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3:28:41

귀혼/낚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귀혼

||<tablebgcolor=#102139><tablebordercolor=#102139> 파일:귀혼 깨부리 로고.png||귀혼
게임 관련 정보 ||

1. 개요2. 방법3. 장비
3.1. 낚싯대3.2. 미끼
4. 획득 아이템
4.1. 물고기4.2. 기타

1. 개요

귀혼의 낚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문서.

2. 방법

낚싯대를 장비한 후 미끼를 사서 청야강 낚시터에서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낚시를 한다. 한 번 누르면 가만히 놔둬도 자동으로 낚이기 때문에 보통 자기 전이나 다른 활동 중에 낚시를 켜놓는다.

낚이는 물건은 1~5등급 물고기, 부서졌거나 부서진 장비류, 정체불명 물고기[1]가 있으며 낮은 확률로 실패할 수도 있다. 매우 낮은 확률로 옥괴석이나 이무기의정기가 낚이기도 한다.

미끼가 비쌀수록 좋은 등급의 물고기가 나올 확률이 높아진다. 부담되는 가격이 아니기 때문에 웬만하면 가장 비싼 멸치를 사용한다.

만년한철괴라는 확실한 수입원이 있는 채광에 비해 낚시에서는 확실한 수입원은 없지만, 같은 100마리면 낚시 쪽이 보은패 수급에 압도적으로 좋다.

청음표국의 표주에게 물고기를 10마리씩 갖다 바치면 보은패로 돌려준다. 물고기의 등급별로 얻을 수 있는 보은패의 양이 다르다. 등급별 보은패 교환비는 아래 물고기 문단 참조.

소비창에 들어가는 물고기와 기타창에 들어가는 물고기로 나뉘는데, 보통 2차 전직에 필요한 참돔을 제외하고는 다 보은패로 바꿔먹는다. 다만 과거에는 참돔이 값이 나갔으나 요즘은 낚시를 돌리는 인원이 많아서 참돔의 가격이 100만 이하로 추락했다.

3. 장비

3.1. 낚싯대

<rowcolor=#fff> 낚싯대 가격 사용 횟수 잡는 시간
(횟수 소모 시간)
설명
파일:나무낚싯대.png
나무낚싯대
990전 70회 80초
(1시간 33분 20초)
이름 모를 나무를 깎아 만든 조잡한 낚싯대.
파일:참죽낚싯대.png
참죽낚싯대
2970전 180회 70초
(3시간 30분)
탄력 있는 대나무를 다듬어 만든 견고한 낚싯대.
파일:황금낚싯대.png
황금낚싯대
990캐쉬 500회 50초
(6시간 56분 40초)
화려한 금장을 입힌 고급 낚싯대.
파일:강태공의낚싯대.png
강태공의낚싯대
1650캐쉬 500회 30초
(4시간 10분)
강태공이 즐겨쓰던 낚시대, 속도쾌감을 느낄수 있다.

3.2. 미끼

<rowcolor=#fff> 미끼 가격 내용
파일:떡밥.png
떡밥
25전 여러 곡물을 빻아 반죽한 미끼.
파일:콩(귀혼).png
33전 메주용 콩을 잘 쪄내서 쓴다.
파일:옥수수.png
옥수수
41전 물고기가 좋아하는 옥수수.
파일:지렁이.png
지렁이
49전 비오는날 많이 볼수 있다.
파일:게(귀혼).png
57전 갯벌에 서식하는 작은 참게.
파일:갯지렁이.png
갯지렁이
65전 갯벌 깊숙한 곳에 서식한다.
파일:새우(귀혼).png
새우
73전 고급 미끼용으로 많이 쓰인다.
파일:멸치.png
멸치
80전 큰 물고기가 좋아하는 미끼.

4. 획득 아이템

4.1. 물고기

<rowcolor=#fff> 미끼 판매가 종류 내용
1등급 (10개 = 보은패 100개)
파일:참돔(귀혼).png
참돔
2200전 소비 귀력 90% 회복. 선홍색 바탕에 청록색 반점이 뚜렷하고 5개의 진한 적색 가로띠가 있다.
파일:잉어(귀혼).png
잉어
2000전 소비 체력 90% 회복. 한자어 리어()가 우리말로 변해 잉어가 되었다. 물살이 약한 하천에 서식한다.
2등급 (10개 = 보은패 20개)
파일:갯장어(귀혼).png
갯장어
1606전 소비 체력 70% 회복. 남서해안에 주로 서식하며 앞쪽에 억센 송곳니가 달려있다.
파일:붉돔.png
붉돔
1352전 소비 귀력 70% 회복. 남부지방에서는 <풋잎상사리>라고도 불리는 도미과 물고기.
파일:은어.png
은어
215전 기타 맑은 물에서 사는 연어과 물고기.
3등급 (10개 = 보은패 15개)
파일:붉은메기.png
붉은메기
570전 소비 체력 50% 회복. 붉은 색을 띈 첨치과 물고기로, 배 가장자리를 말린 <나막스>는 안주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파일:물가자미.png
물가자미
570전 소비 귀력 50% 회복. <감중어>라고도 하며 바다 밑바닥에 서식한다.
파일:가시복어.png
가시복어
157전 기타 독이 없고 식용으로 이용된다
파일:전어.png
전어
137전 기타 가을에 가장 맛있는 청어과 물고기
파일:연어(귀혼).png
연어
114전 기타 가을이 되면 하천으로 거슬러 올라가 산란한다.
4등급 (10개 = 보은패 10개)
파일:줄가자미.png
줄가자미
520전 소비 귀력 30% 회복. 심해성 어종으로 깊은바다 밑바닥에서 산다.
파일:뱀장어(귀혼).png
뱀장어
250전 소비 체력 30% 회복. 민물에서 살다가 바다로 돌아가 알을 낳는 희유성 물고기.
파일:검복어.png
검복어
107전 기타 내장과 껍질에 맹독을 품고있는 참복과 물고기
파일:노랑가오리.png
노랑가오리
101전 기타 꼬리의 가시에 독샘이 있어 찔리면 매우 아프다
파일:홍어(귀혼).png
홍어
95전 기타 홍어를 삭혀서 탁주와 함께 먹는 홍탁으로 유명하다
파일:숭어.png
숭어
88전 기타 약재로도 쓰이며 작은것은 <등기리>라고도 부른다
5등급 (10개 = 보은패 5개)
파일:옥돔.png
옥돔
220전 소비 귀력 15% 회복. 선명한 붉은색을 띄는 식성좋은 물고기.
파일:눈가자미.png
눈가자미
220전 소비 귀력 15% 회복. 눈에 비늘이 있는 특이한 갈색 물고기
파일:먹장어.png
먹장어
120전 소비 체력 15% 회복. 보통 <꼼장어>라고 부르며 다른 물고기에 입을 흡착하여 내장을 빨아먹는다.
파일:그물메기.png
그물메기
120전 소비 체력 15% 회복. 붉은색을 띄는 바다 물고기
파일:거북복어.png
거북복어
78전 기타 독은 없으며 살은 식용으로도 가능하다
파일:목탁가오리.png
목탁가오리
72전 기타 큰 강의 하구에 주로 살며 <목대기>라고도 한다
파일:준치.png
준치
61전 기타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맛있는 생선이다
파일:붕어.png
붕어
51전 기타 대부분의 하천에서 볼 수 있는 흔한 물고기

4.2. 기타

  • 정체불명 물고기
    이벤트 한정. 표주에게 갖다 바치면 경험치로 돌려주지만 저렙 때 대박이 터질 경우 경손실이 있으니 주의할 것.
  • 부서진 장비
    장비들은 수리하면 착용할 수 있으나 거의 저렙 장비들이라 수리를 안 한다. 100개를 모으면 '쓰레기분리수거반'이라는 아이템 드랍율을 5% 올려주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
  • 옥괴석
  • 이무기의정기


[1] 이벤트 중에만 낚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