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9:53:39

도스톤벡 캄다모프


파일: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로고.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5 시즌 스쿼드
1 셰브첸코 · 2 아스카로프 · 4 압둘라예프 · 5 함랄리예프 · 7 알리조노프 · 8 홀마토프 · 9 이브로키모프
11 콜도르코노브 · 12 나자로프 · 15 오르틱보예프 · 16 오딜로프 · 17 캄다모프 · 18 사이드누룰라예프 · 19 조나탄 · 22 아드캄조다 · 23 부리예프
24 토도로프 · 27 사비르크호드제프 · 31 우스모노프 · 33 압두노포프 · 35 파블류첸코 · 37 세르게예프
40 머크 · 43 만수로프 · 45 레산 · 47 요나단 · 50 플라마리옹 · 55 압두마지도프 · 77 사이토프 · 99 코시모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페드루 모레이라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도스톤벡 캄다모프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베스트팀
}}} ||
파일:캄다모프 24-25.png
<colcolor=#393084>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No. 17
도스톤벡 캄다모프
Dostonbek Khamdamov | Достонбек Ҳамдaмов
<colbgcolor=#fff000> 본명 도스톤벡 쿠르시드 오글리 캄다모프
Dostonbek Xurshid o'g'li Hamdamov
출생 1993년 4월 30일 ([age(1993-04-30)]세)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즈베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즈베키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0cm
포지션 윙어
주발 오른발 (양발)
소속 <colbgcolor=#fff000><colcolor=#393084> 유스 FC 부뇨드코르 (2014~2015)
프로 FC 부뇨드코르 (2015~2018)
FC 안지 마하치칼라 (2018~2019)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19~2021)
알 나스르 SC (2021)
하타 클럽 (2021 / 임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1~)
알 사일리야 SC (2021~2022 / 임대)
국가대표 34경기 5골 (우즈베키스탄 / 2016~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1. 개요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스톤벡 캄다모프/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스톤벡 캄다모프/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스톤벡 캄다모프/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한때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 에서 에이스로 맹활약 하였는데 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에서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2도움을 기록하여 대한민국 U-23 대표팀을 준결승에서 탈락시키는 아픔을 선사했던 선수로 알려져있다.

2016년 6월 7일 캐나다와의 친선경기에서 성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2020년 11월 20일 러시아와의 친선경기를 끝으로 더이상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지 않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우즈베키스탄에서 기대하던 최대 유망주였다.

캄다모프의 장점이라면 뛰어난 드리블 그중에서도 전진 드리블을 최대 장점으로 가지고 있던 선수이며 사이드를 마구 뒤흔드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득점력도 갖추고 있어 언제든지 중거리 슛을 날릴수 있는 선수이다.
접기 능력도 좋아서 부뇨드코르 시절에는 접기후 중거리 슛으로 득점한 적도 있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 AFC 아시아 올해의 유스 선수: 2015

6. 같이 보기

파일: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생년월일 출장 득점 클럽
GK 압두보히드 네마토프
(Abduvohid Nematov)
2001년 3월 20일 7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나사프 카르시
보티랄리 에르가셰프
(Botirali Ergashev)
1995년 6월 23일 2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네프치 페르가나
블라디미르 나자로프
(Vladimir Nazarov)
2002년 6월 8일 0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DF 압두코디르 후사노프
(Abdukodir Khusanov)
2004년 2월 29일 2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호지아크바르 알리조노프
(Khojiakbar Alijonov)
1997년 4월 19일 42 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파루흐 사이피예프
(Farrukh Sayfiev)
1991년 1월 17일 61 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네프치 페르가나
셰르조드 나스룰라예프
(Sherzod Nasrullaev)
1998년 7월 23일 26 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나사프 카르시
알리벡 다보노프
(Alibek Davronov)
2002년 12월 28일 0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나사프 카르시
루스탐 아슐마토프
(Rustam Ashurmatov)
1997년 7월 29일 23 0 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후스니딘 알리쿨로프
(Husniddin Aliqulov)
1999년 4월 4일 30 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딜쇼드 코밀로프
(Dilshod Komilov)
1999년 5월 16일 0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키질쿰 자라프샨
무함마드코디르 캄랄리예프
Mukhammadkodir Khamraliev
2001년 7월 6일 1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알리벡 다브로노프
(Alibek Davronov)
2002년 12월 28일 3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나사프 카르시
딜쇼드 사이토프
(Dilshod Saitov)
1999년 2월 2일 7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MF 아크말 모즈고보이
(Akmal Mozgovoy)
2000년 4월 2일 8 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바니야스 SC
호지마트 에르키노프
(Khojimat Erkinov)
2001년 5월 29일 35 5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잠시드 이스칸데로프
(Jamshid Iskanderov)
1993년 10월 16일 37 4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네프치 페르가나
오딜존 함로베코프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33 0 파일:이란 국기.svg 트락토르 SC
압두라우프 부리예프
(Abdurauf Buriev)
2002년 7월 20일 3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우마랄리 라흐모날리예프
(Umarali Rakhmonaliev)
2003년 8월 18일 0 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사바흐 FK
아보스벡 파이줄라예프
(Abbosbek Fayzullaev)
2003년 10월 3일 27 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오스톤 우루노프
(Oston Urunov)
2000년 12월 19일 33 8 파일:이란 국기.svg 페르세폴리스 FC
오타벡 슈쿠로프
(Otabek Shukurov)
1996년 6월 22일 77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파이하 FC
아지존 가니예프
(Azizjon Ganiev)
1998년 2월 22일 15 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바타에 클럽
FW 엘도르 쇼무로도프
(Eldor Shomurodov)
1995년 6월 29일 82 4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이고르 세르게예프
(Igor Sergeyev)
1993년 4월 30일 74 2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알리셰르 오딜로프
(Alisher Odilov)
2001년 7월 15일 0 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PFC 나브바호르 나망간
일정 친선 경기 2025년 10월 9일 중립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25년 10월 13일 중립 [[우루과이|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 우루과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4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