보전하는 득표율을 넘었으나, 군위군에서 8.26%를 받는데 그쳐서[11] 20%를 넘지 못한 것이 아쉽게 되었다.

참고로 자유통일당 후보의 표까지 합산하면 범보수계열이 80.52%라는 어마어마한 득표율을 얻었으며, 군위군인 경우는 91.36%를 받으며 이 지역의 보수세를 제대로 증명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참고로 군위군에서 직통으로 갈 수 있는 자치구는 아래 지역인 동구가 아니라 급행9로 연결된 북구다.[2] 군위군이 동구 지역의 1/7 정도고, 선거투표수까지 가능하면 1/6 정도다.[3] 물론 육상 관문은 동대구역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이 있는 옆 지역구다.[4] 참고로 이런 사유로 보수세가 약해진 지역구가 바로 부산 강서구 지역구인데, 실제로 명지국제도시는 김해공항 부근에 있다.[군위] 군위읍,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삼국유사면[6] 진보당, 더불어민주당, 새진보연합 단일 후보[7] 2위는 자유통일당 정은실 후보이다.[8] 2위는 자유통일당 정은실 후보이다.[9] 당연할 수밖에 없는데 이 지역구가 전국에서 보수초강세로 불리는 군위군이 편입된 만큼 진보당이 여기에 후보로 나온다는 자체가 전혀 상상이 안 되기 때문이다. 어쨌든 진보당 입장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대신 희생한거나 마찬가지. 역으로 뒤집자면, 전라남도 농촌 지역구에 자유통일당 후보가 나오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10] 이 지역구의 현역 의원인 강대식 후보가 이 정도의 어마어마한 득표율을 얻을 수 있게 된 것도 진보당 여기에 나온 덕분이다. 반대로 말하자면 더불어민주당이 여기에 후보로 나왔다면 아마 80% 초반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11] 사실 군위군은 농촌 지역 + 대구에서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 + 인구 감소 지역이란 민주당 입장에서도 최악의 사지라고 봐도 무방한데, 민주당보다도 더 진보 성향인 진보당 후보가 출마했기에 선거비 반액보전을 받을 수 있는 10%를 넘지 못한 건 당연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