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dfdfdf,#202020> 고대 | ||
슬라브족 | |||
폴란족 | |||
중세 ~ 근세 | 폴란드 영지 | ||
폴란드 왕국 피아스트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몽골의 침입 | |||
폴란드-리투아니아 (제1공화국) | |||
근대 | 독일령 | 오스트리아령 | 러시아령 |
바르샤바 공국 | |||
,독일령, 포젠 | 크라쿠프 자유시 | ,러시아령, 폴란드 입헌왕국 프리비슬린스키 지방 | |
,오스트리아령, 크라쿠프 대공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 |||
폴란드 섭정왕국 | |||
제2공화국 | |||
현대 | 제2공화국 망명정부 | 나치 독일령 폴란드 지하국 | 소련령 |
제2공화국 임시정부 | |||
폴란드 인민공화국 | |||
제3공화국 |
독립적이며 완전히 중립적인 크라쿠프 자유시 Wolne, Niepodległe i Ściśle Neutralne Miasto Kraków i jego Okręg | |||||
| |||||
| | ||||
국기 | 국장 | ||||
크라쿠프 자유시의 위치 | |||||
1815 ~ 1846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바르샤바 공국 | 크라쿠프 대공국 | ||||
위치 | 동유럽 | ||||
수도 | 크라쿠프 | ||||
정치 체제 | 공화제 | ||||
국가 원수 | 원로원장 | ||||
민족 | 폴란드인 | ||||
언어 | 폴란드어 등 | ||||
종교 | 로마 가톨릭 | ||||
인구 | 95,000명 (1815) 146,000명 (1843) | ||||
통화 | 즈워티 | ||||
주요 사건 | 1815년 설립 1830-1831년 11월 봉기[1] 1846년 2월 봉기 1846년 멸망 | ||||
현재 국가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
1. 개요
[clearfix]
1. 개요
19세기 폴란드 크라쿠프 지역에 존재한 도시국가이다.총면적은 1164㎢에 불과하고 인구는 1843년 기준 146,000명 밖에 안 되어서 자유시로 불리며 사실상 폴란드-리투아니아가 남긴 최후의 불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때 강성했던 국가의 마지막 잔존국이라는 점에서는 동로마 제국의 계승국인 트라페준타 제국의 제후국 테오도로 공국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바르샤바 공국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적극 지지하는 속국이었는데, 러시아 원정으로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빈 회의의 결정에 따라 도로 폴란드 분할이 일어나고 말았다. 바르샤바 인근은 폴란드 입헌왕국이란 이름 하에 러시아 제국과 동군연합으로 묶이고, 크라쿠프와 그 일대만이 독립하였다.
그런데 1830년에서 1831년까지 11월 봉기로 자유시는 일시적으로 무너졌다. 봉기 실패 이후 1846년에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이자 오스트리아 제국의 군주가 군주를 겸하는 동군연합인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령에 속한 크라쿠프 대공국에 병합되며 멸망했다.
[clearfix]
[1] 1830년 11월에 봉기가 일어나서 1831년 10월에 진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