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중화권 | 이란 | |||||
| 이라크 | 시리아 | 카자흐스탄 | |||||||
| 유럽 · 아프리카 |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몰도바 | 독일 | 폴란드 | |||||
| 영국 | 튀르키예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아르메니아 | |||||
| 이집트 | |||||||||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 미국 | 캐나다 | 아르헨티나 | 뉴질랜드 | ||||||
| 다자관계 | |||||||||
|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 폴란드·벨라루스·우크라이나 |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 유럽연합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서아시아 |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홍콩 | 중화권 | ||
| 필리핀 | 인도 | 방글라데시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
| 이란 | ||||||
| 유럽 |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영국 | 네덜란드 | ||
| 아일랜드 | 독일 | 튀르키예 | ||||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
| 미국 | 캐나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오세아니아 | ||||||
| 호주 | 통가 | 사모아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
| 피지 | 쿡 제도 | |||||
| 다자관계 | ||||||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 | ||||
| | |
| 벨라루스 | 뉴질랜드 |
1. 개요
벨라루스와 뉴질랜드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뉴질랜드는 벨라루스와 사이가 좋지 못한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뉴질랜드는 파이브 아이즈에 속할 정도로 미국과 사이가 가까운 친미국가에 속하지만 벨라루스는 자국 내에 주벨라루스 러시아군이 존재할 정도로 러시아와 극도로 가깝고 이로 인해 러시아의 끝내주는 우방국에 속하며 친중, 친북, 반미, 반서방 성향까지 강한 유럽의 유일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친미, 친서방, 반러, 반중, 반북 성향인 뉴질랜드와는 정치적으로도 대립 관계에 있으며 벨라루스의 독재와 인권 탄압의 문제를 뉴질랜드에서 전부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거기다가 뉴질랜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부터 벨라루스를 경제제재하고 있다.2. 역사적 관계
뉴질랜드와 벨라루스와의 관계는 1992년 4월 9일에 수립되었다.2010년 11월 뉴질랜드의 존 키 총리는 뉴질랜드가 내년 초부터 러시아,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과도 FTA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그러나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2014년 FTA 협상이 중단되었다. (출저: 주뉴질랜드 대한민국 대사관, 외교부, 트레이드내비 - #, #, #, #)
2014년 4월 뉴질랜드 총리는 민스크를 방문했다.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 벨라루스인은 2020년 벨라루스 민주화 운동 당시 폭력을 저지른 벨라루스 정부를 비판했다.#
3. 상호 왕래, 대사관
뉴질랜드에 거주하거나 유학을 가는 벨라루스인들이 있으며, 뉴질랜드인들 중에도 벨라루스로 여행가는 사람들이 있는 편이다.대사관의 경우 뉴질랜드는 러시아 모스크바에 벨라루스 대사관을 겸임하고 있으며, 벨라루스는 일본 도쿄에 뉴질랜드 대사관을 겸임하고 있다. 뉴질랜드 웰링턴에는 벨라루스 영사관이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