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20:59:26

당수(유희왕)


1. 개요2. 설명3.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파일:KarateMan-DM4-JP-VG.png
한글판 명칭 당수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カラテマン
영어판 명칭 Karate Man
일반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흙마족 전사족 1000 1000
강철의 주먹을 가져서 기와는 10000장이나 깰 수가 있다. (DM4)
강철의 주먹을 가져서, 기와를 10000장이나 깰 수가 있다고! (DM7, 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card10004317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당수,
일어판명칭=カラテマン,
영어판명칭=Karate Man,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원래 공격력을 배로 한 수치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를 사용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다.)]
에라타(2014.07.10)
誤 : [텍스트] 엔드 페이즈시까지
正 : [텍스트]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원래 공격력의 배로 하는 기동 효과, 효과를 사용한 턴 종료시에 자괴하는 강제 발동 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역병 늑대전사족 버전으로, 자체 효과로 공격력 2000이 된다. 등장 당시 환경에서는 공격력 2000을 찍는 하급 어태커들이 하나같이 디메리트를 달고 있었으니 충분히 투입해볼 만한 수준이었으나, 같은 공격력을 가진 하급 어태커들이 즐비한 현 시점에서는 전혀 내세울 거리가 못 된다. 자괴 효과를 역이용해서 자신 필드에 몬스터를 남기지 않는다는 점을 따져 봐도 같은 전사족이자 메리트 효과도 있는 코아키메일 베르그자크가 존재한다.

스피드 워리어와 마찬가지로 진화하는 인류로 원래 공격력을 2400으로 만들면 자기 효과로 공격력 4800을 찍을 수 있다. 스피드 워리어와 더불어 증원으로 서치해 올 수도 있고, 파괴 효과도 콤보로 써볼 수는 있겠지만, 전사족 서포트를 쓰지 않는다면 똑같은 효과가 있고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에도 대응하는 역병 늑대가 메리트는 더 많다. 무엇보다 증원으로 서치해 올 만한 전사족 하급은 대체로 전투에 직접 나서기보다 전개 축으로 이용되는 케이스가 많다 보니 전투 한 번 나서면 끝인 이 카드에게 그 정도 서포트를 써 줄 여유는 없다.

결국 기껏해야 낮은 레벨을 활용해 그레비티 바인드레벨 제한 B구역을 돌파하거나, 높은 전투 데미지를 주기 위해 활용해야 하지만 저 카드들도 엑시즈 소환의 등장으로 채용률이 급락해버려서 그 용도로도 쓰기 힘들다.

유희왕 5D's에서는 타카스에게 덱 파괴를 당하기는 했지만, 후도 유세이가 죄수들에게 받은 덱에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딕 피터의 원래 덱에도 이 카드가 있었다. 국내 더빙판에선 딕 피터 전에 잠깐 나왔던 이 카드의 카드명이 정발명인 당수가 아니라 일본판 이름인 '가라테맨'이라 쓰여있었다.

유희왕 ARC-V 3화에서는 광고 표지판 그림으로 등장.

유희왕 VRAINS 66화에서 유사쿠 일행이 확인한 온라인 게시판 ID 중 하나가 '사일런트 당수 LV6'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듀얼 개시시 LP가 4000이라는 작은 수치로 시작하기 때문에, 이 카드와 보물로 가는 비밀통로, 섬광의 쌍검-트라이스를 조합되면 2000의 데미지를 두번씩이나 다이렉트 어택을 할 수 있어 그대로 원턴킬이 가능하다. 더군다나 카드들의 레어도도 낮아서 입수도 굉장히 쉬운편이고 덱의 최소요구 장수가 20장이라 다른 드로우 보조카드들과 조금만 조합해주면 손패로 모으기도 어렵지 않다. 덕분에 듀얼시 상대방이 후공으로 시작했을때 모든 키 카드들을 다 모으고 있으면 곧바로 원턴킬을 노려오는데 이 때 하나라도 대처하지 못한다면 그대로 게임이 터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대처법으로는 무효화 카드들이나 회복카드들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가장 간편한 방법은 라이프 부스트 스킬을 이용해서 듀얼시 최소 5000이상의 라이프포인트를 확보하고 시작하는 것. 하지만 콤보의 특성 상 공격 방해나 제거에는 약한 편이며, 어느 정도 카드풀이 넓어지며 환경이 변함에 따라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또한 인게임 이벤트 '이차원의 탑 -바람과 땅의 장-'에서는 도중에 상대하는 적으로 등장하며, '나의! 아프로는! 가발이 아냐! 주렁주렁하다! 호와타앗!'이라는 대사가 존재한다. 본인 왈 기술명은 '가라데 펀치(カラテパンチ)'. 일러스트 배경에 있는 '화조풍월'의 의미는 모른다는 모양이다.

해당 이벤트의 NPC로도 출현해서 위에 소개한 섬광의 쌍검-트라이스보물로 가는 비밀통로를 이용하는 콤보에 대해서 이야기하며 원턴킬을 해보라고 한다. 또한 에너미 컨트롤러는 반칙이 아니냐고 말한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0-07-13 |
[[일본|]][[틀:국기|]][[틀:국기|]] PS-32 | Pharaoh's Servant - ファラオのしもべ -
2001-10-25 |
[[일본|]][[틀:국기|]][[틀:국기|]] JY-17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城之内編
2002-06-20 |
[[일본|]][[틀:국기|]][[틀:국기|]] DL1-067 | DUELIST LEGACY Volume 1
2004-06-24 |
[[일본|]][[틀:국기|]][[틀:국기|]] BE1-JP049 | BEGINNER'S EDITION 1
2011-05-14 |
[[일본|]][[틀:국기|]][[틀:국기|]] BE01-JP044 | BEGINNER'S EDITION 1 [ 2011 ]
2002-09-16 |
[[미국|]][[틀:국기|]][[틀:국기|]] MRL-083 | SPELL RULER
2003-03-30 |
[[미국|]][[틀:국기|]][[틀:국기|]] SDJ-013 | STARTER DECK JOEY
2003-10-01 |
[[미국|]][[틀:국기|]][[틀:국기|]] TP4-013 | TOURNAMENT PACK 4
2004-10-12 |
[[미국|]][[틀:국기|]][[틀:국기|]] DB1-EN049 | DARK BEGINNING 1
2023-04-21 |
[[미국|]][[틀:국기|]][[틀:국기|]] SRL-EN083 | SPELL RULER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4-05-07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RL-K083 | 마법의 지배자
2004-08-16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DJ-KR013 | 스타터 덱 - 조이 편 -
2006-04-1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BP1-KR049 | 비기너즈 팩 Vol.1

2.3. 기타

일어판 명칭은 가라테맨. 배경에 쓰인 '화조풍월(花鳥風月)'과 카드 본인의 이미지와의 갭이 퍽 인상적이다.

모티브는 영화 '용쟁호투'에 등장하는 파마머리의 흑인 가라데 유단자 윌리엄스로 추정. 낡은 함정의 카드 일러스트에서는 이 파마머리가 가발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 관련 카드

3.1. 역병 늑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