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01:59:23

김덕수(정치인)



<colbgcolor=#152484><colcolor=#fff> 김덕수
金德守
파일:김덕수 국무총리실 비서관.jpg
출생 1970년 9월 25일 ([age(1970-09-25)]세)
전라남도 나주군
(現 전라남도 나주시)
학력 나주중앙초등학교 (졸업)
금성중학교 (졸업)
금성고등학교 (졸업)
전남대학교 (경제학 89 / 학사)
소속 정당
주요 경력 김부겸 국무총리 정무기획비서관 (2급 고위공무원)
국회의원 보좌관(2000 ~ 2016)
더불어민주당 정책소통 부단장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정책위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 부위원장
방송 활동 광주교통방송 「김덕수의 법안프리즘」 진행 (2024.9~2025.3)
링크 김덕수 블로그 김덕수 페이스북

1. 개요2. 약력3. 생애4. 주요 경력
4.1. 중앙정치 및 국정 실무4.2. 정당 내 정책 및 조직 실무4.3. 지역정치 및 정책기획 활동
5. 정책 활동
5.1. 국가 정책ㆍ경제 기획 참여5.2. 정책 성과 및 기여 사례
6. 지역사회 활동7. 방송 활동
7.1. 김덕수의 법안프리즘
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김덕수(金德守, 1970년 9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정치 기획자, 언론인 출신 정책 실무가이자 전직 고위 공무원 출신의 정치인.

2. 약력

3. 생애

김덕수는 1970년 전라남도 나주시 성북동에서 태어났다. 나주중앙초등학교, 금성중학교, 금성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전남대학교 경제학과(89학번)에 진학하여 대학 언론활동에 몰두했다. 재학 중 전대신문사 편집장을 역임하고, 전국대학신문기자연합 의장으로 선출되며 사회비판적 시각과 기획 역량을 쌓았다.

1998년부터는 나주신문 기자로 활동하며 지역의 생활정책, 농촌 현실, 교육 격차 등 다양한 문제를 심층 취재하였다. 현장 기반 경험을 토대로, 2000년부터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정계 실무에 입문했다. 5명의 의원실에서 약 16년간 정책, 예산, 정무, 민원 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후보 중앙선대위 상황실장 보좌관으로 참여해 전국 단위 선거 전략과 현장 대응 조율에 관여하였다. 이 경험은 이후 김덕수가 정책과 정치 전략을 결합하는 기획 정치인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후보 민주권선대위 선임팀장으로 선거에 다시 참여한 그는, 같은 해 문재인 정부 전문보좌역으로 발탁되며 중앙정책 실무로 진입했다. 이후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을 겸임하며, 지역 균형발전, 청년정책, 에너지전환 정책 등의 주요 국정과제 설계에 관여했다.

2021년부터는 김부겸 국무총리 정무기획비서관(2급 고위공무원)으로 임명되어 총리실과 국회, 부처 간 정무 기획을 조율하는 핵심 역할을 맡았다. 이 시기 김덕수는 지역 민원성 정책을 중앙정부의 의제로 연결시키는 실질적 중간 창구 역할을 수행했다.

정당 조직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 정무실장을 비롯하여 중앙당 정책소통단 부단장, 정책위 부의장, 전남도당 선대위원장 등 핵심 정책 기획직을 역임했다. 2024년부터는 광주교통방송 시사 라디오 프로그램 『김덕수의 법안프리즘』을 직접 진행하며, 정책과 생활을 연결하는 대중 소통자로서의 활동도 병행하였다.

최근에는 광주·전남혁신도시의 특정 도로를 ‘노무현 대로’로 지정하자는 정책을 기획하여, 도로명 제정과 기념 공간 조성 등을 통해 지역 정체성과 역사성을 복원하는 공공 인프라 기획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는 특정 정치인의 상징을 넘어서, 혁신도시의 철학과 시대적 흐름을 지역 공간에 각인시키려는 정책적 시도로 평가된다.

지역사회에서는 나주사랑시민회 공동대표, 금성고 총동문회장을 맡아 생활정치 기반을 다져왔으며, 풀뿌리 간담회, 시민제안 토론회, 지역 청년ㆍ중장년 간 세대소통 실험 등 비공식 정치활동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4. 주요 경력

4.1. 중앙정치 및 국정 실무

  • 2002년 노무현 대통령후보 중앙선대위 상황실장 보좌관

    • : 대선 전략 상황조율, 홍보ㆍ정책 조정 등 실무 담당
  • 2017년 문재인 대통령후보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선임팀장

    • : 조직ㆍ현장 선거기획과 청년 정책 기획 분야 조율
  • 2017년 ~ 2021년 문재인 정부 전문보좌역 및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 : 정부 국정과제 조정, 정책보고서 작성 등 담당
  • 2021년 ~ 2022년 김부겸 국무총리 정무기획비서관 (2급 고위공무원)

    • : 총리실 국회 대응 및 정무조율, 정부 부처 간 기획연계 총괄

4.2. 정당 내 정책 및 조직 실무

4.3. 지역정치 및 정책기획 활동

  • 나주사랑시민회 공동대표 (2024 ~ 2025)
  • 금성고등학교 총동문회장 (2024 ~ 2025)

    • : 교육문화 네트워크 활성화 및 동문 사회공헌 사업 기획
  • 광주교통방송 『김덕수의 법안프리즘』 진행 (2024.9 ~ 2025.3)

    • : 법률ㆍ입법ㆍ정책 해설 방송을 통해 지역 유권자와 정책 공론화 추진
  • 광주전남혁신도시 도로명 '노무현대로'로 프로젝트 추진계획중 (2025~)

    • : "'노무현대로'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의 역사성과 비전,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성을 보여줄 것"이라며 "또한 우리 나주를 마케팅하는 데도 유의미한 역할을 할 것이며, 나주의 브랜드 가치도 높일 수 있을 것" 이라며 추진을 구성하자고 한다.
  • "나주를 걷다, 사람을 만나다." 책 출간 (2025.8.20 ~)
    : 이 책은 ‘나주’라는 공간을 사건·정책보다 ‘사람과 생활’의 결로 기록한다. 저자는 읍·면·동의 오래된 골목과 시장, 마을회관, 들녘의 일을 따라가며 구술(인터뷰)·현장기록·사진을 교차해 서사를 구성한다. 개인의 기억이 지역의 역사로 수렴되는 과정을 따라가며, 행정 보도자료나 통계로 포착되지 않는 생활 단위를 입체적으로 보여 준다는 평가가 있다.
: 정치인의 출판물이라는 틀을 벗어나 ‘생활사 르포’에 가깝다. 인물 중심 자서전 구성을 최소화하고, 사례·지표·현장 묘사를 통해 문제를 짚은 뒤 지역의제(교통, 돌봄, 골목경제, 문화·환경 등)를 연결한다. 이 때문에 “나주를 이해하는 준(準)아카이브”, “지역정책 논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다는 평을 얻는다.
: 글쓰기 방식은 인터뷰 발화와 현장 묘사를 짧은 단락으로 배치하는 편집으로 읽기 호흡을 살리고, 사진·지도·메모형 캡션을 통해 자료성을 강화한다. 특정 정치적 주장보다 ‘사실 확인→현장 사례→제안’의 순서로 전개되어, 이해관계가 갈리는 사안도 비교적 균형 있게 다루려는 태도가 드러난다.

5. 정책 활동

5.1. 국가 정책ㆍ경제 기획 참여

  •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2017~2021년)

    • : 정부 부처 간 정책 연계안 조정 및 부처 간 과제 충돌 조율
      : ‘지역 균형발전 전략’, ‘청년고용정책’, ‘에너지 전환 정책’ 등 회의ㆍ자문 다수 수행
  • 김부겸 국무총리 정무기획비서관 (2021~2022년)

    • : 국무조정실과 총리실 간 정책 동향 관리 및 대야 협의안 기획
      : 현장 민원성 정책 및 중소부처 의견을 총리단위로 조정하는 실무 책임

5.2. 정책 성과 및 기여 사례

  • 한전공대(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설립 관련 정책 지원

    • :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시기 지역균형발전 과제 중 하나로 채택되도록 기획 지원
      : 전남권 공공기관 이전 및 에너지밸리 조성 흐름과 연계해 지속적 기획·조정 실무 참여
  • 에너지신산업 기반 정책 논의 참여

    • :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 전문위원 시절 ‘에너지전환 로드맵’ 관련 정책 회의에 참여
      : 전력산업 구조 개편, 재생에너지 지역 수용성 강화 등에 대한 지역 의견 전달 경로 정비 기여
  • 청년ㆍ지역정책 연계안 다수 기획 및 보고

    • : 문재인 정부 초창기 ‘청년일자리대책’ 및 ‘지역 혁신프로젝트’ 보고서 작성 실무 담당
      : 광주·전남권 청년창업ㆍ중소기업 지원 정책 기초 설계안 수립 참여
  • 국회 보좌관 시절 지역 SOC 및 예산 확보 실무

    • : 다수 지역 국회의원실에서 나주ㆍ광주권 예산사업 확보 전략 수립 및 설득자료 기안
      : 대표적 사례로 도로망 확충, 농업기반시설 개선, 지역문화기반 시설 기획 조율

6. 지역사회 활동

  • 나주사랑시민회 공동대표

    • : 지역 현안에 대한 시민 참여형 공론장 운영
      : 나주 시정 감시, 생활정책 제안, 주민 간담회 주관 등 실질적 활동
  • 금성고등학교 총동문회장

    • : 학교 운영 참여 및 동문 네트워크 복원
      : 장학사업 연계 및 교육자원 재배치 간담회 등 주도
  • 나주시 지역 간담회 다수 주최 및 패널 참여

    • : 주요 간담회 주제 - '농업 기반 대안 정책', '고령사회 복지인프라', '생활 SOC 확충'
      : 민원기반 정례 토론, 청년창업 지원, 마을기업 연계사업 설계 참여
  • 지역 언론ㆍ시민사회와의 공동 정책 토론 기획

    • : 나주신문, 지역방송 등과 정책 캠페인 공동 참여
      : 시민제안 토론회ㆍ정책 Q&A 공개 간담회 시범 운영

7. 방송 활동

7.1. 김덕수의 법안프리즘

  • 2024년 9월부터 2025년 3월까지 광주교통방송에서 시사교양 라디오 프로그램 『김덕수의 법안프리즘』 진행
  • 프로그램 성격

    • : 시민생활과 밀접한 법안, 정책, 제도 등을 주제로 현안 해설 및 제언
      : 청취자 제보, 현장 사례, 국회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구성된 참여형 정책 방송
  • 주요 코너

    • : '생활 속 입법 이야기', '청취자 민원법률 클리닉', '지역에서 만든 조례탐방'
  • 방송 평가

    • : 단순한 해설을 넘어서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정보 전달 시도
      : 지역정치와 중앙정치 사이의 이해 간극을 줄이는 시사적 기획으로 평가받음

8. 여담

  • 대학 시절 언론활동에 깊이 관여하며 사회 비판적 시각과 기획 역량을 길렀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전국대학신문기자연합 의장 당시 다수의 지역 언론인들과 교류를 쌓으며, 이후 지역신문 기자로 자연스럽게 진로를 연결했다.
  • 국회의원 보좌관 시절, 5명의 의원실에서 장기 근무하며 드물게 ‘정무·정책·현장 실무’ 3개 분야를 모두 경험한 실무형 인물로 분류된다. 한 지역 정치인은 “김덕수는 대외적 이미지보다도 내실과 정무 감각이 강한 타입”이라 평가하기도 했다.
  • 평소 정무적 판단보다 정책적 타당성을 우선시하는 편으로, 다소 조심스럽고 분석적인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실무에서는 유연한 조율 능력과 충실한 뒷받침으로 조직 내 신뢰가 높다.
  • 나주시 지역에서는 학연·지연을 앞세우기보다는 “정책을 읽는 사람”, “기획서를 직접 쓰는 정치인”이라는 인식이 강하며, ‘기획파’ 또는 ‘콘텐츠파’ 정치인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방송 진행 경력으로 인해 말투나 논리 전개가 설득력 있게 다듬어졌다는 평이 많으며, 일부 시민들은 "정치인 같지 않아서 좋다"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4ea2; border-right: 10px solid #004ea2"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4ea2; border-right: 10px solid #004ea2"
{{{#!wiki style="margin:-0px -2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0.5px"
<colbgcolor=#f5f5f5,#2d2f34> 기획분과 전준경
경제2분과 김덕수 이동현 정천호
사회분과 우태현 이상훈 임순영
장현철 정문주
정치행정분과 임광현
외교안보분과 이상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