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16:30:18

고유미(노동당)


'''
#!if (토론사유 != null)
문서 삭제에 대한
#!if (토론사유 == null)
이 문서에서
#!if (의견수렴 != null)
의견 수렴용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if (의견수렴 == null)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의견수렴 != null)
[[의견 수렴용 토론]]에 관한 내용은 이하 규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1
 * 의견 수렴용 토론에서는 합의안을 도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이의 제기 기간의 진행도 불가능합니다.
 * 의견 수렴용 토론에서는 서술 시점의 고정을 하지 않습니다.
}}}}}}}}}}}}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제4대
홍세화
안효상
권한대행 김종철
제5대
이용길
제6대
나경채
권한대행 최승현
비대위
김상철
제7대
구교현
비대위
김강호
제8대
이갑용
비대위
나도원
제9대
신지혜
용혜인
비대위
박성철
제10대
박성철
제11대
나도원
이종회
제12대
이백윤
제13대
이백윤
고유미
{{{#!wiki style="float: left;"
}}}}}}}}}}}}}}} ||
제13대 노동당 공동대표
고유미
Ko Yu-Mi
파일:노동당 고유미.jpg
<colbgcolor=#FF0000,#FF0000><colcolor=#FFFFFF> 출생 1976년 (48~49세)
충청남도 대전시
(現 대전광역시)
학력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동양학 / 학사)
현직 노동당 공동대표
청소년직접행동 프로그램 감독
소속 정당

약력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제31대 부총학생회장[1]
알바연대 대표
노동당 인천시당 연수구지역위원장
노동당 인천시당 부위원장
노동당 인천시당위원장
1. 개요2. 생애3. 여담4. 소속 정당

1. 개요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당인.

2. 생애

1999년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의 부총학생회장을 역임하며 학생운동에 나섰다.

2003년 사회당을 탈당한 후 한동안 정당 활동과 거리를 두고 살다 2012년 진보신당에 입당하였다. 현재도 청소년직접행동이라는 단체를 이끌며 청소년인권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2015년 평등사회네트워크의 집단 탈당, 2019년 사회당계의 집단 탈당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인천시당의 연수구지역위원장, 인천시당 부위원장, 인천시당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인천시당위원장으로 역임하며 쿠팡 인천지역 물류센터에서 정당연설회를 다회 개최하였다. 공동대표 취임 후에도 쿠팡 인천지역 물류센터에서 선전전과 정당연설회에 꾸준히 결합하고 있다.

2025년 9월, 노동당 제13기 대표단 선거에 여성명부 당대표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당내 일각에서 연임에 도전한 이백윤 당대표 후보와 경합할 수 있다는 오해가 일었는데, 본인은 여성명부 후보자로 출마했고 이백윤 대표는 일반명부 후보자로 출마했으므로 동반 당선이 가능한 구조였으며 투표 결과 나란히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

3. 여담

  • 충청남도 대전시(現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졸업하였다고 한다. 13기 공동대표가 대전충남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고, 김성봉 부대표까지 넓혀본다면 13기 대표단 전원이 충청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2]
  • 공교롭게도 이백윤 대표와 1999년 같은 해에 총학생회를 했다.
  • 13기 대표단 중 유일하게 진보신당 시절부터 당에 몸 담았다. 이백윤 대표와 김성봉 부대표는 변혁당계 인사.

4. 소속 정당

<rowcolor=#ff0000,#FF0000> 소속 기간 비고


- 2003 입당
정계입문


2003 - 2012 탈당


[[진보신당|
진보신당
]]
2012 입당


2012 등록 취소[3]


[[진보신당연대회의|
진보신당연대회의
]]
2012 - 2013 재창당


2013 - 현재 당명 변경

[1] 1999년[2] 김성봉 부대표는 민주노총충북본부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충북도당위원장을 역임했고, 이백윤 대표는 변혁당 충남도당위원장을 맡았다.[3] 당시에는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효 득표의 2%를 넘지 못하면 당의 등록이 취소되는 조항이 있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보신당은 1.13%를 받고 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