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color: #F9D00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ARTISTS | |||||
| 김주원 | 민영기 | 카이 | 김소향 | |||
| 에녹 | 전수미 | 장윤석 | 유소리 | |||
| 이아름솔 | 김성식 | 박시인 | 리베란테 | |||
| 김지훈 | 진원 | 노현우 | ||||
| CREATORS | ||||||
| 추정화 | 이범재 | 이성준 | ||||
| <colbgcolor=#fcdce1> 김주원 Kim Joo Won | |
| | |
| 출생 | 1977년 5월 8일 ([age(1977-05-08)]세) |
| 부산시 | |
| 학력 | 배정국민학교 (졸업) 선화예술학교 (무용부 발레 전공 / 자퇴) 모스크바 국립 발레 아카데미[1]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 (중퇴)[2]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 / 학사) |
| 가족 | 아버지 김택모[3], 어머니 설현주[4] 언니, 오빠, 여동생 |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 힐데가르트) |
| 소속사 | EMK엔터테인먼트 |
| 링크 | |
1. 개요
대한민국의 발레리나. 1998년부터 2012년까지 15년간 국립발레단의 수석무용수였다.발레리나로서 대한민국의 정상에 선 인물 중 한 명이자 지젤, 스파르타쿠스, 로미오와 줄리엣 등 연기력과 표현력이 요구되는 작품에 뛰어났다고 평가받는다.
2. 생애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때부터 발레를 배운 후 선화예술중학교에 입학했다. 1992년 한양대학교에서 열린 러시아 볼쇼이 발레단의 내한 특강 도중 모스크바 국립 발레 아카데미(볼쇼이 발레학교)의 교사로부터 유학을 제안받아, 다음 해인 중학교 3학년 때부터 볼쇼이 발레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 #볼쇼이 발레학교 졸업 후 1998년 국립발레단에 입단해 같은 해 4월 작품 '해적'으로 주역데뷔를 했다. # 15년 동안 수석무용수로 활동한 후 2012년 7월 퇴단했으며 국립발레단 게스트 프린시펄이 되었다.
2006년 무용계의 아카데미상이라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 최우수 여성무용수상을 수상했다. 이전에 이 상을 받은 한국인은 독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강수진 뿐이었기에 대한민국 발레단 소속으로는 최초 수상이었다.[5]
국립발레단을 퇴단한 이후 프리랜서 무용수로 작품을 올리고 있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문화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교수였으며 현재는 부산오페라하우스 발레단의 예술감독이자 서울사이버대학교 부학장이다.
2.1. 수상
- 1989년 한국발레협회 서울발레콩쿠르 공동 금상
- 1995년 동아무용콩쿠르 학생부 금상
- 2000년 한국발레협회 신인상
- 2001년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발레콩쿠르 여자 동상
- 2002년 문화관광부 장관상
- 2002년 한국발레협회 프리마 발레리나상
- 2004년 문화관광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 2006년 러시아 브누아 드 라 당스 최우수 여성무용수상
- 2010년 제4회 더 뮤지컬 어워즈 여우신인상
- 2013년 제28회 코리아 베스트 드레서 스완 어워드 문화부문
- 2024년 제42회 정진기언론문화상 - 지식문화창조상
3. 출연 작품
3.1. 방송
| 출연일 | 방송사 | 제목 | 비고 |
| 2006년 5월 13일 | [[SBS TV| SBS | 모닝와이드 1부 | [6] |
| 2007년 1월 26일 | 금요 컬처 클럽 | 한충완 교수의 인터뷰-文化人 | |
| 2007년 3월 12일 | [[EBS 1TV| EBS | 다큐 - 인 | |
| 2008년 4월 24일 | [[KBS 1TV| KBS 1TV | 휴먼다큐 사미인곡 | |
| 2010년 4월 14일 | 낭독의 발견 | ||
| 2010년 7월 25일 | [[EBS 1TV| EBS | EBS 초대석 | |
| 2011년 1월 4일 | [[KBS 1TV| KBS 1TV | 낭독의 발견 | |
| 2011년 6월 10일~8월 26일 | [[MBC TV| MBC |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1 | 심사위원 |
| 2011년 9월 3일 | |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2 | |
| 2011년 12월 30일 | [[KBS 2TV| KBS 2TV | 낭독의 발견 | [7] |
| 2012년 1월 7일 | [[MBC TV| MBC | 무한도전 | 특별출연[8] |
| 2012년 1월 19일 | [[SBS TV| SBS | SBS 컬처클럽 | 초대석 |
| 2012년 4월 27일~7월 27일 | [[MBC TV| MBC |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2 | 심사위원 |
| 2012년 8월 25일 | [[KBS 1TV| KBS 1TV | 한국 한국인 시즌1 | |
| 2012년 10월 7일 | [[MBN| MBN | 60분의 기적 | 강연자 |
| 2013년 3월 8일~6월 7일 | [[MBC TV| MBC |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3 | 심사위원 |
| 2013년 7월 20일~10월 5일 | [[엠넷| 엠넷 | 댄싱 9 | |
| 2013년 8월 10일 | [[KBS 1TV| KBS 1TV | 금요일엔 수다다 | 게스트 |
| 2013년 10월 14일 | [[EBS 1TV| EBS | 나의 성공비결 | |
| 2014년 1월 14일 | [[SBS TV| SBS | 모닝와이드 3부 | |
| 2014년 4월 20일 | [[EBS 1TV| EBS | 만나고 싶습니다 | [9] |
| 2015년 4월 24일 | [[엠넷| 엠넷 | 댄싱9 시즌3 | [10] |
| 2016년 2월 18일 | [[tvN| tvN | 배우학교 | 특별 교사 |
| 2017년 7월 6일 | 인생술집 | 손님 | |
| 2017년 7월 12일 | [[KBS 1TV| KBS 1TV | 문화의 향기 | 문화자화상 |
| 2017년 12월 1일~2018년 1월 19일 | [[KBS 2TV| KBS 2TV | 발레교습소 백조클럽 | 예술감독 |
| 2018년 7월 30일 | | 사진에 담긴 숨은 이야기 | |
| 2019년 7월 17일 | [[SBS TV| SBS | 영재 발굴단 | 멘토[11] |
| 2021년 6월 27일 | [[KBS 2TV| KBS 2TV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 [12] |
| 2021년 7월 11일 | |||
| 2021년 7월 27일 | [[MBN| MBN | 혼밥인생 | |
| 2021년 11월 29일 | [[KBS 2TV| KBS 2TV | 스타챌린지 하나되어 | 스타 |
| 2022년 5월 20일 | [[채널A| 채널A |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 게스트 |
| 2022년 5월 29일 | [[SBS TV| SBS | 집사부일체 | 사부 |
| 2022년 5월 31일 | SBS 나이트라인 | 나이트라인 초대석 | |
| 2022년 6월 18일 | [[KBS 1TV| KBS 1TV | KBS 뉴스라인 W | 라인 초대석 |
| 2022년 11월 27일~12월 4일 | [[KBS 2TV| KBS 2TV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 보스 |
| 2023년 2월 17일 | [[EBS 1TV| EBS 1TV | 예술가의 VOICE | |
| 2023년 5월 5일 | [[EBS 1TV| EBS 1TV | 딩동댕 유치원 | |
| 2023년 11월 19일 | |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 |
| 2024년 3월 24일~4월 7일 | [[EBS 1TV| EBS | 김주원의 발레교실 | |
| 2024년 9월 24일~11월 26일 | [[엠넷| 엠넷 | 스테이지 파이터 | 마스터 |
| 2025년 8월 31일 | | 인사이드 스토리 |
3.2. 뮤지컬
|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 2010년 | 컨택트 | 노란 드레스의 여인 |
| 2015년 | 팬텀 | 벨라도바 |
| 2016년 | ||
| 2017년 | 컨택트 | 노란 드레스의 여인 |
| 2018년 | 팬텀 | 벨라도바 |
| 2021년 | ||
| 2025년 |
[1] 볼쇼이 발레학교로 알려져있다.[2]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로 활동하던 중 한국예술종합학교 3학년으로 편입하기 위한 시험을 보고 합격했다. 이 일화는 2004년 GM대우의 기업광고에 소개되기도 했다.[3] #[4] 2012년 제22회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을 수상했다. #[5] 후에 2016년 러시아 마린스키 발레단의 김기민 발레리노, 2018년에 프랑스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박세은 발레리나, 2023년에 대한민국 유니버설발레단의 강미선 발레리나가 수상했다.[6] 브누아 드 라당스 최고 여성 무용수상 수상 후 첫 무대인 돈키호테에 관한 뉴스이다. #[7] 탱고 노래 '삶은 밀롱가와 같은 것'의 가사와 안무가 트와일라 타프의 글 '천재들의 창조적 습관'을 낭독했다.[8] 무한도전 나름 가수다에서 정준하의 무대에 섰다.[9] 국립발레단 퇴단 이후 촬영한 다큐멘터리로, 만나고 싶은 사람은 퇴단 이후 국립발레단에 취임한 단장 강수진이었다.[10] 윤전일의 무대에 함께 출연했다.[11] 발레리나를 꿈꾸는 윤시연 학생의 멘토로 출연했다.[12] 김주원은 해당 회차에 보스로 출연한 김문정이 음악 감독을 맡은 팬텀의 벨라도바 역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