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1 09:23:50

구스타프 하이네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7070, #7a7979 20%, #7a7979 80%, #70707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7f7f7>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테오도어 호이스 하인리히 뤼프케 구스타프 하이네만 발터 셸
<rowcolor=#f7f7f7>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카를 카르스텐스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로만 헤어초크 요하네스 라우
<rowcolor=#fff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호르스트 쾰러 크리스티안 불프 요아힘 가우크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
독일연방공화국 제3대 대통령
구스타프 발터 하이네만
Gustav Walter Heineman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46-2007-0037%2C_Gustav_Heinemann.jpg
출생1899년 7월 23일
독일 제국 슈벨름
사망1976년 7월 7일 (향년 76세)
서독 에센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1945년~1952년)
(1957년~1976년)
재임기간 제3대 대통령
1969년 7월 1일 ~ 1974년 6월 30일
종교 개신교 (독일 개신교회)
배우자 힐다 오데만(1926년 결혼, 1979년 사망)[1]
자녀 4명
서명
파일:구스타프 하이네만 서명.svg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정치인으로, 서독의 3대 연방 대통령을 지냈으며 그 외에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등의 정부 요직을 거쳤다.

2. 생애

1899년 루르 공업 지대 에센에서 출생했다. 구스타프라는 그의 이름은 외할아버지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그의 외할아버지는 1848년 혁명에 참여할 만큼 열성적인 자유주의자였으며, 하이네만 본인 역시 이런 정치 성향을 고스란히 본받게 된다. 제1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1917년에 징집됐지만, 건강의 문제로 후방에서 근무하였으며 종전 후에는 대학교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하였고 박사 학위까지 수여받는다. 이후 쾰른 대학교에서 법학과 강사로 일했지만 1933년 나치가 집권한 이후 나치당에 가입할 것을 집요하게 거부했던 탓에 강사자리에서 쫓겨났고[2]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때까지 고향 에센의 크루프 철강공장에서 관리직으로 근무한다.[3] 여담이지만 2차대전 시기 철강공장에서 근무했던 덕분에 징집을 면할수 있었으니 말 그대로 새옹지마.

2차대전 후에는 에센에 진주한 영국군 군정에 의하여 에센 시장으로 임명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기민당 창당에도 관여한다. 한편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의 초대 총리에 취임한 콘라트 아데나워프로테스탄트 신자로서 하이네만이 가진 정치적 영향력에 주목했고, 그를 내무부 장관으로 입각시킨다.[4] 하지만 1952년 아데나워가 6.25 전쟁냉전이라는 국제 상황을 이용하여 독일군을 재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여기에 반발하여 내무부 장관에서 사퇴한 뒤 기민당에서도 탈당한다. 이후 1957년에 하이네만은 사민당에 입당하는데, 독실한 프로테스탄트 신자였던 그가 사민당에 가입한 것은 상당한 파장을 독일 정계에서 불러일으켰다. 오늘날 하이네만의 사민당 입당은 1959년 고데스베르크 강령을 통한 사민당의 마르크스주의적 계급투쟁 정당에서 대중 정당으로의 전환의 시발점이었다고 평가받는다.

한편 1966년 키징어가 이끄는 기민당과 빌리 브란트가 이끄는 사민당 사이의 대연정이 설립되면서 하이네만은 법무부 장관으로 입각한다. 이어 1969년 당시 서독의 대통령이었던 하인리히 뤼프케가 사임하자, 그의 후임자를 결정할 투표에서 사민당의 후보로 출마하였고 여기서 당선되면서 서독의 3대 대통령에 취임하게 된다. 하이네만의 당선에는 자민당의 지지가 결정적이었고, 여기서부터 싹 튼 사민당과 자민당의 우호관계는 같은 해 10월 정권 창출을 둘러싼 협상과정에서 자민당이 오랜 기민당과의 연정 관계를 청산하고 사민당과 연정 관계를 이루면서 꽃을 피우게 된다.[5]

총리로 취임한 빌리 브란트는 동방 정책을 기치로 내걸면서 동구권 국가들과의 외교관계를 활발히 했고, 이에 발맞추어 하이네만 역시 동구권 국가들을 활발히 방문하면서 2차대전 시기 독일이 저지른 각종 전쟁범죄들을 사죄한다. 이 시기 68 혁명의 영향으로 역사 바로잡기, 나치 유산 청산이 활발히 진행되던 서독에서 하이네만의 이러한 행보는 학생과 지식인들에게 큰 지지를 받았고 1972년 조기 총선에서 사민당이 바이마르 공화국 이후 처음으로 제1 교섭단체로 올라서는 압승을 거두며 재선 역시 어렵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이미 70대 중반이었던 하이네만은 자신의 나이와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고, 후임으로 자민당의 발터 셸 前 외무장관이 취임한다. 퇴임 후 고향 에센으로 낙향한 하이네만은 1976년 숨을 거둔다.

“연방공화국(서독)을 사랑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나는 국가를 사랑하지 않습니다. 내 아내를 사랑하지요!” 라고 답한 일이 유명하다. #

[1] 구스타프 하이네만이 기독교로 다시 돌아오도록 하였다. 힐다 오데만은 구스타프 하이네만이 사망한 후 3년 뒤 1979년에 세상을 떠났다.[2] 하이네만은 나치가 처음 탄생할 무렵부터 강경한 반대자였다. 1920년에 하이네만이 재학중이었던 뮌헨 대학교에서 아돌프 히틀러가 연사로 초빙되어 반유대주의 연설을 하자, 이 연설을 반행하다가 쫓겨난 적이 있을 정도다.[3] 하이네만의 아버지가 크루프의 철강공장에서 일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4] 물론 단순히 정치적 영향력만을 고려한 것은 아니고 크루프 사 관리인 / 법학 박사라는 경력 역시 내무장관으로 발탁한 요인이었다.[5] 이렇게 시작된 사민당과 자민당의 연정관계는 1982년까지 13년간 이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