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로스 아와 | 하리 카드카 | 맷 로스 | 홍명보 |
| 제 페드루 | 하혁준 |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 쿽카록 | |
| 피터 클라모브스키 | 모하메드 시야즈 | 바야스갈랑긴 가리드마그나이 | 묘 흘라잉 윈 | |
| 드라간 탈라지치 | 하비에르 카브레라 | 김상식 | 나카무라 아츠시 | |
| 하니타 아츠시 | 신영남 | 파비우 마그랑 | 에르베 르나르 | |
| 압둘라 알 무타이리 | 호세 라나 | 가빈 리 (대행) | 코스민 올러로이우 | |
| 공석 | 누레딘 울드 알리 | 카를로스 케이로스 | 자말 셀라미 | |
| 파비오 칸나바로 | 그레이엄 아놀드 | 아미르 갈레노에이 | 칼리드 자밀 | |
| 공석 | 모리야스 하지메 | 샤오자이 | 훌렌 로페테기 | |
| 교토쿠 코지 | 엘리우 소자 | 우르마트 압두카이모프 (대행) | 고란 스테바노비치 | |
| 앤서니 허드슨 | 로브샨 메레도프 | 놀베르토 솔라노 | 이합 아부 자자르 | |
| 카를레스 쿠아드라트 | 토니 포포비치 | 공석 | ||
| <colbgcolor=#f7f7f7,#191919>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 |||
| ក្រុមបាល់ទាត់ជម្រើសជាតិកម្ពុជា | ||
| | ||
| <colbgcolor=#DD0000> 이름 | 교토쿠 코지 行徳 浩二 | Gyotoku Koji | |
| 출생 | 1965년 1월 28일 ([age(1965-01-28)]세) | |
| 일본 시즈오카현 | ||
| 국적 | | |
| 직업 |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감독 | |
| 소속 | <colbgcolor=#DD0000><colcolor=#fdc400> 선수 | 도카이대학 (1984~1987) SV 베르더 브레멘 II (1988~1989) 토요타 모터스 (1989~1992) |
| 감독 | 시미즈 S펄스 (2003~2004) 시미즈 S펄스 (2004~2005 / 수석코치) 시미즈 S펄스 U-18 (2005~2008) 부탄 대표팀 (2008~2010) 오미야 아르디자 (2010~2011 / 수석코치) FC 기후 (2012~2013) 네팔 대표팀 (2016~2018) 네팔 U-23 대표팀 (2016~2018) 캄보디아 U-21 대표팀 (2019~2023) 바티 유스 풋볼 아카데미 (2019~ ) 캄보디아 U-23 대표팀 (2023~ ) 캄보디아 대표팀 (2024~ ) 캄보디아 U-21 대표팀 (2024~ ) 캄보디아 U-17 대표팀 (2024~ ) | |
| 국가대표 | 없음 | |
1. 개요
일본의 축구 감독. 현재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역임하고 있다.2. 선수 경력
도카이대학 소속 축구 팀에서 선수로 뛰던 중 1988년 SV 베르더 브레멘 II로 이적해 주전으로 활약하였다. 하지만 1시즌만에 일본으로 복귀하여 나고야 그램퍼스 소속으로 1992년까지 활동하다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3. 감독 경력
2003년 시미즈 S펄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그 해 J리그컵과 천황배 4강 진출을 이끌었고 2004년에는 수석 코치로 임명되어 2005년까지 감독들을 보좌한 뒤 2005년 시미즈 S펄스의 18세이하 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2008년까지 역임하였다.2008년 부탄 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그 해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부탄의 사상 첫 국제 대회 4강 진출을 이끈 뒤 2년만에 복귀했고 이후 RB 오미야 아르디자의 수석 코치와 FC 기후의 감독을 맡다가 2013년 경질되었고 2016년까지 커리어를 이어가지 못했다.
2016년 네팔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한 뒤 그 해 AFC 솔리다리티컵에서 네팔의 사상 첫 AFC 주관 대회 우승을 이끌며 선수 시절 이루지 못했던 우승의 꿈을 감독으로서 이뤄냈으며 2019년부터는 캄보디아에서 커리어를 이어가게 되었다.
2024년 사퇴한 펠릭스 달마스의 뒤를 이어 감독대행으로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부임한 뒤 캄보디아 대표팀의 정식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 후 첫 국제 대회인 2024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캄보디아의 4대회 연속 아세안 챔피언십 승리와 함께 10골을 터뜨렸던 2022년에 이어 캄보디아 축구의 2번째 아세안 챔피언십 역대 최다 득점 기록(7골)을 이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