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화성 당성}}}에 대한 내용은 [[화성 당성]]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화성 당성#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화성 당성#|]]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화성 당성: }}}[[화성 당성]]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화성 당성#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화성 당성#|]]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당성 唐誠 | |
출생 | 1337년(충숙왕 복위 6) |
사망 | 1413년(태종 13) |
본관 | 밀양 당씨 |
1. 개요
여말선초의 관료로 밀양 당씨의 시조이다.2. 생애
원래 중국 절강의 명주[1] 사람이다. 원명교체기의 혼란을 피해 고려로 넘어와 정동행성의 연리가 되었다.정동행성이 혁파되자 사평순위부의 법무직인 평사(評事)가 되었는데, 여말선초의 정치적 혼란기에 동료 관료인 성석린이 휩쓸려 사형당할 위기에 처하자 법무직이었던 당성이 법조문을 싸들고 최영을 찾아가 죄목이 사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항의하다가, 최영이 듣지않자 법조문을 땅바닥에 던지면서 "도통(都統)[2]이 율문(律文)보다 먼저 났습니까?"라는 희대의 발언을 남겼다.[3] 운좋게도 이 모습이 오히려 최영의 호감을 사면서 이성계가 성석린을 구해내는 시간을 벌 수 있었고 본인도 처벌을 피할 수 있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호조, 예조, 형조, 공조의 전서를 거쳤다. 1395년(태조 3) 명나라의 형법 체계인 「대명률」을 이두로 해석하여 나온 「대명률직해」를 정도전과 함께 윤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1398년(태조 7) 호조 전서로 있던 중 노비 소송에서 패한 뒤 변정도감을 불정도감(不定都監)이라고 큰소리로 비꼬았다가, 이번에는 운이 그렇게 좋지 않았는지 파면되고 명예직인 검교직으로 밀려나면서 출세 코스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사대 외교에서 명나라와 교환하는 공문서를 다루는 데 있어 중국 출신인 당성을 대체할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조선 시대 외교 문서를 담당한 승문원(承文院)의 전신인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의 제조(提調)를 실직으로 받아 외교 문서를 총괄했다.
1401년(태종 1) 조선국왕의 명칭과 지위가 외교적으로 공인받자, 당성은 임금의 칭호가 권서국사(權署國事)에서 국왕으로 간단해졌으니 자기도 검교 두 글자를 떼어버리고 싶다고 능청스레 청했다. 태종은 그 말을 듣고 웃으면서 당성을 개성의 부유후(副留後)로 삼았다. 나중에 정종의 상왕부인 공안부(恭安府)의 윤(尹)이 된 후 은퇴했다. 당성이 죽자, 재상이 된 성석린이 예전에 목숨을 보전받은 은덕을 가지고 시를 지어 애도했다.
태종이 밀양을 본관으로 내려주면서 한국 밀양 당씨의 시조가 되었다.
3. 평가
당성의 언행은 전형적인 골계미를 보여준다. 비록 말재간을 지나치게 부리다가 멀쩡한 경력을 날리긴 했지만, 직선적이면서도 재치있는 그의 화법 덕분에 높은 사람들은 그를 싫어하지 않았고 동료의 목숨을 구하여 은덕을 빚지기도 했다.실무에서는 주로 법률과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외교 문서 작성에 있어서는 그를 대체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 문제가 될 정도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다. 덕분에 은퇴하고도 현직 관료 기준 녹봉을 지급받으며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