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3 19:17:57

네마냐 비엘리차

네마냐 비엘리차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유로리그 역대 MVP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앤서니 파커 앤서니 파커 테오도로스 파팔루카스 라무나스 시스카우스카스
2008-09 2009-10 2010-11 2011-12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 밀로스 테오도시치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안드레이 키릴렌코
2012-13 2013-14 2014-15 2015-16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네마냐 비엘리차 난도 드 콜로
2016-17 2017-18 2018-19 2019-20
세르히오 율 루카 돈치치 얀 베슬리 코로나로 인한 취소
2020-21 2021-22 2022-23 2023-24
바실리예 미치치 니콜라 미로티치 사샤 베젠코프 마이크 제임스
2024-25 2025-26 2026-27 2027-28
켄드릭 넌 - - -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2985.gif
2022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유로리그 심볼.svg
2014-15
베스트팀
파일:유로리그 심볼.svg
2014-15
}}} ||
파일:1000071864.jpg
네마냐 비엘리차
Nemanja Bjelica / Немања Бјелица
출생 1988년 5월 9일 ([age(1988-05-09)]세)
유고슬라비아SFR 세르비아SR 베오그라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장 208cm (6' 10")
체중 106kg (234 Ibs)
포지션 파워 포워드
등번호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 - 8번
KK 츠르베나 즈베즈다 - 51번
사스키 바스코니아 - 44번
페네르바흐체 베코 - 8번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 88번[1], 8번 [2]
새크라멘토 킹스 - 88번[3], 8번[4]
마이애미 히트 - 70번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 8번
드래프트 2010 NBA 드래프트 2라운드 35순위
워싱턴 위저즈 지명
소속 팀 트라이스키르헨 라이온즈 (2007~2008)
K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08~2010)
사스키 바스코니아 (2010~2013)
페네르바흐체 베코 (2013~2015)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15~2018)
새크라멘토 킹스 (2018~2021)
마이애미 히트 (2021)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2021~2022)
페네르바흐체 베코 (2022~2023)
KK 츠르베나 즈베즈다 (2023)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2.2. 국가대표
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
4.1. 팀4.2. 개인
5. 여담

1. 개요

세르비아 국적의 전 농구선수로 포지션은 파워 포워드였다. 유로 리그에서 많은 족적을 남겼으며 국제 무대에서도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비엘리차는 KK 파르티잔 유소년 시스템에 합류하기 전에 Aca Janjić 농구학교에서 농구를 시작했다. 18세에 2007-08 시즌 오스트리아 리그의 Arkadia Traiskirchen Lions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해 26경기에서 평균 8.5점을 기록했다.

해외에서 한 시즌을 보낸 뒤 비엘리차는 세르비아 팀 크르베나 즈베즈다로 복귀해 수석 코치 스베티슬라브 페시치의 지도 아래 성공적인 두 시즌을 보냈다. 2008-09 시즌 동안 그는 1군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유로컵에서의 아웃사이드 슛으로 주목받았다. 이후 비엘리차는 선수로 성장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이유 중 하나로 페시치 코치를 꼽았다. 페시치 코치는 비엘리차에게 공을 맡기고, 6피트 10인치의 그를 주요 볼 핸들러로 기용하며 플레이메이커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첫 시즌에 신인왕을 수상했고 두 번째 시즌에 퍼스트 팀을 수상하며 리그 최고의 포워드로 안착했다

2010년 NBA 드래프트에서 전체 35순위로 워싱턴 위저즈에 지명되었다. 그의 드래프트 권리는 이후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로 트레이드되었다.
MIN get: F 라자르 헤이워드, F 네마냐 비엘리차
WAS get: F 트레이 부커, C 하마디 은디아예

2010년 8월 비엘리차는 스페인 클럽 사스키 바스코니아와 5년 계약을 체결했다. 첫 시즌에는 경기당 평균 9분만 소화하며 많은 출전 시간을 얻지 못했다. 두 번째 시즌에는 경기당 평균 4.8점을 기록했으며 필드골 성공률 56%, 3점슛 성공률 47%를 기록하며 경기당 평균 13분을 뛰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즌은 가장 성공적이었고, 그는 26경기에 출전해 경기당 평균 9.9점, 4.8리바운드, 1.3어시스트, 1스틸을 기록하며 필드골 성공률 46%를 남겼다.

2013년 7월 22일, 비엘리차는 유럽 최고의 감독 중 한 명인 젤코 오브라도비치가 이끄는 터키 팀 페네르바흐체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NBA로 가지 않은 주된 이유로 오브라도비치를 꼽았다. 2013-14 시즌에 그는 즉시 페네르바흐체의 핵심 선수 중 한 명으로 자리 잡았고, 유로리그 24경기에 출전해 경기당 평균 10.4득점, 6.1리바운드, 2.2어시스트, 1.6스틸이라는 커리어 최고 기록을 남겼다.

다음 시즌에 비엘리차의 경기는 가장 큰 개선과 일관성을 보였다. 2015년 3월 30일 그는 3월의 유로리그 MVP로 선정되었는데, 이는 그의 커리어에서 처음으로 받은 월간 상이었다. 3월 동안 4경기에 출전한 그는 경기당 평균 15득점, 9리바운드, 3어시스트, 1블록을 기록했다. 2015년 5월 그는 시즌 활약으로 올-유로리그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고, 결국 유로리그 MVP를 수상했다.

같은 해 페네르바흐체는 팀 역사상 처음으로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했다. 그러나 2015년 5월 15일 준결승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87-96으로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도 CSKA 모스크바에 80-86으로 패하며 4위에 머물렀다. 비엘리차는 클럽 합류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냈으며 경기당 평균 12.1점, 8.5리바운드, 1.9어시스트, 1.3스틸을 기록했다. 그러나 페네르바흐체는 터키 리그 챔피언십 준결승에서 결국 피나르 카르시야카에 패하며 트로피 없이 시즌을 마쳤다.

2014-15 시즌의 비엘리차는 구단 최초 유로리그 4강에 진출 1등공신으로 유로리그 MVP, 올유로리그 퍼스트 팀, 올유로리그 올해의 포워드를 수상했다. 세르비아 올해의 농구 선수로 선정되는 등 유로 리그 최고의 포워드로 거듭났다.

2015년 7월 1일, NBA에서 뛰기 위해 페네르바흐체와의 계약을 포기했다.

2015년 7월 14일 비엘리차는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 계약했다. 3년 11,749,999$ 계약이 발표됐다. 테이션 프린스와 케빈 가넷이 초반에 주전으로 기용되며 식스맨으로 시즌을 시작했다.

2015년 10월 28일 시즌 개막전에서 팀버울브스 데뷔전을 치렀고,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상대로 112-111 승리를 거두며 8득점 5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15년 11월 7일 시카고 불스전에서는 17득점 11리바운드 5어시스트 1스틸 1블록을 기록하며 시즌 최고의 경기를 펼쳤다. 2016년 4월 7일 새크라멘토 킹스전에서 시즌 최고인 18득점을 기록했고, 나흘 후 휴스턴 로키츠전에서는 11득점 14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또다시 시즌 최고 성적을 남겼다.

11월 8일 시카고 원정에서 17득점 11리바운드 5어시스트를 기록해 데뷔 첫 더블 더블을 달성했다.

2월을 부상으로 거의 통으로 날렸다.

4월 8일 새크라멘토 원정에서 18득점 4리바운드 3점슛 4개로 득점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이틀 뒤 포틀랜드 원정에서 11득점 10리바운드 5어시스트, 또 이틀 뒤 11득점 14리바운드로 2경기 연속 더블 더블을 달성했다.

60경기 17.9분 5.1득점 3.5리바운드 1.4어시스트로 시즌을 마쳤다.

비엘리차는 2017-18 시즌 11월과 12월 동안 왼발 염좌로 15경기를 결장했다. 2018년 3월 8일 보스턴 셀틱스전에서는 117-109로 패했지만 16개의 슛 중 11개를 성공시키며 커리어 최고인 30점을 기록했다. 또한 그는 NBA에서 처음으로 20-10 경기를 달성하며 12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신임 감독 톰 티보도골귀 젱 주전이라는 트윈 타워를 구상해서 이번 시즌도 벤치 멈버 확정.

플레이오프 도전을 위해 팀의 미래인 잭 라빈크리스 던을 처분하며 지미 버틀러가 가세했다. 덕분에 더 치열해진 경쟁...

11월 말에 부상으로 한 달을 이탈했다. 복귀 후 경기력이 올라오지 않았으나 1월 21일부터 버틀러의 부상으로 잠시 선발 출전했다. 버틀러의 복귀 후 다시 벤치로 내려갔으나 한 달 뒤 버틀러가 다시 부상을 당하며 2월 25일부터 다시 선발 복귀.

3월 9일 셀틱스를 상대로 30득점 12리바운드 3점슛 6개로 시즌 첫 더블 더블에 득점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4월 8일부터 버틀러가 복귀하면서 다시 벤치로 내려갔고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하지만 막차를 타며 진출한 바람에 만난 팀이 당시 최강이던 휴스턴 로키츠였고 1승만 해도 선방한다는게 대부분의 평가.

플레이오프에서 출전 시간이 크게 줄어들었지만 2차전 팀이 쉽게 털리는 바람에(...) 출전 시간을 꽤 받았고 16득점 8리바운드 2스틸을 기록했다. 3차전은 크게 이겼으나 3분 남짓 출전했고 그 이후 내리 패하며 1승 4패로 탈락했다.

67경기 20.5분 6.8득점 4.1리바운드 1.3어시스트. 시즌 종료 후 FA 시장에 나왔다.

7월 21일 3년 $20,475,000로 출전 기회가 많은 새크라멘토 킹스에 이적했다. 드래프트에서 마빈 베글리 3세가 2순위로 뽑히며 거베 포지션 경쟁이 예상됐지만 일단 주전 포워드로 시작했다.

개막전 재즈를 상대로 18득점 8리바운드 야투율 66.7%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10월 26일 그리즐리스에게 11득점 11리바운드 5어시스트 2스틸 3블록을 기록해 킹스 소속으로 첫 더블 더블을 달성했다. 이틀 뒤 위저즈에게는 26득점 12리바운드 3점슛 6개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12월 13일 친정팀인 팀버울브스에게 25득점 5리바운드 2블록을 기록하며 패배를 안겨줬다.

12월 16일 댈러스 원정에서 15득점 10리바운드 4블록으로 블록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이틀 뒤 이적 후 타깃 센터 첫 방문에서 선발 출전했으나 5분만 뛰고 교체됐다.

1월 2일 블레이저스를 상대로 14득점 15리바운드를 기록해 리바운드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1월 26일 멤피스 원정에서 17득점 11리바운드 3블록으로 더블 더블을 달성했다,

3월 24일 선즈를 상대로 13득점 17리바운드 5어시스트를 기록해 리바운드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다.

2018년 7월 21일, 비엘리차는 유럽으로 복귀할 의도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와의 계약을 철회한 지 며칠 만에 새크라멘토 킹스와 3년 2,05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클럽에서의 첫 시즌에 그는 경기당 평균 9.6점, 5.8리바운드, 1.9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9-20 NBA 시즌은 비엘리차가 NBA에 입단한 이후 최고의 시즌이었다. 그는 72경기에 출전해 평균 11.5득점, 6.4리바운드, 2.8어시스트를 기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3월에 시즌이 중단되었고, 새크라멘토 킹스는 22개 팀이 참가한 2020 NBA 버블에 초대되었다. 결국 팀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며 31승 41패로 시즌을 마쳤다.

팀에서 베글리를 본격적으로 키우기 시작하면서 기회를 못 받고 있다. 벨리차도 이렇게 방치할거면 트레이드 해달라고 외치는 중. 소원대로(?) 트레이드 데드라인에 마이애미 히트로 트레이드 됐다. 킹스는 비엘리차의 대가로 크리스 실바와 모 하클리스를 얻었다.

2021년 3월 25일 비엘리차는 모리스 하클리스와 크리스 실바와의 트레이드로 마이애미 히트로 이적했다.

2021년 8월 6일 비엘리차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 계약했다.

FA시장이 열리고 여러 팀의 MLE급 오퍼를 받았다고 하나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연락을 듣고 주저없이 미니멈 오퍼에 사인했다. 골든스테이트의 팀컬러와 맞는 선수라 좋은 선택으로 여겨진다.

그는 2021년 10월 19일 시즌 개막전에서 워리어스 데뷔전을 치렀고,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상대로 121-114 승리를 거두며 벤치에서 15득점 11리바운드로 더블더블을 기록했다. 그는 1981년 10월 30일 덴버전에서 샘 윌리엄스(16득점, 12리바운드) 이후 워리어스 데뷔전에서 벤치 출전으로 더블더블을 기록한 첫 선수가 되었다.

2021-22 시즌 초반 골든스테이트의 상승세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데 시즌 첫 10경기 기준 오펜시브 레이팅 121.1(리그 1위), 디펜시브 레이팅 88.7 NetRtg 32.4(리그 19위), 득실마진 10.5(리그 5위)라는 걸출한 2차 스탯을 보여주었다. 골든스테이트에서는 이전 팀들이 비엘리차를 써왔던 스팟업 스트래치 빅맨이 아닌 적극적으로 팀 오펜스에 관여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부여받아 그동안 가려져 있던 재능을 뽐내고 있다. 뛰어난 농구 지능으로 동료선수의 컷인을 잘 파악하고 스크린도 훌륭하게 서주며 필요할 때는 3점슛라인 한참 뒤에서도 슛을 터트려 주는 흠잡을 곳이 없는 최고의 활약을 해주고 있다.

2022년 NBA 파이널에서 비엘리차는 보스턴 셀틱스의 제이슨 테이텀을 0-6 슛과 4개의 턴오버로 묶어내며 자신의 첫 NBA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이로써 그는 다르코 밀리치치, 페자 스토야코비치, 오그넨 쿠즈미치에 이어 NBA 우승을 차지한 네 번째 세르비아 출신 선수가 되었다.

팀이 21-22 우승하고 튀르키예 리그 팀인 페네르바흐체로 이적했다. 골스는 전년처럼 1년 베테랑 미니멈을 제안했으나 페네르바체에서 2년 계약과 좀 더 많은 돈을 제시했다고.

2022년 8월 9일 비엘리차는 페네르바흐체 베코로 복귀하며 2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이 클럽에서 2014-15 시즌 유로리그 MVP로 선정된 바 있다. 비엘리차는 종아리 부상으로 시즌 대부분을 결장한 뒤 2023년 3월 3일에 시즌 데뷔전을 치렀다.

2023년 9월 12일 페네르바흐체에서 방출되었다.

페네르바흐체에서 방출된지 몇 시간 후,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2023년 10월 9일,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감독 두슈코 이바노비치와의 싸움에 휘말린 후 팀에서 방출되었다

2024년 3월 23일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2.2. 국가대표

2009년 유로바스켓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다. 그는 2010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으며, 세르비아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리투아니아에 99-88로 패했다. 앞서 준결승에서는 개최국 터키에 패하며 논란이 있었다. 또한 2011년 리투아니아에서 열린 유로바스켓에도 참가해 세르비아는 8위를 차지했다.

슬로베니아에서 열린 2013 유로바스켓에서 비엘리차는 매우 젊은 세르비아 대표팀의 베테랑 선수 중 한 명으로 활약하며 주장 네나드 크르스티치, 네마냐 네도비치와 함께 팀을 이끌었다. 세르비아는 8강에서 스페인에 아쉽게 패했지만 리투아니아와 프랑스를 상대로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대회 기간 동안 경기당 평균 10득점, 7리바운드, 1.9어시스트를 기록했고 야투 성공률은 54%였다.

알렉산다르 도르데비치 감독의 지휘 아래 그는 2014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세르비아 국가대표팀의 핵심 멤버로 활약했다. 3점슛 성공률은 높지 않았지만 핸들링, 패스, 리바운드, 득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팀에서 중요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그는 경기당 평균 11.9득점, 6.9리바운드, 2.8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비엘리차는 유로바스켓 2015에서도 세르비아 대표팀의 핵심 선수였다. 개막전에서 스페인을 80-70으로 꺾은 경기에서 그는 24득점, 10리바운드, 4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다음 경기에서는 독일을 상대로 승부를 결정짓는 슛을 성공시켰고,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는 이탈리아를 상대로 19득점, 8리바운드, 4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세르비아는 ‘죽음의 조’라 불린 B조에서 전승을 거둔 뒤 16강전과 8강전에서 각각 핀란드와 체코를 꺾었다. 그러나 준결승에서 리투아니아에 67-64로 패했고 동메달 결정전에서도 개최국 프랑스에 81-68로 패하며 4위에 머물렀다. 비엘리차는 밀로시 테오도시치, 미로슬라브 라둘리차와 함께 팀의 리더로 활약하며 경기당 평균 13.9점, 6.6리바운드, 2.7어시스트를 기록했고 필드골 성공률 56.1%, 3점슛 성공률 37.5%를 남겼다.

2019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세르비아는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탈락했다. 이후 미국과 체코를 꺾고 5위를 차지했다. 비엘리차는 7경기에서 평균 10.7득점, 4.7리바운드, 2.7어시스트를 기록했고 필드골 성공률은 42.9%였다. 니콜라 요키치보그단 보그다노비치에 이어 팀에서 세 번째로 좋은 활약을 펼친 선수로 평가받았다.

3. 플레이 스타일



뛰어난 BQ를 앞세운 지능적인 농구를 하는 선수였다. 공격 및 수비에서 모두 지능적인 플레이에 뛰어난데, 공격에선 탑에서 볼을 잡고 공격 흐름에 여러 가지로 관여하는 포인트 포워드 스타일의 농구에 능하다.[5] 패스 감각이 기가 막혀서 상대팀은 눈 뜨고 코를 베이는 경우가 많다. 스크린도 잘 서는데, 비엘리차의 스크린은 유럽 선수들 특유의 진행 방향을 절묘하게 방해하는 형태의 스크린으로 루니같은 척 봐도 강력한 스크린은 아니지만 효과적으로 상대 수비수의 동선을 차단한다.[6] 그밖에 3점 라인 한참 뒤에서도 위력적인 딥쓰리를 날릴 수 있는 강력한 3점 슈터이며, 성공률도 좋은 편으로 만약에 탑에서 공을 잡았으나 패스길이 열리지 않는다면 먼 거리에서 냅다 던져서 넣을수 있는 능력도 갖춘 선수이다. 드리블은 투박하지만 적절한 타이밍에 골밑으로 들어가 득점할 줄도 아는 선수이다.[7] 수비에서는 수비 위치선정이나 타이밍을 잡는 능력이 기가 막혀 의외로 구멍이라는 소리를 듣지는 않는다.[8] 리바운드 경합을 지능적으로 잘 해주지만, 본인이 잡는다는 느낌보다는 박스 아웃만 지능적으로 하는 느낌에 가까워 리바운드 기록 자체는 적은 편이다.

다만 느린 기동력과 빈약한 운동능력으로 인해 재빠른 공격수들을 막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식하게 힘으로 밀고 들어오는 불리볼에도 취약했었다. 또한 공수 양면에서 명백하게 롤플레이어로 활용할 때 빛이 나는 선수이기 때문에 볼을 오래 쥐어줄 수 있는 타입은 아니다. 탑에서 공을 받고 타이밍 봐서 돌진하는 그 타이밍에 스텝이 꼬이며 트레블링을 지적받는 일이 많았다.

4. 수상 내역

4.1.

NBA 챔피언 : 2022
2014-15 유로 리그 파이널 포
자다르 농구 토너먼트 : 2014, 2015
터키 농구 리그 : 2013–14
터키 대통령 컵 : 2013

4.2. 개인

2015년 유로리그 MVP
2015 올 유로리그 퍼스트 팀
2015 올 유로리그 올해의 포워드
2015년 세르비아 올해의 선수
2010 올 세르비아 리그 퍼스트 팀
2009년 SD Crvena Zvezda 최우수 선수

5. 여담


[1] 2015~2017[2] 2017~2018[3] 2018~2020[4] 2020~2021[5] 이런 선수를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는 고작 스트레치 5로 쓰려고 했다(...).[6] 유럽 선수답게 물살 같지만 단단한 신체를 가지고 있어서 가만히 있는 것만으로도 공격수에게는 큰 벽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7] 골밑에서 그 비루한 피지컬과 스피드로 상대가 뻔히 앞에 있음에도 놀랄만큼 뛰어난 슛터치와 심지어 한번에 못 넣을 것 같으면 팁인 하는 것까지 가정하는 좀 어처구니없는(...) 계산까지 해가며 골밑에선 어떻게든 득점해낸다.[8] 플레이오프에서 요키치, 돈치치, 그리고 테이텀을 생각보다 잘 막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