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00:45:00

국가재건친박연합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친박(친박근혜) 인사들이 등록했던 친박연대와 그 후신 정당}}}에 대한 내용은 [[미래희망연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래희망연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래희망연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국가재건을 단체명에 넣었던 쿠데타 세력}}}에 대한 내용은 [[국가재건최고회의]]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국가재건최고회의#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국가재건최고회의#|]]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친박(친박근혜) 인사들이 등록했던 친박연대와 그 후신 정당: }}}[[미래희망연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래희망연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래희망연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국가재건을 단체명에 넣었던 쿠데타 세력: }}}[[국가재건최고회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국가재건최고회의#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국가재건최고회의#|]]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대한민국 극우 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당명 변경)
선진한국당 선진한국당


''''''
(개별 합류)[1]


[[한나라당|
한나라당
]]
(개별 합류)[2]
선진한국당 선진한국당


(당명 변경)



(개별 합류)[3]



(당명 변경)
친박연합
(당명 변경)


[[한나라당|
한나라당
]]
(개별 합류)[4]

(창당준비위원회)[5]



(당명 변경)
국가재건친박연합 (해산)



(개별 합류)[6]



(개별 합류)[7]
}}}}}} ||
파일:국가재건친박연합.png
국가재건친박연합
약칭 <colbgcolor=#ffffff,#191919>친박연합
등록번호 제113호
등록일 2006년 5월 3일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
당명 변경 2006년 8월 18일 (선진한국당)
2010년 3월 31일 (친박연합)
2012년 2월 29일 (국가재건친박연합)
해산일 2012년 4월 15일
당 색 진청 (#13007D)
해산 전 대표 정라곤
해산 전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55
우도빌딩 5층 (효창동)

1. 개요2. 역사
2.1. 한미준 시절2.2. 당명 변경 이후2.3. 역대 지도부
3. 관련 문서4. 둘러보기

1. 개요

2006년 5월 3일 창당되어 2012년 4월 12일에 해산된 보수정당으로 박정희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참여한 정당이다. 약칭 친박연합(친박연대와는 다르다).

‘국가재건’이란 이름은 역시 박정희 지지 정당답게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2. 역사

파일:한미준.png 파일:선진한국당.png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 선진한국당
파일:친박연합.png 파일:국가재건친박연합.png
친박연합 국가재건친박연합

2.1. 한미준 시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당명 변경 이후

이후 선진한국당으로 개명하였으나,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는 불참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미래희망연대가 지방선거에 불참하자, 그 파이를 차지하는 것으로 전략을 변경했다. 처음 만들때 참여한 이용휘가 복당하고, 박정희의 조카이자 김종필의 처남인 박준홍(전 대한축구협회 회장)을 영입했다. 3월 27일 당무위원회 결과 장석창 대표, 장정식 사무총장 등 선진한국당 지도부가 전원 사퇴하고 당명을 친박연합으로 개칭했으며 박준홍을 대표로 선출하였다. 사무총장 겸 당무위원에 이용휘가, 당무위원에 이은영 서울뉴스 발행인[8]을 임명했다.

이에 미래희망연대 탈당파가 만든 미래연합박사모에서는 친박연합을 짝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제5회 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후보 목록
[ 펼치기 · 접기 ]
|| 동대문구청장 || 김영환 || 전 파주경찰서장 || ||
중랑구청장 정진택 전 중랑구청장 등록무효
대구 북구청장 구본항 전 대구시의원
하남시장 박영길 전 경기도의원
강릉시장 박종덕 전 삼척시 부시장
아산시장 한창대 충남도당 창준위 위원장
구미시장 김석호 전 경북도의원
영덕군수 정라곤 전 봉화군 부군수 등록무효

이름 덕분에 광역 정당비례를 통해 대구에서는 14.30%, 경북에서는 10.14%를 득표하며 각각 제2당/제3당으로 비례 당선자를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9] (그 외 영주시 제2선거구에서도 당선, 기초의원 12명 당선-부산 2명/대구 5명/경북 5명). 같은 친박 "연합" 계열인 미래연합보다 성과가 좋았다.

그러나 선거 직후 6월 22일 당기위원회 결과 이용휘 사무총장이 독단적 정당 운영을 사유로 제명되었고[10], 정라곤[11]을 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 박준홍 대표가 비리가 드러나면서 구속되어 9월 10일 제20차 당무회의를 열어 정라곤이 대표권한대행으로 임명되었다. 대표 직은 박준홍이 유지했다.

2011년 3월 22일 당헌을 개정해 부대표 직을 신설하고 정라곤 대표권한대행이 부대표로 선출되었다. 신임 사무총장으로 김기목 사무부총장이 임명되었다.

2011년 9월 7일 정라곤 부대표가 공식 대표로 선출되었다.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서구청장에 출마한 신점식 전 부구청장이 44%라는 득표율을 올리기도 하였다.

2012년 2월 15일에는 국가재건친박연합으로 개칭했는데, 약칭은 친박연합이고, 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 선거용지에는 친박연합으로 표기했다. 그러나 이미 새누리당박근혜 중심으로 재편된 상태[12]에서 굳이 박근혜, 박정희와 연관된 정당에 투표할 동기가 없었기 때문에 결국 당명 스틸 한나라당, 국민생각 등에도 미치지 못하고, 기대했던 구미시 갑김석호 후보도 18%에 불과하면서 등록이 말소됐다.[13] 김석호 후보는 정당 해산과 함께 다시 새누리당으로 복당했다.

다만 김석호 후보는 '여론조사'가 실시되어 후보자 토론회에 나갔더라면 좀 더 선전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다. 특히나 지난 5회 지선에서 친박연합 소속으로 구미시장에 출마했을 당시 적극적인 홍보로 33%의 득표율을 기록할 만큼 인지도를 높인 구미시 갑 김석호 후보의 18%를 비롯하여 국가재건친박연합이 상당한 득표를 거둔 지역이 많지만, 새누리당이 이기는 것이 당연했기 때문에 한 군데도 여론조사가 실시되지 않았다. 여론조사만 했더라면 후보자 토론회에 나갈 수 있었는데 당을 알릴 수 있던 기회를 잃었던 것이다.

19대 총선 후보 목록
[ 펼치기 · 접기 ]
|| 대구 동구 갑 || 오세호 || 전 동구의원 || ||
대구 동구 을 김종기 키즈숲 어린이집 이사장
구미시 갑 김석호 전 경북도의원
구미시 을 박대식 HBS대표


해산 이후인 2012년 4월 25일에는 친박연합연대회의(창준위원장 김기목[14])이라는 창당준비위원회가, 5월 1일에는 국가재건국민연합(창준위원장 백남재[15])라는 창당준비위원회가 등록되었으나 활동기간 만료로 정당 등록에 실패한 바 있다. 두 창준위 모두 친박연합의 후신인데, 창준위가 두 개로 갈라진 이유는 당 내 정라곤계와 박준홍계의 갈등 때문이다. 정라곤계의 친박연합연대회의는 당원들의 민심을 잃고 기존 친박연합 소속 지방의원도 영입하지 못해 소멸했으며, 박준홍계의 국가재건국민연합은 정당에서 단체 설립으로 목표를 변경했다.

2.3. 역대 지도부

파일:국가재건 친박연합.pn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3007D,#ddd> 개명 이전·초대
이용휘
2대
박준홍
3대
정라곤
}}}}}}}}}}}} ||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극우정당
참여정부 ~ 이명박 정부
(2003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참여정부 이전
시민당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
선진한국당
시스템미래당 선진한국당 자유평화당
정당 해산 정당등록취소
친박연합 대한기독당*
영남신당 기독자유민주당*
영남신당자유평화당
국가재건친박연합 한나라당 대한국당
정당등록취소
가인친환경당 희망한나라당
* 종교정당
이명박 정부 이후
}}}}}}}}} ||

대한민국의 극우단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민주화 이전 백의사 · 서북청년회 · 대동청년단 · 조선민족청년단 · 대한청년단
친박계 [[조원진|
조원진계
]] 대한애국당 · 우리공화당(2019년) · 박근혜 대통령 무죄석방 1천만 국민운동본부 · 자유공화당 · 우리공화당(2020년)
[[황교안|
황교안계
]] 부정선거·부패방지대
공화당 · 박사모 · 대한민국 엄마 부대 ·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총궐기 운동본부 · 새누리당 · 친박신당 · 자유통일당(2020년)
매카시즘 국민행동본부 ·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 · 대한국당 · 대한민국어버이연합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 애국기동단 · 자유당 · 자유민주당 · 자유한국21 · 특수임무수행자회
개신교계 [[전광훈-손현보 갈등|
전광훈계
]] 국민혁명당 ·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 · 문재인하야범국민투쟁본부 · 사랑제일교회 · 자유통일당
[[전광훈-손현보 갈등|
손현보계
]] 세계로교회 ·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 트루스포럼 · 공명선거전국연합
기독자유민주당 · 기독자유당 · 기독자유통일당 · 대한당 · 에스더기도운동본부
뉴라이트 뉴라이트 전국연합 · 자유대학생연합 · 자유민주당
내셔널리즘 가나반공정당코리아 · 핵나라당
대안 우파 자국민보호연대 · 국민우선당 · 자유대학 · 자유의새벽당 · 신 남성연대
† 표시는 해체 및 활동중단한 단체
}}}}}}}}} ||


[1] 이태희 등.[2] 이용휘 등.[3] 이용휘 등.[4] 김석호 등.[5] 이용휘 등.[6] 김석호 등.[7] 이은영 등.[8] 이용휘 사무총장의 아내이다.[9] 참고로 이 선거에 미래희망연대(구 친박연대)는 불참하였다.[10] 이후 이태희와 함께 한나라당(2012년)을 창당했다가 당내 계파갈등으로 분산되었고, 이후 희망한나라당을 창당하였다. 한편 희망한나라당은 여러 번 당명을 변경하다가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선거에 참여하지 않아 해산되었다.[11] 봉화군 부군수를 지냈으며, 2006년 4회 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영덕군수 후보로 출마한 적이 있다.[12] 이 무렵에 미래희망연대가 새누리당으로 최종 흡수되었다.[13] 2014년 헌법재판소가 득표율 미만 정당 해산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14] 친박연합 사무총장을 역임했다.[15] 친박연합 부산시당위원장을 역임했으나 정라곤 지도부와 갈등을 빚었다. 중앙당에서 부산시당 등록을 취소하기도 했다. 이에 박준홍계 당원들과 비상대책위원회를 설립했으나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