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2:56:53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

파일:dnf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10101><colcolor=#ffffff> 기본정보
캐릭터
설정
전문직업
아이템
기타
}}}}}}}}} ||


1. 개요2. 장비
2.1. 세트 옵션2.2. 흑아 세트 장비2.3. 일반 장비2.4. 고유 장비2.5. 유일 장비
3. 무기
3.1. 일반 무기3.2. 레거시 무기
4. 융합석

1. 개요

던전앤파이터의 115레벨 장비 아이템에 대해 서술한 문서.

2025년 1월 9일 중천 시즌으로 인해 장비 시스템 자체가 크게 개편되었다. 시즌 8~9 동안은 사실상 노랑 마봉 급으로 수급이 쉬운 에픽 장비를 중심으로 에픽 장비 세팅이 중심이 되었으나[1] 중천 시즌은 레어부터 차근차근 올라가는 구조가 되었다.

115레벨을 달성 시 레어 세트가 지급된다.

2. 장비

115제 방어구(상의, 하의, 머리어깨, 벨트, 신발), 악세서리(목걸이, 반지, 팔찌), 특수장비(보조장비, 마법석, 귀걸이)는 총 12종의 세트 옵션을 가진다. 그리고 그에 따른 세트 포인트도 가지고 있다. 장비들을 장착하다 보면, 세트 포인트가 쑥쑥 올라가며 이에 따라 세트 옵션의 레어리티도 올라가고, 이 경우 세트 옵션이 강화된다.

장비를 해체하면 무기고에 들어가게 되며, 무기고에서는 보유 중인 장비의 세트 포인트와 옵션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착용중인 장비를 무기고 내의 장비로 일괄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마부, 증폭, 융합석들도 모조리 이관된다.

하위 단계 장비는 조율 과정을 통해 세트 포인트가 증가하고, 3단계 조율 시 다음 레어리티로 승급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에픽 장비까지 차근차근 올라가는 것이 시즌 10의 파밍 방향. 다만 태초 장비로는 승급하지 못하는데, 향후 시스템과 콘텐츠에 맞춰 승급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 그 전까지는 종말의 숭배자를 위시로 하는 지옥파티 파밍을 돌릴 수밖에 없다.

2.1. 세트 옵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
,
,
,
,
,


파일:dnf_logo.png
던전앤파이터의 115레벨 세트 옵션

||<nopad>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고대 전장의 발키리|
파일:고대 전장의 발키리.png
고대 전장의 발키리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그림자에 숨은 죽음|
파일:그림자에 숨은 죽음.png
그림자에 숨은 죽음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마력의 영역|
파일:마력의 영역.png
마력의 영역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무리 사냥의 길잡이|
파일:무리 사냥의 길잡이.png
무리 사냥의 길잡이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세렌디피티|
파일:세렌디피티.png
세렌디피티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소울 페어리|
파일:소울 페어리.png
소울 페어리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압도적인 자연|
파일:압도적인 자연.png
압도적인 자연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에테리얼 오브 아츠|
파일:에테리얼 오브 아츠.png
에테리얼 오브 아츠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영원히 이어지는 황금향|
파일:영원히 이어지는 황금향.png
영원히 이어지는 황금향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용투장의 난|
파일:용투장의 난.png
용투장의 난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칠흑의 정화|
파일:칠흑의 정화.png
칠흑의 정화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한계를 넘어선 에너지|
파일:한계를 넘어선 에너지.png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
]]
||

2.2. 흑아 세트 장비

흑아 장비는 일반적인 세트 장비에 흑아 변환서를 발라서 만들 수 있다. 특징으로 일반 세트 장비보다 세트 포인트가 50 낮고, 명성이 100, 최종 데미지가 3% 더 높으며 에픽 이상 등급의 목걸이, 팔찌, 반지에만 부여할 수 있다. 조율이나 같은 세트 내 상위 레어리티 장비 일부 착용 등으로 세트 포인트가 현재 등급 기준으론 남아돌고 다음 등급으로 넘어가기는 애매한 상태에서 잉여 세트포인트를 대신할 스펙업으로 쓸 수 있다.

2.3. 일반 장비

115레벨을 달성하면 주어지는 장비. 세트 포인트를 광범위하게 제공하는 레어 장비로, 조율과 승급을 통해 원하는 세트 장비로 승급할 수 있다.

2.4. 고유 장비

고유 장비는 세트 장비에 비해 최종 데미지가 약 2.9% 낮은 대신 레어 장비처럼 공통 세트 포인트를 제공하는 장비이며, 레어리티에 따른 세트 포인트 또한 일반 세트 장비와 동일한 (115 - 레어/165 - 유니크/215 - 에픽)이다. 즉, 어떤 세트 장비와 같이 껴도 해당 세트의 세트 포인트를 올려준다. 대신 장비 변환이 불가능하고 조율과 승급을 하지 못하므로 기본적으로는 목표 세트 부위를 전부 마련하지 못했을 때 땜빵으로 쓰는 장비다.

다만 각 고유 장비에는 추가 유틸리티가 붙어 있어 몇몇 부위는 데미지 감소를 감안하고 채용할 가치가 있고, 또한 버프력은 전혀 손해보지 않으므로 버퍼의 경우에도 유틸을 보고 취사 선택하면 된다.

악세사리 부위의 고유 장비는 태초 등급의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다.

머리어깨-공격속도/캐스트속도 +0%[2], 공격 시 (100/200/400)px 내의 적을 모아주는 안개 구슬 생성(쿨타임 10초)
상의-피해 감소 (10/15/20)%
하의-1초 동안 대시 유지시 (0.3/0.5/1)초 동안 무적시간 부여
벨트-백스탭 강화 쿨타임 -(3/5/10)초
신발-이동 속도 +(24/29/29)%[3], 모든 속도 +(20/30/50)%
팔찌-특수 오브젝트 데미지 (3/6/10)% 증가
목걸이- Hp Max 수치의 (10/20/30)% 보호막 부여, Hp 회복 시 해당 수치의 (10/30/50)%만큼 보호막 회복
반지-퀵 스탠딩 앉아있을 때 최대 무적 시간 +(0.3/0.5/1)초
보조장비-없음[4]
귀걸이-스킬 범위 + (10/20/30)%
마법석-동급 세트 장비 대비 최종 데미지 감소율 약 7.3%, 스킬 쿨타임 감소 +25%[5]

눈여겨 볼 부위는 신발과 마법석으로, 신발은 에픽 기준 이동 속도 증가량은 15% 낮지만 모든 속도가 최대 50% 붙어 있다. 즉, 최종뎀 2.9%를 대가로 공캐속 50%와 이동 속도 35%를 얻으며, 마법석은 2.9%가 아닌 7.3% 정도의 최종 데미지 차이를 가지고 있어 타 고유 장비에 비해 데미지가 약 5.5% 정도 더 약해지지만, 그 대신 쿨타임 감소 수치가 15%에서 25%로 증가해 11.7%의 쿨타임 감소를 추가로 얻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반대로 반드시 피해야 할 부위는 머리어깨로, 아무 효과도 없는 보조장비도 적어도 최종 데미지 감소 외의 페널티는 없어서 정 세트 포인트가 급하면 써볼법하지만 머리어깨는 최종 데미지 감소가 붙어있는 건 물론이고 별 쓸모없는 좁은 범위의 몹몰이 오브젝트를 대가로 세트 장비에 붙어있는 공캐속이 모두 없어져서 굼벵이가 된다.

2.5. 유일 장비

유일 장비는 중천의 최종 장비로서, 세트 포인트가 없지만 그것을 커버할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베누스 레기온의 "우아한 기품의 향수"가 최초의 유일 장비로, 레이드 등의 보상으로서 제공된다. 가능한 세트 옵션을 전부 마련한 사람들이 사용하게 될 것이다.

3. 무기

무기에는 세트 효과와 세트 포인트가 없다. 물론 조율과 승급 기능은 이용할 수 있고, 조율 시 명성, 최종 데미지(버프력)가 직접적으로 증가한다. 이쪽도 조율과 승급 기능을 통해 에픽 무기까지 승급하는 것이 파밍의 기초 방향성. 전 시즌의 최종 무기인 안개신 무기를 태초 및 115레벨 업그레이드까지 하면 중천 무기의 레전더리 2~3조율 무기와 동일한 성능을 지닌다.

105레벨 시즌 개시를 통해 근원을 삼킨 무기와 결전의 무기가 추가되었듯, 이쪽은 일반 무기와 레거시 무기가 추가되었다. 동일 시기에 마스터리가 개편되어 각 직업들이 다양한 무기를 채용할 수 있도록 바뀌었으므로, 무기 타입에 구애받지 않고 옵션을 보고 장비를 채용하면 되겠다.

아래 예시는 모두 대검이다.

3.1. 일반 무기

파일:전설 속의 전승 - 대검(던파).png
전설 속의 전승 - 대검
최상급(100%)
4kg


내구도 48/48
레전더리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
대검
25,920 골드
모험가 명성 4500
물리 공격력 1609
마법 공격력 1208
독립 공격력 853
힘 88
최종 데미지 209.0% 증가
물리퍼센트스킬 MP+20% 쿨타임+5%
마법퍼센트스킬 MP-10%
공격력 증가 +8636.0%
공격속도 -8%
파일:서사시의 영웅담 - 대검(던파).png
서사시의 영웅담 - 대검
최상급(100%)
4kg


내구도 48/48
에픽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
대검
38,720 골드
모험가 명성 5150
물리 공격력 1683
마법 공격력 1262
독립 공격력 909
힘 92
최종 데미지 281.0% 증가
물리퍼센트스킬 MP+20% 쿨타임+5%
마법퍼센트스킬 MP-10%
공격력 증가 +14667.0%
공격속도 -8%
파일:태초의 별 - 대검(던파).png
태초의 별 - 대검
최상급(100%)
4kg


내구도 48/48
태초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
대검
43,920 골드
모험가 명성 5700
물리 공격력 1757
마법 공격력 1318
독립 공격력 970
힘 96
최종 데미지 350.0% 증가
물리퍼센트스킬 MP+20% 쿨타임+5%
마법퍼센트스킬 MP-10%
공격력 증가 +21891.0%
공격속도 -8%

최종 데미지와 버프력만을 부여하는 무기. 시즌 8의 기본 무기였던 근원을 삼킨 무기를 잇는 무기인데, 스킬 레벨이라도 올려줬던 근원보다도 더 간단한 옵션을 가지고 있다. 대신 주는 최종 데미지량 자체는 추가 효과가 붙은 레거시 무기보다 높다.

시즌 10의 파밍 구조가 그렇듯 이쪽도 계단식으로 성장해나간다. 작명 방식은 각 아이템 등급의 이름에서 따온 듯.
  • 레어 : 백에 하나 나온다는
  • 유니크 : 유일무이한
  • 레전더리 : 전설 속의 전승
  • 에픽 : 서사시의 영웅담
  • 태초 : 태초의 별

3.2. 레거시 무기

구세대 무기를 모티브로 어레인지된 무기이며, 착용한 모습 또한 모티브가 된 무기의 팔레트 스왑이다. 일반 무기와 비교하면 이하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 1. 레전더리 등급 이상부터 존재한다. 즉, 유니크 이하 등급이 존재하지 않는다.
  • 2. 직업과 타입을 가리지 않고 동일한 옵션인 일반 무기와 달리 무기별로 부가 효과가 붙어 있고, 이로 인해 최종 데미지 증가량이 각기 다르지만 대부분은 일반 무기보다 높은 수치가 책정되어 있다.[6]
  • 3. 데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물리/마법 공격력과 힘/지능 수치가 가장 높은 무기군의 공격력, 스탯과 동일한 스펙을 보유한다.[7] 또한, 스킬 쿨타임 증감 및 MP 소모량 증감 물리/마법 크리티컬 히트, 공격/캐스팅/이동 속도 등의 해당 무기군에 붙는 추가 스탯도 붙어있지 않다. 쉽게 말하면 레거시 무기는 직업군, 무기군을 가리지 않고 모든 무기의 공격력과 스탯 수치가 같다는 뜻이다. 심지어 원래 무기군에서는 붙지 않는 스탯도 붙는다.[8] 버퍼 역시 버퍼 전용 옵션이 무기군을 가리지 않고 부여되기 때문에 굳이 십자가/빗자루/선현궁이 아닌 다른 종류의 무기라도 습득했을 경우 바로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레거시 무기가 가지는 2번, 3번의 특성 때문에 직업을 가리지 않고 레거시 무기가 일반 무기보다 월등한 성능을 자랑하며, 그렇기에 시즌 10의 진정한 종결 무기로써의 입지를 가지고 있다.

각 무기가 모티브로 삼은 구세대 무기는 다음과 같다.

여담으로 아처의 경우 각 레거시 무기의 옵션이 최종 데미지 증가 or 쿨타임 감소 버프를 취사선택 할 수 있는 모드 변환 옵션으로 전부 동일하다.[9] 성능과 별개로 다소 무성의하게 보이나 아처 직업군이 전부 전용 무기만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형평성을 위해 이런 식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4. 융합석

중천의 융합석은 시스템 자체는 전 시즌과 동일하다. 다만 서고 융합석과 달리 각인 기능을 쓸 수는 없게 될 예정. 2025년 2월 6일 업데이트 예정인 베누스 레기온에서 방어구 융합석이 나오는 것으로 확인된 상태이다.


[1] 때문에 시즌8~9는 아이템 티어를 나누는 데에도 엄청난 불편을 겪었다. 실패한 시스템으로 인정한 장비 성장 시스템 뿐 아니라, 커스텀 에픽, 각종 융합 시스템과 선 장비 업그레이드(105→110) 시스템, 보조 특성 등 장비 관련 시스템이 지나치게 난잡해 던파를 초창기부터 즐겨온 유저들조차 헤메는 경우가 많았으며 박종민 디렉터의 발언에 따르면 실제로 해당 시즌의 유저들의 대거 이탈이 있었다고 한다.[2] 동급 세트 장비(35%/40%/40%) 대비 (-35/40/40)%. 유일하게 세트 장비에 붙어있는 유틸 옵션이 없어지는 부위이다.[3] 동급 세트 장비(39%/44%/44%) 대비 -15%[4] 유일하게 부가효과 없이 최종 데미지만 감소하는 부위다.[5] 동급 세트 장비(전 구간 15%) 대비 +10%p[6] 일반 무기보다 최종 데미지 증가량이 낮은 무기는 쿨타임 감소, 고위력의 오브젝트 발동 효과가 붙어 있는 경우이다.[7] 귀검사 무기군을 예시로 들자면, 각각의 무기들이 가지는 가장 높은 수치인 대검의 물리 공격력, 소검의 마법 공격력, 둔기의 힘, 도의 지능을 예외 없이 5개 무기 전부가 가진다는 것이다.[8] 예시로 광검, 권투글러브는 지능이, 빗자루, 차크라 웨펀은 힘이 붙는다. 사용 가능 스킬의 필요로 특정 직군밖에 사용하지 못함에도 말이다.[9] 딜러 직업군의 경우 던전 진입 시 초기 상태가 최종뎀 증가, 버퍼인 뮤즈의 선현궁은 쿨타임 감소로 적용된다. 전환 쿨타임은 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