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0008b> | 클래시 로얄 카드 일람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미니언 | 아처 | 기사 | 창 고블린 | 고블린 | 폭탄병 | |
해골 병사 | 바바리안 | 일렉트로 스피릿 | 해골 드래곤 | 파이어 스피릿 | 박쥐 | |
로얄 훈련병 | 로얄 자이언트 | 아이스 스피릿 | 해골 통 | 고블린 갱 | 엘리트 바바리안 | |
미니언 패거리 | 로켓병 | 악동 | 버서커 | |||
희귀 카드 | ||||||
미니 P.E.K.K.A | 머스킷병 | 자이언트 | 발키리 | 메가 미니언 | 배틀 램 | |
마법사 | 플라잉 머신 | 호그 라이더 | 로얄 호그 | 삼총사 | 전투 치유사 | |
얼음 골렘 | 다트 고블린 | 감전돌이 | 고블린 데몰리셔 | 힐링 스피릿 | 수상한 수풀 | |
엘릭서 골렘 | ||||||
영웅 카드 | ||||||
가드 | 베이비 드래곤 | 해골 군대 | 마녀 | P.E.K.K.A | 다크 프린스 | |
프린스 | 해골 비행선 | 자이언트 해골 | 룬 자이언트 | 자이언트 고블린 | 사냥꾼 | |
골렘 | 일렉트로 드래곤 | 해골 돌격병 | 일렉트로 자이언트 | 볼러 | 도끼맨 | |
대포 카트 | ||||||
전설 카드 | ||||||
메가 나이트 | 램 라이더 | 일렉트로 마법사 | 인페르노 드래곤 | 스파키 | 광부 | |
프린세스 | 피닉스 | 로얄 고스트 | 얼음 마법사 | 마법 아처 | 도둑 | |
라바 하운드 | 암흑 마녀 | 나무꾼 | 고블린 머신 | 엄마 마녀 | 낚시꾼 | |
챔피언 카드 | ||||||
골드 나이트 | 해골 킹 | 아처 퀸 | 능력자 광부 | 고블린슈타인 | 리틀 프린스 | |
수도자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대포 | 박격포 | 뇌전탑 | ||||
희귀 카드 | ||||||
고블린 우리 | 고블린 오두막 | 해골 무덤 | 폭탄 타워 | 인페르노 타워 | 바바리안 오두막 | |
용광로 | 엘릭서 정제소 | |||||
영웅 카드 | ||||||
대형 석궁 | 고블린 드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화살 | 감전 마법 | 거대 눈덩이 | 로얄 택배 | |||
희귀 카드 | ||||||
파이어 볼 | 로켓 | 지진 마법 | ||||
영웅 카드 | ||||||
고블린 통 | 번개 마법 | 얼음 마법 | 바바리안 통 | 독 마법 | 고블린 저주 | |
분노 마법 | 공허 | 복제 마법 | 토네이도 | 반사경 | ||
전설 카드 | ||||||
통나무 | 무덤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진화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tablewidth=100%> 일반 카드 | |||||
진화 바바리안 | 진화 해골 병사 | 진화 로켓병 | 진화 로얄 자이언트 | 진화 기사 | 진화 로얄 훈련병 | ||
진화 박쥐 | 진화 아처 | 진화 아이스 스피릿 | 진화 폭탄병 | ||||
희귀 카드 | |||||||
진화 발키리 | 진화 배틀 램 | 진화 마법사 | 진화 머스킷병 | 진화 다트 고블린 | |||
영웅 카드 | |||||||
진화 해골 돌격병 | 진화 자이언트 고블린 | 진화 P.E.K.K.A | 진화 일렉트로 드래곤 | ||||
전설 카드 | |||||||
진화 메가 나이트 | 진화 나무꾼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진화 박격포 | 진화 뇌전탑 | 진화 대포 | ||||
희귀 카드 | ||||||
진화 고블린 우리 | ||||||
영웅 카드 | ||||||
진화 고블린 드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진화 감전 마법 | 진화 거대 눈덩이 | |||||
영웅 카드 | ||||||
진화 고블린 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타워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타워 프린세스 | ||||||
영웅 카드 | ||||||
대포 사수 | ||||||
전설 카드 | ||||||
단검 공작부인 | 로얄 셰프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삭제된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베이비 고블린 | ||||||
희귀 카드 | ||||||
치유 마법 |
기간 한정 카드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슈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tablewidth=100%> 전설 카드 | |||||
슈퍼 라바 하운드 | 슈퍼 마녀 | 슈퍼 미니 P.E.K.K.A | 산타 호그 라이더 | 슈퍼 얼음 골렘 | 슈퍼 마법 아처 | ||
슈퍼 아처 | 마법사 트리오 | 슈퍼 나이트 | |||||
챔피언 카드 | |||||||
테리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바바리안 런처 | ||||||
전설 카드 | ||||||
파티 오두막 | 로켓 사일로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전설 카드 | |||||
파티 로켓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이벤트 도전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영웅 카드 | |||||
쉘리 | 분노한 프린스 | ||||||
전설 카드 | |||||||
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온기 |
}}}}}}}}} ||
모던 로얄 | |||||
공허 | → | 고블린 저주 고블린 머신 고블린 데몰리셔 | → | 수상한 수풀 |
1. 개요
고블린 머신 Goblin machine 哥布林机甲/ゴブリンマシン | |
이 카드가 잠금 해제되는 아레나 | |
아레나 15 | 광부의 광산 |
근접 공격에 사용하는 양 팔과 원거리 표적을 맞추기 위한 커다란 로켓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누가 베이비를 조종석에 앉혔죠?
Goblin Machine has two arms for melee and one big rocket for faraway targets. Who let a baby drive this things?
Goblin Machine has two arms for melee and one big rocket for faraway targets. Who let a baby drive this things?
<rowcolor=#fff> 엘릭서 비용 | 희귀도 | 유형 |
5 | 전설 | 유닛 |
일명 고머신. 2024년 6월 17일 고블린 퀸의 여정 업데이트로 추가된 유닛으로, 베이비 고블린이 클래시 오브 클랜의 배틀 머신과 비슷하게 생긴 기계에 탑승한 모습이다.
2. 레벨별 스탯
_고블린 머신_<rowcolor=#fff> 공격 속도 | 공격 대상 | 속도 | 사정거리 |
1.2초 | 지상 | 보통 | 근접:중거리 |
<rowcolor=#fff> 레벨 | 체력 | 피해량 | 초당 피해량 | 로켓 레벨 |
9 | 1908 | 175 | 145 | 9 |
10 | 2097 | 193 | 160 | 10 |
<rowcolor=#fff> 11 | 2304 | 212 | 176 | 11 |
12 | 2529 | 233 | 194 | 12 |
13 | 2781 | 256 | 213 | 13 |
14 | 3051 | 281 | 234 | 14 |
15(엘리트) | 3348 | 308 | 256 | 15 |
_로켓_
<rowcolor=#fff> 공격 속도 | 공격 대상 | 원거리 사정거리 |
3.5초 | 지상 및 공중 | 2.5-5 |
<rowcolor=#fff> 레벨 | 광역 피해량 | 크라운 타워 피해량 |
9 | 324 | 162 |
10 | 356 | 178 |
<rowcolor=#fff> 11 | 391 | 196 |
12 | 429 | 215 |
13 | 472 | 236 |
14 | 518 | 259 |
15(엘리트) | 569 | 285 |
3. 성능
체력이 해골 킹보다 조금 높을 정도로 준수하지만 DPS가 기사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코스트 대비 상당히 낮다.이렇게만 보면 그냥 스탯 높은 악동 소년이지만 로켓 발사 능력이 있어 근접 유닛 뒤에 원거리 딜러가 따라붙는다면 앞에 배치된 유닛과 근접전을 벌이는 중에도 원거리 딜러만 로켓으로 처리할 수 있다.다만, 원거리 공격까지 동시에 한다는 점 때문에 근접전 능력은 살짝 불안정한 편이다. 공격의 대부분을 맡는 로켓 공격을 근접전에서는 활용할 수 없어 로켓만 타워에 닿지 않도록 잘 접근시키면 쉽게 막을 수 있다.
로켓의 최소 사거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킹 타워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고블린 머신이 타워 유닛에 붙으면 킹 타워가 로켓의 공격 범위 안에 들어오면서 로켓을 킹 타워로 발사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단독으로는 작동시킬 수 없고, 토네이도, 낚시꾼 등을 최소 1번 써야 한다.
3.1. 장단점
장점 |
|
단점 |
|
4. 변천사
2024년 6월 중순에 고블린 데몰리셔, 고블린 저주와 함께 등장이 예고되었다.특이한 메커니즘 덕에 3인방 중 사기성이 너무 짙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는데, 어느 정도였냐 하면 반사경으로 복제해서 공격을 가는 덱이 최상위권에서 거의 항상 나올 정도였다. 로켓 피해량이 상당히 높아 처리하기가 쉽지 않고, 로켓이 타워로 날아갈 때마다 동렙 로켓보다도 더 큰 피해(만렙 기준 800~900)가 들어간다.
이러한 사기성 때문에 출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긴급 패치로 로켓의 일반 피해량이 33%, 로켓의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50% 감소하고 로켓의 공격속도가 3.5초에서 4초로 느려졌다.
이전만큼의 사기성은 자랑하지 못해도 여전히 좋다는 평이 많았지만 설상가상으로 2024년 7월 패치로 체력 15% 감소하고 첫 공격속도가 0.3초 느려졌다. 이 패치로 코스트 대비 낮은 능력치만 크게 부각되면서 픽률이 급격히 낮아졌다.
불과 몇 주 전만 해도 출시 초기의 암흑 마녀, 로얄 고스트, 리틀 프린스에 맞먹는 압도적인 사기성으로 메타를 지배했지만 과잉 너프로 기사, 발키리 같은 유닛들에게 입지를 빼앗겼다.[3][4]
2024년 8월 보상성 버프로 로켓의 공격속도가 4초에서 3.5초로 롤백되었지만 워낙 너프를 많이 먹어서 그런지 입지에 변화가 없다. 9월 기준 픽률과 승률 모두 뒤에서 2위[5]라는 처참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여전히 처참한 실적을 기록하자 2024년 10월 패치로 체력이 5% 증가하였다. 2024년 7월 너프 이전보다는 여전히 낮지만 체력이 해골 킹보다 높아지며[6] 전체 유닛 중 11위의 체력을 가지게 되었다.
두 번 연속으로 버프를 받았지만 이전에 먹은 너프가 너무나 큰 탓에 여전히 최하위권의 픽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정 카드를 카운터치는 등 조커픽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평가받는 고블린 저주와 다르게 활용 가치가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7] 이 때문에 2024년 월드 파이널에서도 단 한 번도 보이지 않았다.
이후 2025년 1월, 공격력이 57% 증가하고 공격속도가 0.3초 느려지는 리워크를 받았다.[8] 지속적인 버프로 로켓 메커니즘을 제외한 고블린 머신의 저점이 좋아져 활용 가치가 없다고 평가받았던 전보다 훨씬 나아졌으며, 동시에 신규 카드 룬 자이언트와의 시너지가 좋다는 점[9]이 드러나자 룬 자이언트가 버프를 받은 이후로 고블린 머신의 입지가 높아졌다. 현재는 룬 자이언트가 들어가는 덱과 페램라 등 룬 자이언트가 없어도 사용 가치가 충분한 메타 덱에서도 모습을 비추고 있다.
5. 업데이트 내역
- 출시 전 패치로 로켓의 최대 사거리가 5.5에서 5로 감소하였다. (너프)
- 2024/6/19 패치로 로켓의 일반 피해량이 33%,[10] 로켓의 크라운 타워 피해량이 50% 감소하고 로켓의 공격속도가 3.5초에서 4초로 느려졌다. (너프)[11]
- 2024/7/2 패치로 체력이 15% 감소하고 첫 공격속도가 0.2초에서 0.5초로 느려졌다. (너프)
- 2024/8/6 패치로 로켓의 공격속도가 4초에서 3.5초로 빨라졌다. (버프)
- 2024/10/8 패치로 체력이 5% 증가하였다. (버프)
- 2024/10/30 패치로 고블린 퀸의 여정이 종료됨에 따라 해금 아레나가 고블린 3(고철 처리장)에서 아레나 15(광부의 광산)로 바뀌었다.
- 2025/1/8 패치로 공격력이 57% 증가하고 공격속도가 0.9초에서 1.2초로 느려졌다. (버프/너프)
6. 카운터 카드
P.E.K.K.A | 스파키 |
고블린 머신의 로켓을 버티며 고블린 머신을 쉽게 막을 수 있다. |
아이스 스피릿 | 일렉트로 스피릿 | 일렉트로 마법사 | 감전돌이 |
일렉트로 드래곤 | 감전 마법 | 번개 마법 | 얼음 마법 |
스파키와 마찬가지로 마비 및 빙결 효과를 받으면 로켓 공격속도가 초기화된다. 예외적으로 일렉트로 자이언트는 자신을 공격한 적에게 반사 데미지를 입히는 방식이기에 고블린 머신을 막을 수 없다. |
수도자 |
상당히 높은 체력과 넉백 효과가 있는 3타 공격으로 고블린 머신을 다소 쉽게 막을 수도, 스킬로 로켓을 반사할 수도 있다. |
그 외 | |
DPS가 높은 유닛/물량 유닛(고블린 머신 위에 소환) | |
DPS가 높은 공중 유닛 |
7. 기타
프로필 일러스트 |
- 클래시 로얄 최초의 고블린 계열 전설 카드이다.
- 소환 시 탑승한 베이비 고블린이 "Goblin machine!"이라고 외치는데, 발음이 상당히 뭉개져서 알아듣기 어려운 편이다.
- 인게임 로딩 화면에 나오는 문구에 따르면 컵홀더가 3개 있다고 한다.
[1] 1위는 골렘, 2위는 자이언트, 3위는 메가 나이트, 4위는 일렉트로 자이언트, 5위는 P.E.K.K.A, 6위는 자이언트 해골, 7위는 라바 하운드, 8위는 자이언트 고블린, 9위는 로얄 자이언트, 10위는 룬 자이언트, 11위는 고블린슈타인의 몬스터이다.[2] 너프 이전에는 높은 기본 능력치와 로켓 피해량 덕에 반사경 등으로 복제하기만 해도 게임을 터뜨리는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성능이 많이 나빠졌다. 게다가 고점도 다른 유닛과 비교했을 때 특출난 것도 아니다.[3] 슈퍼셀의 전형적인 현질 유도 패턴을 밟은 것이 비판거리로, OP 카드로 출시한 후 과잉 너프를 시킨 것이다. 심지어 리틀 프린스는 너프를 먹은 이후에도 강력한 성능을 자랑했지만 고블린 머신의 경우 1달도 되지 않아 이렇게 패치한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만큼 사기적인 성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맞지만 2차 패치는 너무 과했다는 평이 많다.[4] 진화 카드의 밸런스를 조정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았고, 무엇보다 신규 타워 유닛 단검 공작부인이 사기적인 성능으로 메타를 고착화시키는 것을 몇 달 동안 방관한데다 공허, 고블린 데몰리셔, 고블린 저주도 이미 많은 비판을 받고 있었다.[5] 1위는 바바리안 오두막.[6] 11레벨 기준으로 6 높지만 코스트 대비로 따지면 해골 킹이 더 높다.[7] 그나마 바바리안 오두막 등 몰락한 생산 건물 덕에 픽률 꼴찌는 면했지만 사실상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 심지어 저들은 희귀 카드라 저아레나에서 렙빨로 밀어붙이기라도 하지 고블린 머신은 전설 카드라 렙빨을 잘 받지 못한다.[8] 1번의 공격으로 고블린을 처리할 정도로 공격력이 높아지며 결과적으로 DPS가 예전에 비해 17% 증가했으니 버프라고 할 수 있다.[9] 고블린 머신은 로켓 공격과 근접 공격을 동시에 수행하기에 룬 자이언트의 보너스 피해 카운트가 더 빠르게 돌아간다. 로켓 피해량이 룬 자이언트의 보너스 피해 능력으로 강화되면 출시 당시보다도 더 높아진다.[10] 이 패치로 로켓으로 동렙 마법 아처를 1번에, 마녀와 베이비 드래곤을 2번에 처리하지 못하게 되었다.[11] 이 패치로 반사경을 이용한 전략이 통하지 않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