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터미널 | <colbgcolor=#fff,#191919> 대전복합 · 유성고속 · 대전서남부 · |
정류소 | 둔산고속 · 도룡동 · 도마동 · 건양대병원 · 유성시외T · 둔산시외 · 신흥동 · 부사동 · 북대전 · 자운대 · 신탄진역 · |
* 굵은 글씨: 고속버스 정차, * 취소선: 건설/계획중, * T: 임시정류소 | |
1. 개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634(도룡동 401-2)에 있는 고속/시외버스 간이 버스 정류장. 북대전IC 남쪽에 있고, 코버스 터미널 코드는 307번이다.2. 규모
길가에 지어 놓은 고속/시외버스 간이 정류소인데, 둔산고속버스정류장보다 더 많이 초라하다.음료(매점) 및 화장실 모두 정류장에서 바로 해결할 수 없다. 미리 정류장 남쪽의 도룡동 상가에서 해결하거나 하기의 내용을 참고.
- 정류장에 시설이라고는 매표소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박스와 승객 대기용 캐노피, 벤치 2개가 전부. 2022년 1월부로 키오스크를 설치하면서 카드로만 표를 구매할 수 있고, 매점은 미운영 중이다. 음료 등이 필요하다면 걸어서 5분 거리 내외인 인근 LG사원아파트에 GS25가 있다. 편의점 경로상의 삼거리 신호등이 신호간격이 긴 편이므로 유의.
- 화장실의 경우 차도 방향을 따라 150m 위로 걸어올라가면 화봉산 산책로 입구 옆의 공중화장실이 있다. 혹은 인근 카페 등의 상가 화장실을 이용해야한다.
- 안내방송용 스피커가 있지만, 방송은 나오지도 않고 알아서 타야 한다. 티머니GO 앱을 통해 도룡 출발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둔산고속버스정류장(대전청사) 출발 + 9분으로 표기되어있다.[1] 교통 상황에 따라 출발시각보다 늦게 도착하는 경우도 있다.
3. 노선
서울 ↔ 대전청사 고속버스 노선, 인천국제공항4. 예약
- 고속버스모바일 앱 또는 티머니GO에서 예약 및 좌석 선택
- 공항버스는 추가로 전화예약 후 탑승 전 결제가 가능하다.
5. 교통편
- 도시철도
가까운 역이 없으며, 정부청사역에 내려서 아래의 가까운 시내버스로 환승한다. - 시내버스
근처 정류장에 내려서 걸어오는 수밖에 없다. 자세한 경로는 지도 앱을 쓰자. 그나마 가까운 버스정류장을 지나는 노선 목록은 아래와 같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bgcolor=#3d5bab> 간선 || ||
지선 | |
마을 | |
광역 |
- 승용차
도보 약 5분 거리에 큼지막한 공영주차장이 있다. 공휴일엔 무료로 개방되지만 기본적으로 유료로 운영된다. 정류소에서 권장하는 공식 주차장은 전민동 가는 터널 바로 앞 우성이산 입구에 있는 무료 공터. 하지만 평일 낮을 제외하곤 인근 주민 및 대덕고 차량 때문에 주차가 매우 힘들다. 특히 장기주차는 비추.
- 택시
하차장 부근에 택시가 잘 머무르지 않으니, 택시 잡기가 힘들 수 있다.
심지어 야간(특히 23시 이후)에는 5분 이상 걸어서 도룡동 우체국까지 가야 할 수도 있다.
내려서 콜을 부르거나, 아예 종점인 대전청사에서 하차하는 게 그나마 택시타기에 편할 수 있다.
6. 역사
- 정류장과 그 부근의 역사
대덕연구단지 권역 및 관평동/전민동의 고속버스 접근성 개선을 위해 개설되었으며 1998년 9월 1일부터 영업을 시작했다.
옆에는 롯데호텔 대전(대덕)점[2]이 위치하였다가, 2003년 폐업 후 목원대학교 대덕문화센터(舊 대덕과학문화센터)가 들어섰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약 20년간 폐건물로 방치되어 있었다. 이후 2025년 초 건물을 철거하고 도룡 자이아파트 건설에 들어갔다.
- 노선의 변천사
초창기에는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행 버스만 중간 경유[3] 하다가, 이후 고속버스 중간 승하차장으로 인가를 받아서 2015년 12월 1일부터 대전청사발 서울경부행 노선의 중간 승하차를 취급하고 있다. 동일 날짜에 유성에서 출발하는 서울호남행의 중간 승하차 또한 개시했으나, 2017년 4월 14일 부로 서울호남 노선을 폐지함과 동시에 서울 ↔ 대전청사 노선으로 통합되며 증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