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악마사냥꾼=, 전설=, 주문=, 확장팩=운고로의 잃어버린 도시,한글명=거대괴수를 풀어라, 일러명=거대괴수를 풀어라2, 영문명=Unleash the Colossus,
비용=1,
효과=<b>퀘스트:</b> 내 턴에 적에게 피해를 정확히 2 주는 것을 12번 해야 합니다. <b>보상:</b> 고리쉬 거대괴수,
플레이버한=4일째. 실망스럽게도 우리가 잃어버린 도시의 입구라고 생각했던 것은 사실 실리시드 둥지였다! 우리는 로켓 장화를 신은 고블린보다도 빨리 거기서 빠져나왔다. 난 벌레는 좋아하지 않는다.,
플레이버한링크=골락카 심해 잠수,
플레이버영=Day 4. I am dismayed to report that we thought we'd found a hidden entrance to the Lost City\, but in fact it was a Silithid Hive! We high-tailed it out of there faster than a goblin wearing rocket boots. I am not terribly fond of bugs.,
황금링크=, 황금획득=제작 또는 카드팩,
간판링크=, 간판=, 간판획득=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악마사냥꾼=, 전설=, 하수인=,수집불가=,
한글명=고리쉬 거대괴수, 일러명=고리쉬 거대괴수2, 영문명=Gorishi Colossus, 확장팩=운고로를 향한 여정,
비용=5, 공격력=8, 생명력=8,
효과=<b>전투의 함성: </b>이번 게임 동안\, 내가 적에게 피해를 정확히 2 줄 때마다 2 더 줍니다.,
황금링크=, 황금획득=황금 거대괴수를 풀어라의 효과,
간판링크=, 간판=, 간판획득= 간판 거대괴수를 풀어라의 효과)]
2. 상세
운고로의 잃어버린 도시의 악마사냥꾼의 퀘스트/보상.내 턴에 정확히 피해를 2 주는 행동을 12번 하면 된다. 주체는 무엇이든 상관없고[1] 행동 한 번에 피해를 몇 번 주든 상관없지만 피해가 정확히 2가 아니면 퀘스트 진척도는 오르지 않는다.
보상으로 얻는 고리쉬 거대괴수는 전투의 함성으로 정확히 피해를 2 주면 2 를 더주는 효과를 이번 게임동안 얻게 해준다.
3. 평가
3.1. 출시 전
정확히 2의 피해를 줘야 하는 특이한 조건을 가진 퀘스트로, 공격력 2의 하수인으로 공격하거나, 내 영웅의 공격력을 2로 만들어 치거나, 효과로 2의 피해를 줘도 만족한다. 따라서 인신디우스, 소행성처럼 2의 피해를 줄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한다면 더 빨리 깰 수 있다. 극한의 극락에서 받은 아라나 스릴시커 또한 고려되고 있는데, 저렴하고 공격력이 2인 두뇌 안마사, 사제의 극극 주문인 밤그늘 차와 뜨거운 석탄이 전부 2의 피해를 주는 카드들이라서 퀘스트를 깨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성능과 별개로 출시 전에 유저들이 우려하는 것은 광역 피해면 그만큼 스택이 더 빨리 차기 때문에, 이 퀘스트가 메타권이 되면 스톰윈드 시절처럼 소위 '필드를 까는 게 손해가 되는 메타'를 만드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3.2. 출시 후
출시 직후, 쓰이지 않는 걸 넘어서 안 좋은 퀘스트 중에서도 25% 정도의 독보적인 쓰레기 승률을 기록하며 폐급 카드라는 결론이 나왔다. 차라리 잠복처럼 화끈하게 망하면 기억이라도 되지 이 카드는 조용하게 쓰레기통에 파묻혀서 언급조차 안 되는 지경에 이르렀다.가장 큰 문제는 퀘스트를 깨기 위해서 15번의 피해 2를 때려박다보면, 정작 퀘스트 보상을 받은 이후 피해 2를 줄 카드가 거의 안 남는다는 것. 이번에 받은 2딜 카드들은 분명히 좋은 카드들이라는 결론이 나오기는 했으나, 그럴거면 1턴 템포와 패 손해를 보는 퀘스트를 넣을 게 아니라 그냥 퀘스트 대신 1턴에 더러운 마귀나 갈퀴창날같은 고효율 1코 카드를 내놓은 뒤 2딜로 15번 이상을 패서 상대를 반죽여놓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때문에 퀘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2딜 패키지는 어그로 악사에서 알뜰하게 잘 쓰이고 있지만, 퀘스트는 존재의의를 찾을 수 없다는 평가다.
출시 전 언급되었던 2데미지 광역기를 활용하는 방법 또한 몇가지 있기는 하나 애초에 악마사냥꾼 직업 자체도 컨트롤에 별로 맞지 않는다는 평이 많은데다 다수의 광역기가 비슷한 비용에 3뎀이고, 2뎀을 줄 수단은 많이 주었으나 정작 피니셔로 쓸 2데미지를 줄 뒷심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킬각을 잡으려면 고리쉬 독침충을 모아두는 것 밖에 없어 컨트롤로 짜도 필드만 정리하다 게임이 끝나고 다른 뒷심을 채용하면 퀘스트가 뒷전이 되니 이유가 없다.
야생에서도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데, 야생에는 지옥 포화 등 2데미지를 줄 수단은 더 많은 편이나 주문을 중심으로 가면 지옥 주문 지원을 베이스로 제이스 다크위버와 주문 공격력으로 윈플랜을 충분히 만들 수 있고, 즈힐라그를 활용하는 덱은 정작 보상을 낼 타이밍이 없어서 사용할 수가 없다. 즈힐라그가 7코에 나가기에는 느리므로 심판의 손아귀 등의 수단을 활용하게 되는데 퀘스트를 깰 때까지 들고 있기도 난해하며 퀘스트를 깰 때쯤엔 슬슬 덱파워가 밀려 게임을 끝내야 되는 타이밍이라 보상을 내며 쉬어갈 여유가 없다. 2데미지를 연속해서 주는 감은눈 명사수를 베이스로 하는 나가 덱이 만들어졌으나 이것마저도 어그로에 가까운 덱이라 보상을 내고 이기는 게임이 많지 않아서 퀘스트의 미묘함은 여전하다.
33.0.3 패치에서 퀘스트 카운트가 15에서 12로 감소했으며, 버프라기에는 애매하지만 공 독점돼지의 피해량이 3에서 2로 감소하여 퀘스트를 깨는 데 쓸 수 있게 되었다.
퀘스트 보상은 메커니즘상 자신의 턴에만 발동되었으나 이후엔 상향도 할 겸 텍스트와 일치시키기 위해 상대의 턴에도 발동하도록 바뀌었다. 하지만 현실은 그래도 구린데 대체 뭔 생각으로 자신의 턴에만 발동하게 만들었냐는 평.
4. 기타
보상인 고리쉬 거대괴수는 와우에서 정예 몹으로 출현했다.5. 둘러보기
| | |||
| 전사 | 주술사 | 도적 | 성기사 |
| 사냥꾼 | 드루이드 | 흑마법사 | 마법사 |
| 사제 | 악마사냥꾼 | 죽음의 기사 | 중립 |
| <colbgcolor=#444><colcolor=#fff> 직업 전설 일람 환생의 날미니 세트 | |||
| 확장팩의 키워드 및 시리즈 유사 / 적응 / 퀘스트 지글거리는 잿불 | |||
| 전체 카드 일람 / 확장팩 별 카드 일람 | |||