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1:30:10

나그네핑



캐치! 티니핑 시리즈 일반 티니핑 목록

⠀[ S01 Part 1 티니핑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 ||
⠀[ S01 Part 2 티니핑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3557,#ddd><width=1000> ||
⠀[ S02 보석티니핑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3557,#ddd><width=1000> ||
⠀[ S03 열쇠티니핑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3557,#ddd><width=1000> ||
⠀[ S04 디저트티니핑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3557,#ddd><width=1000> ||
⠀[ S05 스타티니핑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3557,#ddd><width=1000> ||

로열 티니핑 · 레전드 티니핑 · 일반 티니핑 · 빌런 티니핑
<colbgcolor=#FFEA43,#000><colcolor=#346547,#FFEA43> 나그네핑[1]
<nopad> 파일:티니핑 나그네핑.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원래 모습(스포일러)▼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파일:티니핑 왕자핑.png
왕자핑
}}}}}}}}}
성별 남성
한국 외 국가 번안명 Petitping
이름의 유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나그네
파일:미국 국기.svg Le Petit Prince[2] (어린 왕자)
모티브 페르세우스자리
소품 종이배
파트너
[ 스포일러 ]
노아
단짝 친구
[ 스포일러 ]
오로라핑
마법 <아픔은 종이배에 실어 흘려보내리>
나그네핑의 종이배를 만진 대상은 안 좋은 기억을 잊게 된다.
좋아하는 것 떠돌아 다니며 별 낚기, 배 타기
싫어하는 것 얽매이는 것
첫 등장 떠돌이 나그네핑
(슈팅스타 캐치! 티니핑 7화)
마지막 등장 -
(슈팅스타 캐치! 티니핑 2?화)[3]
성우 여민정[4][스포일러]

1. 개요2. 능력3. 작중 행적4. 기타

1. 개요

“기억 속 함께했던 시간들도 이젠 모두 배에 실어 흘려보내리...”
낭만의 티니핑, 나그네핑
유유자적하며 느긋한 성격의 티니핑.
안 좋은 건 빨리 잊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데,
무슨 사연이 있는 걸까?
'낭만의 티니핑'. 마법의 종이배를 사용해서 주변 대상의 좋지 않은 기억들을 잊게 만드는 능력이 있다. 유유자적하고 느긋한 '낭만의 티니핑'이란 소개란과 달리 처음 등장한 7화에서는 우울하고 기운이 없으며 모든 걸 포기하고 체념한 듯한 모습을 보였다. 어떠한 사연으로 인해 모든 희망을 잃어버린 듯한 느낌이다.

2. 능력

종이배를 만들어 그것을 어떠한 장소에 놓고 종이배를 건드린 사람의 부정적인 기억을 지우게끔 허락하는 간접적인 망각 계열 능력을 가지고 있다. 비록 훌라핑에게 제압당하긴 했지만, 자신의 종이 여러 개를 조종하거나 그것들로 공격을 시도할 수 있고, 종이로 말을 만들어 타고 다니는 묘사로 보아 자신의 도구를 잘 응용하는 듯하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그네핑/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그네핑/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그네핑/작중 행적#|]][[나그네핑/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정체나 비밀에 대한 추측 및 복선 #==
등장 이전에 오갔던 여러 추측들, 그리고 첫 등장한 7화,스타티니핑송 가사 때문에 나그네핑이 왕자핑일 가능성이 대폭 상승해버렸고 결국 23화에서 왕자핑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사실 엄청난 억까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은 정체가 왕자핑일 수밖에 없었다.

그 근거들을 살펴보자면,
  • 모티브,[6]왕자]]와 연관되어 있다. 왕자핑은 영문판 제목인 The Little Prince, 나그네핑은 프랑스어판 제목인 Le Petit Prince에서 유래했다.] 능력, 눈 색, 꼬리, 헤어스타일과 같이 수많은 부분이 겹친다. 외형만 봐서는 머리 색 제외하면 거의 같은 티니핑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닮았다.###
  • 로열핑들조차 나그네핑의 존재나 이름을 아예 몰라서 본인에게 직접 이름을 물어보고 나서야 이름을 알아냈으며 슈팅스타팩트에도 아예 인식되지 않았는데, 이는 본명을 숨겼던 악동핑과 완전히 동일한 상황이다. 이 중 유일하게 빛나핑이 미심쩍은 반응을 보이며 데자뷰를 느끼는데 빛나핑은 과거 왕자핑을 본 적 있는 로열핑이라 어느 정도 인연이 있다.
  • 나그네핑의 종이배에 있는 문양이 왕관 형태이며,[7][8] 나그네핑이 정체를 숨긴 왕자핑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마침 전래동화에서 '나그네[9]'는 높은 신분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대는 이름으로 자주 나왔다. 7화에서 본인이 그냥 '지나가는 나그네핑'이라 하였기 때문에 더욱 확신이 가는 주장이다.
  • 그리고 1화에서 블랙홀이 나타나기 전 평화로운 우주별 마을을 소개하는 장면에서 왕자핑의 것으로 추정되는 행성[10]이 블랙홀 등장 당시에는 사라지고, 그 자리에는 나그네핑의 것으로 추정되는 행성[11]이 나타났다.# 또한 왕자핑의 행성과 나그네핑의 행성이 모양이 같다. 왕자핑의 행성과는 다르게 위에 있던 왕관이 사라져 있다. 이는 누군가가 왕관을 빼앗아 갔다 볼 수 있다.
  • 그러나, 왕자핑과 나그네핑의 스타 메달이 따로 존재하기에 동일 존재가 아니라는 추측도 있었다.# 참고로 기존에 나왔던 신원 미상의 티니핑인 악동핑가면핑은 정체가 밝혀질 때까지 식별 가능한 정보가 작중의 언급이나 회상 뿐이었고 완구로나마 나와 메달이 할당된 악동핑마저 신원 미상이라는 설정에 맞게 로미의 도구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했다. 즉 해핑=악동핑의 사례와 같이 스타 메달은 따로 존재해도 같은 티니핑일 가능성은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나그네는 높은 신분이 본인의 정체를 숨기기 위해 쓰는 단어이기에 한마디로 위장이어서 팩트에는 반응을 해야한다는 추측 또한 존재한다.
  • 그러나 이후 결정적인 단서가 나왔는데, 스타티니핑송 가사에 나그네핑이 나오지 않고 왕자핑만 나왔다. 이로 인해 사실상 나그네핑=왕자핑 가설은 거의 사실이 되었다.
  • 다만 본인이 첫 등장한 7화에서 정상적으로 캐치된 것으로 보아, 왕자핑과는 별개의 티니핑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물론 1기의 아자핑라라핑도 로열핑임에도 정상적으로 캐치된 사례가 있기에 왕자핑이 변신한 모습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로미가 '계속 지켜보자'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이후 왕자핑 혹은 노아와의 연결고리가 드러날 것이다.
  • 어미를 사용하지 않는 유일무이한 로열 이하의 티니핑이다.[12] 한 술 더 떠, 극장판까지 확장해도 트러핑밖에 없다.
  • 나그네핑과 왕자핑의 피규어 옆에 쓰인 말풍선에 공통으로 “별을 건너, 만나러 갈게”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
  • 나그네핑 설명 영상에서 “무슨 사연이 있는 걸까?”라는 문구, 그리고 캐치! 티니핑 코멘터리에서도 비슷한 문구를 사용하여 거의 확인사살하는 급이다.
  • 슈팅스타팩트로 소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13]
  • 캐치될 때 어린 왕자가 아닌, 일반 행성이 나왔다.
  • 종이말이 왕자핑의 소품인 유니콘으로 나왔다.

4. 기타

  • 목소리를 들어보면 빌런 티니핑 같지만 그냥 일반 티니핑인 것 같아 보여도 포지션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어정쩡한 티니핑이다.
  • 23화에서 정체가 밝혀진 기준으로 스타핑들 전체의 청일점이다.[15]
  • 트러핑 이후 어미를 붙이지 않는 두 번째 일반 티니핑이다. TVA로 한정하면 최초로 어미를 붙이지 않는 남성 티니핑이자 최초로 어미를 붙이지 않는 일반 티니핑이다.
  • 어미가 없는 대신 말을 시작할 때 "이런이런"이라고 하는 말버릇을 가지고 있다.[16]
  • 티니핑쇼에서 선공개 2일간 공식 인스타에서는 티니핑쇼 방영을 안내하며 이름 나그네핑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I+Swing"이라고 드립을 쳤다.
  • 웃고 있는 이미지와 달리 본편에서는 웃는 얼굴이 그리 많이 나오진 않았다.
  • 1화에서 등장하지 못한 단 셋뿐[17]인 일반 스타핑 중 한 명이다.
  • 동일 티니핑으로 추정되는 왕자핑처럼 눈매 등의 외형이 묘하게 뿌뿌핑과 닮았다.[18]
  • 깜빡핑에 이어 두 번째로 마법으로 기억조작을 할 수 있는 티니핑이다.
  • 캐치! 티니핑 영어 위키에서는 나그네핑의 별자리를 페르세우스자리로 추측하기도 하였다.[19]
  • 하츄핑과 함께 HOME SWEET HOME 패러디 영상에 출연했다. 이때 사용한 가명은 "나드레곤". 포실핑, 깡총핑에 이어 세 번째 뮤직비디오 패러디 출연이다. 해당 패러디 영상의 차별점이라면 노란색이 메인 컬러인 나그네핑을 분홍색 계열로 바뀌었다는 점[20]과 본편에는 안 보여줬던 밝고, 활기찬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있다.
  • 공식에서 나그네핑으로 Chill guy패러디를 하였다. 하지만 나그네핑을 Chill guy 포즈를 잡아서 패러디한 것이 아닌, 그냥 7화의 장면을 짜깁기한 것에 불과해 퀄리티는 썩 좋지 못하다. 참고로 패러디 영상의 내용은 'chill chill치 못하게 catch 되어 버린 chill guy일 때:'

[1] 후술하겠지만, 이 이름은 자신이 직접 만든 이름이다.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자 스스로 지어낸 이름이다.[2] 원작 언어인 프랑스어 명칭이다.[3] 나그네핑 명칭은 23화까지 였으나, 마지막 모습은 2?화까지이다.[4] 부끄핑, 씽씽핑, 싹싹핑, 커핑, 푸딩핑과 중복으로, 이로써 여민정은 사문영과 더불어 가장 많은 수(6)의 티니핑을 맡은 성우라는 기록을 타이로 세웠다. 중복 배역 중에서는 씽씽핑, 싹싹핑과 음색이 비슷하지만 밝은 톤의 이들과는 달리 기운 없고 맹한 듯한 톤이 특징이다.[스포일러] 정체를 고려하면, 여민정이 담당한 최초의 로열핑이다.[6] 둘 다 영문판 명칭이 [[어린 왕자|어린[7] 일반 티니핑이 왕관 모양을 쓰는 경우는 드물다. 또 빤짝핑이 처음 종이배를 보고 왕관 아닐까 추측한 것도 복선으로 볼 수 있다.[8] 23화에서 종이배에 있는 왕관 문양은 오로라핑이 준 선물이자, 종이배에 빛을 받아 문양이 생겼다.[9] 물론 떠돌이라는 뜻도 있다.[10] 하늘색, 남색 그라데이션 별과 금색 고리.[11] 하늘색, 주황색 그라데이션 별과 주황색 고리.[12] 어미를 붙이지 않는 이유는 '나그네핑'이라는 이름이 자신의 진짜 이름이 아니기 때문인 것 같다. 자신이 붙인 이름이기 때문.[13] 다만 19화 에피소드를 보면 위치와 대화 정도는 가능한 걸로 보인다.[14] 일반 티니핑과 남성 티니핑 기준으로는 최초다. 다만 로열핑 및 일반 여성 티니핑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15] 매 시즌을 거듭할수록 남성 티니핑 비율이 점점 줄어드는 것도 한몫한다.[16] 그래서 별명으로 '이런이런'핑이라고 팬들 사이에서 불리고 있다.[17] 다른 2명은 뽀송핑, 뽀뽀핑이다.[18] 뿌뿌핑과 유사점이 나그네핑 또한 뿌뿌핑처럼 속마음을 타인에게 드러내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19] 홍은영 버전의 그리스 로마 신화 두 가지 버전에서 페르세우스 또한 금발머리로 묘사하였다.[20] 헤어스타일, 눈동자색, 의상[21] 페르세우스가 태어난 과정은 그리 깨끗하지 않았지만 페르세우스는 그리스 신화 영웅들 중 몇 안 되게 아내만 바라보던 순정남이기도 하며 나그네핑의 정체를 감안하면 어린 왕자와 페르세우스 둘을 모티브로 한 것일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